제목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87
용량 768.6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pdf 768.6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3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일반개황 면적 인구 정치체제 대외정책 2,150 천 ㎢ 35백만 명 (2020e) 이슬람군주정 친서방 GDP 1인당GDP 통화단위 환율(U$기준) 7,001억 달러 (2020e) 19,996 달러 (2020e) SaudiArabian Riyal(SAR) 3.75 Ÿ 사우디아라비아는 한반도의 약 10배에 달하는 국토면적에 아시아 및 아프리카 사이에 위치한 아라비아 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요르단·이라크·쿠웨이트, 동쪽으로는 아랍 에미리트·카타르, 남쪽으로는 오만·예멘과 접경하고 있음. Ÿ 세계 2위의 원유 생산량 및 매장량을 바탕으로 세계 원유 수급과 가격을 주도하는 스윙 프로듀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역내에서는 수니파 이슬람의 맹주국으로 중동 지역 패권을 두고 시아파인 이란과 대립하고 있음. Ÿ 석유 산업에 대한 경제의존도가 높아 대외충격에 취약한 구조이나, 풍부한 외환보유액과 국부펀드가 경제를 지탱하고 있음. Ÿ 연로한 살만 국왕을 대신하여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실질적인 국가 지도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탈석유 산업다각화 정책인 ‘사우디 비전 2030’ 정책을 수립하여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우리나라와의 관계 국교수립 1962. 10. 16 수교 (북한과는 미수교) 주요협정 문화협력협정(‘75년), 경제·기술협력협정(’75년), 항공협정(‘84년), 항공운수소득면세협정(’91년), 투자장려·보호협정(‘03년), 이중과세방지협정(’08년), 원자력의평화적이용에관한협정(‘12년), 국방협력협정(’14년), 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18년), 사증발급간소화양해각서(’19년) 교역규모 (단위 : 천 달러) 구분 2018 2019 2020 주요품목 수 출 3,951,951 3,697,120 3,301,896 자동차, 고무제품, 철강판 수 입 26,335,761 21,840,581 15,979,621 원유, 석유제품, 기타석유화확제품 해외직접투자현황(2021년 6월말 누계 기준) 259건, 5,411,888천 달러 3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경제동향 국가신용도평가리포트 사우디아라비아 Kingdom of Saudi Arabia 국내경제 (단위: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경 제 성 장 률 -0.7 2.4 0.3 -4.1 2.8 소비자물가상승률 -0.8 2.5 -2.1 3.4 3.2 재정수지/GDP -9.2 -5.9 -4.5 -11.3 -3.1 자료: IMF, EIU 2020년 코로나19 여파로 마이너스 경제성장 기록 후 2021년 플러스 성장 회복 전망 Ÿ 사우디아라비아 경제는 2020년 기준 GDP의 23%, 총수출의 69%를 차지하는 석유 산업에 대한 의존도 가 높아 국제유가 및 원유 국제수요에 밀접한 영향을 받고 있음. Ÿ 2020년 사우디아라비아 경제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각국의 봉쇄조치와 그로 인한 실물경기 위축 및 국제유가 하락, OPEC+*의 감산 합의 이행 등으로 -4.1%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함. *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 Ÿ 2021년에는 OPEC+ 감산 합의 이행으로 석유 부문은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비석유 부문의 회복에 힘입어 2.8%의 플러스 경제성장률 회복이 전망됨(IMF 10월 전망). ‑ IMF는 당초 2021 Article IV Consultation 보고서(2021.7월)에서 2021년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성장률을 2.4%로 전망한 바 있으며, 석유 부문 -0.4%, 비석유 부문 4.3%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함. 세부적 으로는 비석유 부문 중 민간 부문 5.8%, 공공 부문 0.7%의 성장을 전망하여 민간 부문이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았음. ‑ 민간 부문의 경우 부가가치세(VAT) 인상에도 불구하고 이동제한조치(Lockdown) 완화의 영향으로 민간 소비가 크게 증가하면서 특히 여행업 및 컨택트 산업 부문이 2020년 하반기부터 강한 회복세를 보임. 국제유가 추이(브렌트유 기준) (U$/배럴) 자료: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석유 국제수요 증감 추이(2019년 대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119 성장동력산업 최근 우리나라 수출 호조의 배경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18 성장동력산업 서비스산업 세제지원 제도의 유형과 추이 1도토리 조정희
1117 성장동력산업 2021년 3/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1도토리 조정희
1116 성장동력산업 터키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5 성장동력산업 캄보디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4 성장동력산업 브라질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3 성장동력산업 독일 소재 프로그램 지원 현황 1도토리 조정희
1112 성장동력산업 필리핀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1 성장동력산업 바이든 행정부, 공급망 중단 문제 해결을 위한 행정명령 및 관련 보고서 발표 1도토리 조정희
1110 성장동력산업 아랍에미리트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8 성장동력산업 러시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7 성장동력산업 그리스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6 성장동력산업 솔로몬군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5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2021년도 경제·재정 정책방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04 성장동력산업 중국 그린본드 시장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103 성장동력산업 최근 가상자산 규제 움직임 및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02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증권토큰발행(STO)에 관한 고찰 1도토리 조정희
1101 성장동력산업 중앙은행 독립성 침해가 터키 경제에 미친 악영향 1도토리 국준아
1100 성장동력산업 펀드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수탁서비스 발전 방향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