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러시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99
용량 841.8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러시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pdf 841.8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3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일반개황 면적 인구 정치체제 대외정책 17,098천 ㎢ (2021) 146백만 명 (2021) 대통령중심제 중국 및 신흥국들과의 긴밀한 협력 GDP 1인당GDP 통화단위 환율(U$기준) 16,476억 달러 (2021) 11,273달러 (2021) Russian Ruble (RUB) 73.59 (2021) Ÿ 러시아는 세계 최대 면적의 영토를 보유한 국가이며, 2020년 기준 세계 3위의 원유생산국, 세계 2위의 천연가스 생산국으로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Ÿ 2018년 3월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푸틴 대통령이 2024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게 되며, 2020년 7월 개헌을 통해 푸틴 대통령의 2024년 대통령 선거 출마가 가능하게 되었음. 2020년 반정부 지도자인 나발 니에 대한 독극물 공격, 2021년 초 나발니의 투옥으로 모스크바 등에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였으나, 2021년 9월 총선에서 집권당이 압도적으로 승리하여 푸틴 대통령의 집권 기반은 여전히 공고한 것으로 평가됨. Ÿ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마이너스(-3.0%) 성장을 기록한 후 2021년에는 유가 상승, 국내소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플러스(4.7%) 성장이 전망되고 있음. Ÿ 러시아는 서방의 제재 지속으로 미국, EU 등 서방 국가들과 정치·경제적으로 악화된 관계가 계속되고 있 는 반면, 중국과는 교역, 에너지 투자, 금융, 기술 등의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고 있음. 우리나라와의 관계 국교수립 1990. 9. 30 구소련과 국교수립, 1991. 10. 12 러시아가 승계 (북한과는 1948. 10. 12 수교) 주요협정 무역협정('90), 원자력협력협정('99), 관광협정('01), 에너지분야협력협정('02), 항공협정('03), 우 주기술협력협정, 가스산업협정('06), 비자협정('10), 해상운송협정('11), 근로활동협정('12), 사증 면제협정('14) 교역규모 (단위 : 천 달러) 구분 2018 2019 2020 주요품목 수 출 7,320,899 7,774,133 6,899,968 합성수지, 차량, 송신기기, 의류, 수 입 17,504,050 14,566,507 10,630,194 석유, 알미늄괴, 철강, 농축우라늄 해외직접투자현황(2021년 6월 말 누계, 총투자기준) 635건, 2,955,512천 달러 3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경제동향 국가신용도평가리포트 러시아 Russian Federation 국내경제 (단위: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f 경 제 성 장 률 1.8 2.8 2.0 -3.0 4.7 소비자물가상승률 3.7 2.9 4.5 3.4 5.9 재정수지/GDP -1.5 2.9 1.9 -4.0 -0.6 자료: IMF, EIU 2021년 러시아 경제는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플러스 성장 회복 전망 Ÿ IMF는 2021년 10월에 발표한 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올해 러시아 경제가 4.7%의 플러스 성장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하였음. ‑ IMF의 이같은 전망은 2021년 4월 전망 대비 0.9%, 7월 전망 대비 0.3% 상승한 것으로, 이는 민간 소비 증가, 투자 증가, 국제유가 상승에 힘입은 수출 증가 등에 따른 것으로 평가됨. ‑ 반면 서방의 대러 제재, 낮은 백신 접종률, 중앙은행의 긴축 통화정책 등이 경기 회복을 제한하는 요 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Ÿ 한편, IMF는 2022년의 러시아 경제성장률은 2.9%로 올해와 비교하여 다소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이는 2021년 4월의 3.8% 전망에서 하향 조정된 것으로, 코로나19 확산세 지속에 따른 경제활동 제한, 낮은 백신 접종률, 정책금리 인상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됨. 러시아 경제성장률 전망 자료: 각 기관 자료 참고 구분 IMF 세계은행 러시아 경제개발부 2021 4.7% (’21.10) 4.3% (’21.10) 4.2% (’21.9) 2022 2.9% (’21.10) 2.8% (’21.10) 3.0% (’21.9) Ÿ 러시아 경제개발부도 IMF와 마찬가지로 2021년 9월에 올해의 성장률 전망을 기존의 3.8%에서 4.2% 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전망은 3.2%에서 3%로 하향 조정하였음. Ÿ IMF와 러시아 정부의 2021~22년 러시아 경제성장률 전망은 신흥국 평균 및 세계 평균 경제성장률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며, 이는 산업다변화 미흡, 제도 개혁 부진, 서방의 대러 제재 지속 등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경제성장률 전망치 비교 자료: IMF 구분 러시아 신흥국 평균 세계 평균 2021 4.7% 6.4% 5.9% 2022 2.9% 5.1% 4.9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119 성장동력산업 최근 우리나라 수출 호조의 배경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18 성장동력산업 서비스산업 세제지원 제도의 유형과 추이 1도토리 조정희
1117 성장동력산업 2021년 3/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1도토리 조정희
1116 성장동력산업 터키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5 성장동력산업 캄보디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4 성장동력산업 브라질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3 성장동력산업 독일 소재 프로그램 지원 현황 1도토리 조정희
1112 성장동력산업 필리핀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11 성장동력산업 바이든 행정부, 공급망 중단 문제 해결을 위한 행정명령 및 관련 보고서 발표 1도토리 조정희
1110 성장동력산업 아랍에미리트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9 성장동력산업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러시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7 성장동력산업 그리스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6 성장동력산업 솔로몬군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1도토리 국준아
1105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2021년도 경제·재정 정책방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04 성장동력산업 중국 그린본드 시장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103 성장동력산업 최근 가상자산 규제 움직임 및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102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증권토큰발행(STO)에 관한 고찰 1도토리 조정희
1101 성장동력산업 중앙은행 독립성 침해가 터키 경제에 미친 악영향 1도토리 국준아
1100 성장동력산업 펀드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수탁서비스 발전 방향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