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영국의 배터리 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25
용량 872.82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영국의 배터리 전략.pdf 872.8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02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4 

Ⅰ. 서론

 

■ 현대 산업 경제의 필수 요소이자 넷제로 전환 기술의 동력원으로서 배터리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는 추세


○ 배터리는 개인·상업용 운송과 그리드 규모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에 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국방 역량 개발

    지원 등 국가 안보 측면에서도 주요한 역할을 담당
  *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전기 사용의 탄력성을 강화하고 비용 효율적 방식으로 에너지 시스템의 탈탄소화를 뒷받침

    하는 것으로 평가
    - 경량화·소형화·효율화 추세에 따라 우주항공, 철도, 해양 기술과 관련한 배터리 활용성 또한 제고될 것으로 예상


○ 현 배터리 생산 부문은 여러 대륙에 걸친 복잡한 가치사슬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동아시아 의존성이 매우 높은 편
  - 영국 또한 대다수 국가와 마찬가지로 자국 내 배터리 및 관련 부품 수요 대부분을 수입을 통해 충당하는 상황으로, 배터리가 다수

    현대 기술의 핵심 요소라는 점에서 가치사슬에 대한 투자 확보가 경제 안보에 중요


○ 향후 수십 년간의 글로벌 배터리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가운데, 영국은 혁신, 스타트업, 자동차 제조 부문의 비교 우위를 바탕으로

    배터리 산업 생태계 강화 기회 확보

    ※ ▲(혁신) 글로벌 산업용 배터리 연구 품질 3위 기록 ▲(스타트업) 선도적인 전기차 배터리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관련 기업  

      가치 유럽 2위, 글로벌 4위 차지 ▲(자동차 제조) 가치 측면에서 유럽 2위의 자동차 제조 부문을 구축하여 연간 매출액 700억

      파운드, 고용 인원 약 166,000명에 도달

    - 성공적인 배터리 산업은 일자리와 지역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는 핵심 원천으로, ’40년까지 관련 고용 인원이 총 100,000명

      (셀 제조 35,000명, 배터리 공급망 65,0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
    - 이는 채굴에서부터 가공, 제조, 재활용에 이르는 고임금 일자리 창출 기회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
    ※ 현재 다수 기업의 영국 배터리 공급망 투자가 진행되는 상황으로, 40억 파운드 규모의 타타 그룹 기가팩토리 건설 투자,

      닛산·AESC의 선더랜드 배터리·전기차 제조 허브 신규 투자 등이 대표적

 

 

--------------------------------------------------------------------------------------------------------------------------------------------------------

 

 

 

영국의배터리.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100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AI 기반 디자인 산업 지능화 RnD 신규 사업기획을 위한 기술수요조사서 5도토리 김민성
6099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2024년 수출제고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미래전장 첨단장비 제어기술 개발 사업 수요조사 공고문 3도토리 김민성
609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전망] 2024년 미국 바이오제약 산업 투자 전망과 업계 주요 키워드 3도토리 김민성
6097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주행거리 기반 요금제 5도토리 나혜선
609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플라즈마를 응용한 오존을 이용한 농작물 청정도 및 신선도 개선기술 5도토리 나혜선
60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과 로봇 5도토리 나혜선
60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 - 2023 펀더멘털 성적표_大 주주 환원 시대 5도토리 나혜선
609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기오염 방지 설비 기술 및 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
6092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인공지능(AI) 규제 현황과 시사점 5도토리 나혜선
609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6G 미래 기술 동향 5도토리 민준석
609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수소 경제사회의 실현을 위한 액체 암모니아 전기 분해 기술 5도토리 민준석
608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리 정부의 CCUS 정책과 우리 기업의 크로스보더 CCS 프로젝트 사례 7도토리 민준석
60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 - 상반기 유효한 선택 7도토리 민준석
60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증권 - 저PBR 수혜주 자동차, 이후 투자전략 5도토리 황세영
60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증권 - 웰컴투 현기차 7도토리 황세영
608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국내 첨단재생의료 시장 및 산업 현황 조사 13도토리 황세영
60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제 - 다시 갈 길을 간다 7도토리 황세영
608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산업정책 방향과 시사점 13도토리 황세영
60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산업 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차 부품산업 분류체계 13도토리 황세영
6081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범부처 사회문제해결 기반 구축 1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