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기후테크 산업 동향 및 우수 기업 사례를 통해 본 성공 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136
용량 3.75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기후테크 산업 동향 및 우수 기업 사례를 통해 본 성공 전략.pdf 3.7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0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43 

[요 약]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파괴적 혁신 기술, 즉 기후테크가 필요하다. 기후테크란, 기후 (Climate)와 테크(Technology)의 합성어로, 온실가스 배출 감소와 기후변화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모든 범위의 기술을 지칭한다. 2016년 169억 달러(약 22조 원)이었던 기후테크의 산업 규모는 2032년에는 1,480억 달러(약 20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후테크 산업은 민간 차원에서 성장을 견인 중으로, 벤처캐피털 중심으로 투자가 진행 중이다. 현재 ▲ 운송·모빌리티, ▲ 에너지, ▲ 식품·농업, ▲ 탄소 시장 분야가 중점적으로 투자되고 있다. 기후테크 투자금 증가에 따라 기후테크 유니콘기업 수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2022년 기후테크 유니콘기업은 총 83개 사이며 이들 기업의 총가치는 약 1,800억 달러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기후테크 산업에 신규 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진입이 원활해지고 있어, 이들 기업의 성장이 점쳐지고 있다. 이는 성숙기에 접어든 전통적인 투자 영역에서 신규 투자 영역으로 다변화되고 있으며, 초기 기술에 대한 투자금이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규 및 잠재 기술에 대한 수요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예정이며, 기후테크 주도권에 대한 특정 국가의 비중이 감소해 기후테크 진입장벽이 완화 중이다. 아울러 주요국의 기후테크를 통한 탄소중립 목표 달성 의지 시그널이 명확해지고 각종 ESG 기준이 강화되는 현상이 기후테크 수요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테크 산업에서 성공적인 사업 전략을 일궈낸 우수사례들이 쏟아지면서 진입가능한 기후테크 비즈니스의 스펙트럼은 크게 확장 중이다.
 

 

------------------------------------------------------------------------------------------------------------------------------------------------------

 

 

기후테크.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100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AI 기반 디자인 산업 지능화 RnD 신규 사업기획을 위한 기술수요조사서 5도토리 김민성
6099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2024년 수출제고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미래전장 첨단장비 제어기술 개발 사업 수요조사 공고문 3도토리 김민성
609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전망] 2024년 미국 바이오제약 산업 투자 전망과 업계 주요 키워드 3도토리 김민성
6097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주행거리 기반 요금제 5도토리 나혜선
609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플라즈마를 응용한 오존을 이용한 농작물 청정도 및 신선도 개선기술 5도토리 나혜선
60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과 로봇 5도토리 나혜선
60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 - 2023 펀더멘털 성적표_大 주주 환원 시대 5도토리 나혜선
609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기오염 방지 설비 기술 및 산업 동향 5도토리 나혜선
6092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인공지능(AI) 규제 현황과 시사점 5도토리 나혜선
609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6G 미래 기술 동향 5도토리 민준석
609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수소 경제사회의 실현을 위한 액체 암모니아 전기 분해 기술 5도토리 민준석
608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리 정부의 CCUS 정책과 우리 기업의 크로스보더 CCS 프로젝트 사례 7도토리 민준석
60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 - 상반기 유효한 선택 7도토리 민준석
60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증권 - 저PBR 수혜주 자동차, 이후 투자전략 5도토리 황세영
60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증권 - 웰컴투 현기차 7도토리 황세영
608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국내 첨단재생의료 시장 및 산업 현황 조사 13도토리 황세영
60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제 - 다시 갈 길을 간다 7도토리 황세영
608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산업정책 방향과 시사점 13도토리 황세영
60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산업 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차 부품산업 분류체계 13도토리 황세영
6081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범부처 사회문제해결 기반 구축 1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