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연구]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3
용량 1016.18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연구]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pdf 1016.1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1-3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3 

[요 약]

 

국민 10명 중 8명은 향후 국가 경제에서 농업의 위상이 더 중요해질 것으로 인식
• 농업인 78.1%, 도시민 80.5%가 앞으로 농업이 국가 경제에서 중요하다고 응답함.

 

도시민 절반 이상이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의 가치 인정, 특히 ‘식량(농식품)의 안정적 공급’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
• 도시민 58.7%는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이 갖는 가치를 높게 평가하였으며, 가장 중요한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으로 ‘식량 (농

    식품)의 안정적 공급’, ‘환경 및 생태계 보전 기여’, ‘국토 균형발전 기여’ 등을 꼽음.
• 도시민 중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유지 및 보전하기 위한 추가 세금부담에 찬성하는 비율은 62.4%, 농촌복지 관련 예산 증액

    에 찬성하는 비율은 48.9%로 조사되어, 5년 전보다 농업·농촌 지원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음.

 

농업인의 직업 만족도는 하락한 반면 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상승
• 직업으로서 농업인에 만족한다는 응답 비율은 전년 대비 7%p 감소한 18.3%에 머물렀음. 불만족(27.7%)의 가장 큰 이유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노력에 비해 낮은 보수’(54.6%)였음.
• 농업경영의 가장 큰 위험 요소는 ‘농업 생산비 증가’(21.1%), ‘일손 부족’(15.9%),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과 재배 여건 변화’
    (13.3%) 등의 순으로 전년과 동일함.
• 농업인의 생활 만족도는 26.3%(전년 대비 3.2%p 상승)로, 만족도가 높은 생활 분야는 ‘주거 환경’(34.7%), ‘이웃과의 관계’

    (34.7%) 등이었음.

 

농식품 주요 이슈로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전년도와 동일하게 ‘자연재해’를 가장 많이 선택
•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관심이 많았던 농식품 분야 주요 이슈는 ‘자연재해’, ‘기후변화’, ‘농산물 가격 안정’ 등으로 나타남.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인구변화에 따른 농촌 소멸 위기감을 공유
•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농촌의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인구감소와 고령화’를 꼽은 데 이어, 보건·의료복지, 일자리, 주거 여건 등

    열악한 정주 환경을 지적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051 성장동력산업 [연구동향] 난치성 폐질환(Intractable Lung Disease) R&D 연구동향 5도토리 노민우
7050 성장동력산업 [연구동향] RIS(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반사 표면) R&D 연구동향 5도토리 노민우
7049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2023년 클라우드 산업 실태조사 13도토리 노민우
7048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2023년 블록체인 산업 실태조사 13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7도토리 노민우
70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경제안보·통상 환경변화와 보건산업 GVC 재편 관련 영향조사 13도토리 노민우
70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CES 2024 주요 트렌드 7도토리 노민우
7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지능형 반도체 산업 동향 및 관련 기술 현황 5도토리 노민우
7043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코로나 이후 시대 식품시장 변화에 대응한 농식품 안전관리 대응과제 13도토리 국준아
7042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13도토리 국준아
7041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지역기반 농촌산업 고도화 전략 연구 13도토리 국준아
7040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수요자 중심 지역 농업 R&D 개선 과제 13도토리 국준아
7039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다수준 거버넌스 관점의 산림정책 수립 방향과 과제 13도토리 국준아
7038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13도토리 국준아
7037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농촌 노인 맞춤 복지를 위한 사회서비스 실태와 정책과제 13도토리 국준아
7036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농식품산업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펫푸드 산업 육성 과제 13도토리 국준아
7035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농식품 재정 세입 구조 개선 연구 13도토리 국준아
7034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FTA 원산지규정 활용방안 13도토리 국준아
7033 성장동력산업 [연구분석] 디지털 기술로 재무장해 세계 시장으로 돌아온 중소기업 7도토리 전아람
7032 성장동력산업 [연구분석] 디지털 대전환 기술과 보다 나은 민주주의를 위한 디지털 시민성 7도토리 전아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