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한국과 아세안의 관계 변화 단계 구분 내용 시작 단계 1989년 부분 대화상대국(Sectoral Dialogue Partner) 관계 수립 발전 단계 1991년 완전 대화상대국(Full Dialogue Partnership) 관계로 격상 1998년 제1차 아세안+3 정상회의 및 한-아세안 정상회의 개최 2004년 포괄적 협력동반자(Comprehensive Cooperation Partnership) 관계 수립 2006년 한-아세안 FTA 상품협정 체결 2007년 한-아세안 FTA 서비스협정 체결 공고화 단계 2010년 전략적 동반자(Strategic Partnership)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채택 2012년 주 아세안 대한민국 대표부 설치 2017년 신남방정책 수립 2019년 대화관계 수립 30주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 2020년 신남방정책 플러스 수립 2021 이슈보고서 신남방정책 플러스를 통한 한-아세안 협력방안 모색 - 3 - Ÿ 한편, 한-아세안 무역 관계는 한국이 아세안과 ‘대화 관계(dialogue partner)’를 수립했던 1989년과 비 교해 30년 후인 2018년에는 교역액이 약 20배 증가하였고, 동 기간 한국의 전체 수출 및 수입 규모 가 각각 7.3배와 6.8배 증가하였음. 1989년 한국은 아세안 국가들을 상대로 약 1억 5천만 달러의 무 역적자를 기록했으나, 2018년에는 약 405억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하였음. [그림 1] 대 아세안 수출입 통계 비교(1989년 vs. 2018년) (단위: 억 달러) 자료: 한국무역협회; ASEAN Statistical Yearbook 2019 [그림 2] 한-아세안 무역 현황 한-아세안 무역량 추이 2020년 한국과 아세안 회원국 간의 무역 자료: Direction of Trade Statistics(IMF) 주) 십억 달러 자료: Direction of Trade Statistics(IMF) 주) 백만 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