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신남방정책 플러스를 통한 한-아세안 협력방안 모색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73
용량 587.3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신남방정책 플러스를 통한 한-아세안 협력방안 모색.pdf 587.3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3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Ⅰ. 한국과 아세안의 관계 변화 단계 구분 내용 시작 단계 1989년 부분 대화상대국(Sectoral Dialogue Partner) 관계 수립 발전 단계 1991년 완전 대화상대국(Full Dialogue Partnership) 관계로 격상 1998년 제1차 아세안+3 정상회의 및 한-아세안 정상회의 개최 2004년 포괄적 협력동반자(Comprehensive Cooperation Partnership) 관계 수립 2006년 한-아세안 FTA 상품협정 체결 2007년 한-아세안 FTA 서비스협정 체결 공고화 단계 2010년 전략적 동반자(Strategic Partnership)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채택 2012년 주 아세안 대한민국 대표부 설치 2017년 신남방정책 수립 2019년 대화관계 수립 30주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 2020년 신남방정책 플러스 수립 2021 이슈보고서 신남방정책 플러스를 통한 한-아세안 협력방안 모색 - 3 - Ÿ 한편, 한-아세안 무역 관계는 한국이 아세안과 ‘대화 관계(dialogue partner)’를 수립했던 1989년과 비 교해 30년 후인 2018년에는 교역액이 약 20배 증가하였고, 동 기간 한국의 전체 수출 및 수입 규모 가 각각 7.3배와 6.8배 증가하였음. 1989년 한국은 아세안 국가들을 상대로 약 1억 5천만 달러의 무 역적자를 기록했으나, 2018년에는 약 405억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하였음. [그림 1] 대 아세안 수출입 통계 비교(1989년 vs. 2018년) (단위: 억 달러) 자료: 한국무역협회; ASEAN Statistical Yearbook 2019 [그림 2] 한-아세안 무역 현황 한-아세안 무역량 추이 2020년 한국과 아세안 회원국 간의 무역 자료: Direction of Trade Statistics(IMF) 주) 십억 달러 자료: Direction of Trade Statistics(IMF) 주) 백만 달러,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099 성장동력산업 대만을 둘러싼 미중갈등의 배경과 현황 1도토리 국준아
1098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화폐 환상 연구 7도토리 조정희
1097 성장동력산업 중앙아시아 인프라 개발 및 PPP 사업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96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경제지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1095 성장동력산업 2020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1094 성장동력산업 아제르바이잔 경제발전전략과 한국과의 신협력 과제 3도토리 조정희
1093 성장동력산업 미중 패권경쟁 및 코로나19 시대의 신남방국가 투자환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신남방정책 플러스를 통한 한-아세안 협력방안 모색 1도토리 국준아
1091 성장동력산업 벤처기업 성과 원인 분석 - 자금조달 유형을 중심으로 7도토리 조정희
1090 성장동력산업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소산업 육성과 국제협력 1도토리 국준아
1089 성장동력산업 아세안 역내 서비스시장 통합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088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의약품 산업 동향과 한국 경쟁력 현황 3도토리 조정희
1087 성장동력산업 서방의 대러 제재 이후 러-중 경제협력 확대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86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주52시간제 전면시행 대응 방법 3도토리 조정희
1085 성장동력산업 상반기 수출입 평가와 하반기 전망(2021) 7도토리 조정희
1084 성장동력산업 이집트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83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공동부유 추진과 플랫폼 대기업 규제 1도토리 국준아
1082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팬데믹의 국내 지역경제 영향 1도토리 조정희
1081 성장동력산업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협정 발효와 향후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080 성장동력산업 인도의 자동차 시장(전기차 중심)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