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전망]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 2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150
용량 13.33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전망]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 2.pdf 13.3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1-2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592 

1) 수급 동향

  ∙ 2023년 엽근채소(배추, 무, 당근, 양배추) 재배면적은 배추와 양배추가 2022년과 비슷하였 으나 무와 당근 재배면적이 늘면서

    전체적으로는 2022년 대비 3.0% 증가한 6만 969ha이다.
  ∙ 재배면적에 단위당 수확량을 적용한 2023년 엽근채소 생산량은 2022년 대비 3.7% 증가한 391만 9천 톤으로 추정된다.

  2023년은 2022년과 같은 태풍 및 한파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어 단위당 수확량 변동은 크지 않았으며 생산량 증가는 재배면적

  증가의 영향이 컸다.

  ∙ 수입량에서 수출량을 뺀 2023년 엽근채소 순수입량은 2022년 대비 9.9% 증가한 64만 2천 톤이다.

    - 물량 기준으로는 배추 및 김치(4만 5천 톤 증가)와 당근(1만 4천 톤 증가)이 수입 증가를 이끌었으나 증감률로는 양배추(4배

      이상 증가)의 수입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무는 수출량이 수입량보다 많았으며 이는 2022년과 비슷한 패턴이다.

  ∙ 국내생산량과 순수입량을 적용한 2023년 엽근채소 총 공급량은 2022년 대비 4.5% 증가한 456만 1천 톤이며, 자급률은 수입량

    증가로 2022년 대비 0.7%p 하락한 85.9%이다.


2) 수급 전망
  ∙ 2024년 엽근채소(배추, 무, 당근, 양배추) 재배면적은 2023년 대비 2.8% 감소한 5만 9천 ha, 생산량은 3.8% 감소한 376만

    9천 톤으로 전망된다. 엽근채소 모든 품목의 생산량이 2023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감소폭은 당근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엽근채소 순수입량은 2023년 대비 1.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생산량과 순수입 량을 고려한 총 공급량은 2023년

    대비 3.1% 감소한 441만 8천 톤으로 전망된다.

  ∙ 2024~2033년까지 엽근채소 재배면적은 연평균 0.7% 감소할 전망이다. 양배추를 제외한 전 품목의 재배면적 감소가 예상되며

    이중 배추의 연평균 재배면적 감소폭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다.
 

 

--------------------------------------------------------------------------------------------------------------------------------------------------------

 

 

불확실성2.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06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문화유산 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안 5도토리 정한솔
6059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2024년도 농림축산식품부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통합 공고 5도토리 정한솔
6058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3도토리 정한솔
6057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해양탄소 재순환 가치사슬 실현을 위한 해상 메탄올 생산 및 운송기술 개발 3도토리 정한솔
6056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2024년도 무선신호 탐지기술을 통한 선박식별 기술체계 개발사업 신규과제 사전 공고 3도토리 정한솔
6055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24년 원자력안전 연구개발 사업계획안 9도토리 정한솔
6054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24년 산림과학기술 출연연구개발사업 신규 연구개발과제 추진 계획 예고 3도토리 정한솔
6053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기술개요 - 현장수요 대응 원전 첨단 제조기술 및 부품장비 개발(원자력) 5도토리 정한솔
6052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기술개요 - 대용량 고출력(1MVA급) 무정전전원장치 위험성 평가 및 안전기술 개발 5도토리 정한솔
6051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2024년 문화체육관광 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 5도토리 정한솔
6050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계획공고] 2024년도 해양수산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통합 공고 5도토리 정한솔
60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4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2024년 1분기 전망 7도토리 강정훈
6048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대학 혁신을 위한 진로탐색학점제 지원사업 개편 방안 13도토리 강정훈
60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영국의 배터리 전략 7도토리 강정훈
6046 성장동력산업 [기술정보] 중소기업 네트워크 장비 보안점검 안내서 9도토리 강정훈
6045 성장동력산업 [연구분석] 인공지능(AI)이 변화시킬 미래의 연구수행 모습 9도토리 장민환
6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후테크 산업 동향 및 우수 기업 사례를 통해 본 성공 전략 9도토리 장민환
6043 생명공학/바이오 [연구동향] ADC 항암제 관련 연구개발 동향 5도토리 장민환
60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한미 무역 및 주요 품목 수출 동향 5도토리 장민환
60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대중문화예술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13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