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중소기업 주52시간제 전면시행 대응 방법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87
용량 631.42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중소기업 주52시간제 전면시행 대응 방법.pdf 631.4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6-29 
출처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페이지 수 : 21 

[ 목 차 ]

 

1. 서론

 

2. 중소기업의 주 52시간제 도입 현황 및 관련 쟁점

 

3. 국내 중소기업의 주 52시간제 도입 사례

 

4. 중소기업의 대응 방안

 


 

n 근로기준법 개정(2018년 3월 20일 공포)으로 주당 최대 근로시간이 총 68시간에서총 52시간으로 단축하는 주52시간제 도입• 주52시간제는 기업규모별로 단계적으로 적용되어 왔으며, 2021년 7월 1일부터는5인 이상 49인 이하 사업장까지 적용되어 전면 시행될 예정• 주52시간제 적용을 받는 5~299인 이하 사업장은 822,314개사, 근로자 수는9,290,369명으로, 전체 주52시간제 적용 사업장 및 근로자 수의 각각 99.6%,79.1% 차지n 중소기업의 주52시간제 시행과 관련하여 업계는 유연근로시간제 등 제도적 개선과함께 특수성 고려와 운영 유연성을 요구• (50~299인 이하 중소기업의 주52시간제 도입 전 쟁점) 유연근로시간제(탄력적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 확대 및 요건 완화와 특별연장근로허용범위 확대 등• (중소기업의 전면시행을 앞둔 현 시점의 쟁점) 5~49인 이하 기업에 계도기간 부여, 산업 특수성 반영, 근로시간제도 유연화에 대한 제도 보완 요구 등n 최근 생산직과 사무직의 개별적인 근로상황에 따라 노동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교대근무제, 유연근로시간제, 업무효율성 증진, 근로시간 강화, 일과 가정의 균형 방안 등을 도입하는중소기업 사례도 증가• (사례: A기업) 주야 맞교대제로 인해 상시적으로 초과근로가 발생함에 따라 정부의일자리 함께하기 설비투자 융자 등을 통해 교대제 개편, 설비투자, 유연근로시간제를도입• (사례: B기업) 특정계절 또는 시기에 업무량이 집중되어 주52시간 초과가 발생함에따라, 정부의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신규채용, 임금보전)과 노동시간 단축컨설팅을 통해 교대제를 개편하고 탄력근로제를 도입• (사례: C기업) 상시적인 연장・휴일근로로 주52시간이 초과됨에 따라, 일자리 함께하기지원,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사업을 통해 교대제를 개편하고 신규직원을 채용• (사례: D기업) 특정 업무의 독립성이 큰 편이고 근로자별로 업무량이 많은 시간대가달라 직무별로 주5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정부의 노동시간 단축컨설팅을 통해 선택근로제를 도입n 중소기업은 주52시간제 전면시행을 계기로 인식전환, 생산성 향상, 기업문화 개선, 청년 인재의 확보 및 유지 강화를 위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 (인식 전환) 주52시간제가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중소기업CEO의 인식 전환이 필요• (생산성 향상) 주52시간제가 성공적으로 안착되기 위해선 생산성 향상 노력과병행될 필요• (기업문화 개선) 주52시간제 도입을 단순히 근로시간제의 변화에 국한하지 않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를 기업문화 개선의 계기로 삼을 필요• (청년 인재의 확보 및 유지 강화) 주52시간제 시행을 청년 인재의 확보 및 유지노력과 적극 연계할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099 성장동력산업 대만을 둘러싼 미중갈등의 배경과 현황 1도토리 국준아
1098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화폐 환상 연구 7도토리 조정희
1097 성장동력산업 중앙아시아 인프라 개발 및 PPP 사업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96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경제지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1095 성장동력산업 2020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1094 성장동력산업 아제르바이잔 경제발전전략과 한국과의 신협력 과제 3도토리 조정희
1093 성장동력산업 미중 패권경쟁 및 코로나19 시대의 신남방국가 투자환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92 성장동력산업 신남방정책 플러스를 통한 한-아세안 협력방안 모색 1도토리 국준아
1091 성장동력산업 벤처기업 성과 원인 분석 - 자금조달 유형을 중심으로 7도토리 조정희
1090 성장동력산업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소산업 육성과 국제협력 1도토리 국준아
1089 성장동력산업 아세안 역내 서비스시장 통합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088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의약품 산업 동향과 한국 경쟁력 현황 3도토리 조정희
1087 성장동력산업 서방의 대러 제재 이후 러-중 경제협력 확대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주52시간제 전면시행 대응 방법 3도토리 조정희
1085 성장동력산업 상반기 수출입 평가와 하반기 전망(2021) 7도토리 조정희
1084 성장동력산업 이집트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83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공동부유 추진과 플랫폼 대기업 규제 1도토리 국준아
1082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팬데믹의 국내 지역경제 영향 1도토리 조정희
1081 성장동력산업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협정 발효와 향후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080 성장동력산업 인도의 자동차 시장(전기차 중심)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