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상반기 수출입 평가와 하반기 전망(2021)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98 | |
---|---|---|---|---|---|---|
용량 | 2.08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08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06-29 |
---|---|
출처 :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
페이지 수 : | 80 |
[ 목 차 ]
Ⅰ. 2021년 상반기 수출입 동향 및 평가
Ⅱ. 2021년 하반기 무역 · 통상환경 전망
Ⅲ. 2021년 하반기 수출입 전망
Ⅳ. 품목별 수출 동향 및 전망
요 약1 2021년 상반기 수출입 동향2021년 1~5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4% 증가한 2,484억 달러, 수입은 20.9% 증가한2,348억 달러, 무역수지는 137억 달러 흑자 기록백신 보급 및 주요국 대규모 경기부양책으로 글로벌 경기 회복세가 본격화되면서 수출은 7개월연속 플러스 증가율을 보임* 총수출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 %) : (‘20.11) 3.9 (12) 12.4 (‘21.1) 11.4 (2) 9.3 (3) 16.4 (4) 41.2 (5) 45.6품목별로는 견조한 IT수요를 바탕으로 반도체 수출 호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15대 주요 품목수출이 모두 증가세로 전환* 품목별 수출증가율(‘21.1~5, 전년 동기 대비, %) : (석유화학) 47.8 (자동차) 47.5 (가전) 36.2 (자동차부품)35.1 (무선통신기기) 34.9 (바이오헬스) 31.2 (평판디스플레이) 24.9 (철강) 22.4 (이차전지) 21.0 (반도체)19.2 (선박류) 18.2 (석유제품) 18.0 (섬유류) 10.7 (일반기계) 6.7 (컴퓨터) 3.6지역별로는 중국, 미국, EU 주요 3대 시장으로의 수출이 1~5월 기준 26% 이상 증가했으며아세안 수출도 13.3% 증가* 주요 국가·지역별 수출증가율(‘21.1~5, 전년 동기 대비, %) :(EU) 41.0 (미국) 31.1 (중국) 26.0 (중남미) 24.6 (아세안) 13.3 (일본) 6.6 (중동-) 10.3수입은 국제유가 상승과 함께 민간소비 및 기업 생산·투자가 활발해지면서 자본재를 중심으로 크게 증가* 성질별 수입증가율(‘21.1~5, 전년 동기 대비,%) : (자본재) 32.1 (소비재) 21.5 (중간재) 19.9 (1차 산품) 15.7무역수지는 국제유가 상승 및 수입 확대 영향으로 2분기부터 흑자규모가 점차 축소되는 추세최근 수출입 실적 추이(2021년 1~5월)(단위 : 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구 분 2019년 2020년2021년1월 2월 3월 4월 5월 1~5월수출액 5,422 5,125 480 447 537 512 508 2,484(증가율) (-10.4) (-5.5) (11.4) (9.3) (16.4) (41.2) (45.6) (23.4)수입액 5,033 4,676 443 422 496 508 478 2,348(증가율) (-6.0) (-7.1) (3.7) (14.2) (18.7) (33.9) (37.9) (20.9)수 지 389 449 37 25 41 4 30 13722021년 20호2 2021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2021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백신 접종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올해 글로벌 경기회복에대한 기대감이 상승올해 6월 중순(6/16)까지 미국의 백신 접종률은 50%를 초과했으며, 유럽 주요국의 경우에도접종률이 약 40% 이상 진행 중상반기 수출은 전 세계적인 백신 보급 확대 및 글로벌 경기회복 기대감 속에서 기저효과와무관하게 역대급 수출 실적을 기록하며 선방글로벌 교역 및 주요국 수입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우리 수출도 15대 주력 품목 수출이 모두플러스로 반등하며 역대급 실적을 경신수출 물량과 단가가 동시에 큰 폭으로 개선되면서 수출 회복세가 가속화되었으며 작년에 이어차세대·신성장 품목 수출호조세가 지속되고 있음완성차 업계의 증산 요구분에 대해 차량용 반도체가 부족한 상황이나 수출 감소 영향은 제한적,해상운임 급등으로 화주 부담 및 물류 불확실성은 상존2021년 상반기 우리 무역의 7大 특징세계경제/교역글로벌 교역은 코로나19 부진으로부터 빠르게 회복 중- 2021년 1분기 수출 상위 10개국 수출이 모두 증가세로 전환 1수출은 역대급실적 달성상반기 수출은 기저효과오 무관하게 역대급 수출실적을 기록 중- 올해 1~5월 수출(2,484억 달러)은 기존 최대실적(’18.1~5월, 2,456억 달러)을 상회 2물량/단가동시 개선주요 품목의 수출 물량과 단가가 동시에 개선되면서 수출 회복세 견인- 글로벌 경기회복 및 국제유가 상승으로 물량 및 단가 회복세 가속화 33大수출 기여품목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부품 수출이 상반기 수출 호조세에 가장 크게 기여- 특히 반도체는 모바일 등 견조한 비대면 IT수요에 힘입어 수출증가세를 주도 4신성장 산업수출 호조세차세대·신성장 산업은 수출 호조세 지속- 1~5월 8대 신산업 수출은 30.4% 증가(1~5월 총 수출증가율 23.4%를 상회) 5차량용 반도체공급 부족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발생 → 상반기 자동차 생산·수출 차질은 제한적- 1~5월 월평균 軍생산량은 29.8만대로 코로나19 이전 수준(’19년 32.9만대)에 접근 6해상운임급등선복 부족 및 해상운임 급등으로 화주 부담 및 물류 불확실성 확대- 최근 1년 동안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는 279% 상승(’20.6.19 989 → ’21.6.18 3,748) 7자료 : 국제무역통상연구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