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협정 발효와 향후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11
용량 982.7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협정 발효와 향후 전망.pdf 982.7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3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Ÿ (아프리카경제공동체(AEC)) 아프리카연합(African Union: AU)은 1994년 아프리카의 자주적 지역통합 달성을 위한 아프리카경제공동체(Africa Economic Community: AEC)를 창설함. - AEC는 34년 동안(1994~2028) 여섯 단계를 거쳐 대륙의 경제적 통합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지역경제공동체(REC)는 이를 위한 첫 단계로 지역 단위의 경제적 통합을 목표로 함. Ÿ (아프리카지역경제공동체(REC)) AU는 동부(EAC, IGAD), 서부(ECOWAS), 남부(SADC), 북부(AMU), 중부 (ECCAS), 중남부(COMESA), 그리고 북부 및 사하라 이남 지역(CEN-SAD) 총 8개의 지역경제공동체(REC)를 AEC의 구성체로 인정함. - 지역통합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8개 REC의 역내 통합 수준은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며, 특히 무역통합의 경우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임. Ÿ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AfCFTA는 REC별 상이한 정책 및 규정을 통합하고 아프리카 무역 자유화와 경제통합을 위한 목적으로 출범됨. - 2019년 7월 공식 출범, 2021년 1월 공식 발효되었으며, 2021년 10월 기준 창설에 유일하게 동의하지 않은 에리트레아를 제외하고 54개 회원국 중 총 41개 국가가 비준을 완료함. Ÿ (전망) AfCFTA 협정 아래 참여하는 모든 회원국이 13년 동안 단계적으로 관세장벽의 97%를 철폐하는 것에 합의함에 따라 역내무역의 활성화가 전망되며, 지역 가치사슬 구축을 통한 외부의존 감소, 경제성장 및 경쟁력 확보가 기대됨. Ÿ (과제) AfCFTA는 회원국별 경제 규모의 격차가 가장 큰 자유무역협정으로 경제발전 수준이 높은 국가가 자유무역으로부터의 혜택을 독식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혜택은 국가별 제조업 및 인프라 발달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Ÿ (시사점) AfCFTA을 통한 관세 철폐와 무역 규정의 통일로 거점국에서 인접국 및 다른 지역 국가로의 진출이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AfCFTA가 공식 발효된 현재 우리나라도 AfCFTA의 적극 활용을 위한 거점국 선정 및 진출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음. - 대 아프리카 협력 및 진출 확대는 미래 시장 확보뿐만 아니라 에너지 자원 확보에도 중요함. 따라서 효과적인 협력 및 진출을 위한 AfCFTA 활용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유망 분야 및 시장 수요를 고려한 협력 및 진출 분야 선정이 필요함. 2021 이슈보고서 아프리카 자유무역지대(AfCFTA) 시행과 향후 전망 - 2 - 지역별 경제통합을 위한 지역경제공동체(Regional Economic Community: REC) 창설 Ÿ 아프리카 국가들 간의 지역통합을 위한 노력은 1963년 아프리카단결기구(Organisation of African Unity: OAU)의 창설을 시발점으로 하고 있음. - 아프리카연합(African Union: AU)의 전신인 OAU는 아프리카인들의 연대와 단결을 목적으로 하는 범아프리카주의(Pan-Africanism) 이념을 바탕으로 창설되었으나, 내정 불간섭 원칙과 비효율성 관련 문제*가 제기되면서 1977년 해체됨.1) * 유럽 국가들에 의한 식민 통치 경험의 영향으로 인한 내정 불간섭의 고수로 회원국의 인권 유린 및 정변 사태에 대한 개입을 회피하여 국제적으로 큰 비난을 받았으며, 아프리카가 당면한 문제의 해결보다는 현상 유지에 초점을 둔 결과 사실상 통합 기구로서 큰 역할을 하지 못함. Ÿ OAU를 승계하여 2002년 출범한 AU는 OAU가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철폐, 식민지배 종식 등의 정치적 아젠다에 초점을 둔 것과는 달리 대륙의 경제 및 사회개발, 지역통합, 평화 및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두며 인권 유린 등의 상황에서 회원국에 대한 내정 간섭의 권한을 가짐. Ÿ 또한, 아프리카의 자주적 지역통합 달성을 위한 시발점으로 지역의 경제적 통합을 위하여 1975년 라고스 행동계획(Lagos Plan for Action)*과 1991년 아부자 조약(Abuja Treaty)**을 통해 아프리카경제공동체(Africa Economic Community: AEC)가 창설됨. - AEC는 궁극적으로 아프리카 국가들의 사회·문화적 개발과 경제통합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체계 확립을 통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자립, 개발, 인적 및 물적 자원 동원 등을 목표로 함. - 1994년부터 2028년까지 34년 동안 여섯 단계를 거쳐 대륙의 경제적 통합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지역경제공동체(REC)는 이를 위한 첫 단계로 지역 단위의 경제적 통합을 목표로 함(표1 참고). * 라고스 행동계획: 아프리카의 자립을 증진하고 아프리카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여 서방 국가와의 연계를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 ** 아부자 조약: OAU 회원국들이 유럽연합에 근접한 수준의 아프리카경제공동체(AEC)를 구성하는 것에 합의한 조약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100 성장동력산업 펀드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수탁서비스 발전 방향 1도토리 조정희
1099 성장동력산업 대만을 둘러싼 미중갈등의 배경과 현황 1도토리 국준아
1098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화폐 환상 연구 7도토리 조정희
1097 성장동력산업 중앙아시아 인프라 개발 및 PPP 사업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96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경제지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1095 성장동력산업 2020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1094 성장동력산업 아제르바이잔 경제발전전략과 한국과의 신협력 과제 3도토리 조정희
1093 성장동력산업 미중 패권경쟁 및 코로나19 시대의 신남방국가 투자환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92 성장동력산업 신남방정책 플러스를 통한 한-아세안 협력방안 모색 1도토리 국준아
1091 성장동력산업 벤처기업 성과 원인 분석 - 자금조달 유형을 중심으로 7도토리 조정희
1090 성장동력산업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소산업 육성과 국제협력 1도토리 국준아
1089 성장동력산업 아세안 역내 서비스시장 통합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088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의약품 산업 동향과 한국 경쟁력 현황 3도토리 조정희
1087 성장동력산업 서방의 대러 제재 이후 러-중 경제협력 확대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86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주52시간제 전면시행 대응 방법 3도토리 조정희
1085 성장동력산업 상반기 수출입 평가와 하반기 전망(2021) 7도토리 조정희
1084 성장동력산업 이집트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83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공동부유 추진과 플랫폼 대기업 규제 1도토리 국준아
1082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팬데믹의 국내 지역경제 영향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협정 발효와 향후 전망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