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개요] 표준설계 통합 인허가 및 혁신형 피동안전계통 개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오민아 조회수 38
용량 134.05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개요] 표준설계 통합 인허가 및 혁신형 피동안전계통 개발.pdf 134.0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1-2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ㅇ (제안 배경 및 사유)
- 미국 NuScale은 2020년 8월 설계인증(DC) 심사 승인을 받았으며 2026년 상업운전 시작을 목표로 추진 중임. 혁신형 SMR의 신속한 기술개발을 통한 경쟁노형과의 격 차를 줄이기 위해 규제기관과의 원활한 업무협의는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인허가 관련 기술개발이 시급히 요구됨.
- 혁신형 SMR은 2028년까지 표준설계인가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고, 원자력안전법 제12조에서는 표준설계안전성분석보고서를 첨부하여 제출하도록 요구됨. 이에 따라 표준설계 총괄, 표준설계안전성분석보고서 작성 및 규제기관 심사 대응을 위한 인허가 업무가 필수적임.
- 원자로시설에는 핵연료 설계제한치 및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 설계조건이 초과되지 않도록 사고 발생 시 냉각재 충수 및 노심냉각을 위한 비상노심냉각계통, 핵분열생 성물에 의한 붕괴열을 포함한 원자로 노심 잔열을 제거하기 위한 잔열제거계통 등 의 안전계통이 필수적임.
- 기존 상용원전에서는 상기 항목에서 요구되는 기기들은 능동계통으로 설계됨. 2011년 후쿠시마발전소 사고에서와 같이 능동계통에 대한 전원공급 중단 시 비상노심냉각계통의 작동 불능으로 노심냉각 및 잔열제거를 실패하여 중대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 혁신형 SMR은 능동계통을 배제하고 피동형 안전계통(PECCS/PAFS/PCCS/CIS)을 설치함으로써 펌프의 작동을 배제하고, 중력 및 압력과 같은 자연력을 이용하여 해당 안전기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피동안전계통을 설치함.
- 피동보조급수계통 (Passive Auxiliary Feedwater System, PAFS)은 비냉각재상실사고(Non-LOCA Event) 시 펌프의 작동이 불필요하도록 설계되며, 축전지로 작동되는 밸브의 작동만으로 증기발생기를 이용하여 노심의 열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됨. PAFS는 주증기관에 설치되며 노심의 잔열을 비상냉각수저장탱크 (Emergency Cooling Tank, ECT)로 방출함.
- 피동비상노심냉각계통 (Passive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 PECCS)은 PAFS 작동 조건이 아닐 경우 축전지로 작동되는 비상감압밸브 (Emergency Depressurization Valve, EDV) 및 비상재순환밸브 (Emergency Recirculation Valve, ERV)를 개방함. 고온의 냉각재 증기는 EDV를 통해 원자로용기 (Containment Vessel)로 방출되며, 피동격납용기냉각계통 (Passive Containment Cooling System, PCCS)의 열교환기에 의해 응축된 냉각수는 ERV를 통해 원자로로 재공급됨. 이 때, PCCS는 EDV 및 ERV 작동 시 노심열을 열교환기를 통해 ECT로 방출함.

- 격납용기 격리계통(Containment Isolation System, CIS)은 격납용기를 관통하는 배 관들이 연결되는 모든 노즐부에 결합되어, 격납용기 내부 또는 외부 배관 파단 사고 시 밸브를 자동으로 닫아 격납용기로부터 유출수를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함. 원자로 냉각재는 사고 발생 시 격납용기 격리밸브에 의해 격납용기 내 격리되므로, 외부에 사고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원자로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971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국제기구의 국가진단 방법을 통해 본 북한 경제발전 전망과 과제 13도토리 안소영
6970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역동적 혁신성장 촉진을 위한 산업기술정책 13도토리 안소영
696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모듈형원자로 안전해석 및 고신뢰도 안전해석기술 개발 3도토리 오민아
696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모듈형원자로 계통설계 검증 5도토리 오민아
696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내장형 제어봉 구동장치 성능 검증 3도토리 오민아
6966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혁신형 SMR 계통설계 7도토리 오민아
»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표준설계 통합 인허가 및 혁신형 피동안전계통 개발 3도토리 오민아
6964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모듈형원자로 MMIS 안전계통 표준 플랫폼 개발 3도토리 오민아
6963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모듈 통합 사이버보안 기술 및 통합관제시스템 개발 검증 3도토리 오민아
6962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다수모듈을 고려한 혁신형 SMR BOP 종합설계 기술 개발 7도토리 오민아
6961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무붕산 노심 탄력운전 전략 및 노심보호감시계통 기술개발 5도토리 오민아
6960 성장동력산업 [기술개발] 해수부 CO2 수송-주입 복합기능선박 기술개발 13도토리 오민아
695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CO2 수송-주입 복합기능선박 기술개발 사업 3도토리 오민아
695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반도체분야 신규지원 대상 연구개발과제 13도토리 오민아
695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해양위험유해물질(HNS)배출 등 관리기술 개발 3도토리 오민아
695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재생의료 기술개발 사업 3도토리 오민아
6955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기후 및 기후변화 감시·예측정보 응용기술 개발 3도토리 오민아
6954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해양경찰 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3도토리 오민아
695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해양 디지털항로 실증기술 개발 3도토리 오민아
695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불법 마약류 대응을 위한 현장기술 개발 5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