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EAEU 통합 확대와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96
용량 733.6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EAEU 통합 확대와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pdf 733.6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3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 EAEU의 성립과 발전 Ÿ (추진 배경) 1994년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전 대통령의 제안으로 추진된 EAEU는 구소련 지역 에 새로운 경제통합체를 설립, 세계경제의 변동에 대처하고 유라시아 지역의 통합을 추진함. Ÿ (설립 및 발전) 2010년 관세동맹 출범, 2012년 단일 경제공간 출범으로 지역 경제협력체가 형성되 기 시작하였으며, 2015년 유라시아경제연합(EAEU)이 출범하였음. EAEU는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 흐스탄 3개국으로 시작되어 키르기즈, 아르메니아가 추가로 가입하며 현재의 5개 회원국으로 구 성되었음. 이후 몰도바, 우즈베키스탄, 쿠바가 옵저버국으로 가입함. 2. EAEU 통합 추진 및 역내 경제협력 강화 Ÿ (통합 추진) 점진적으로 역내 관세를 전면 폐지코자 하며, 역외에 대해서는 단일관세율을 적용하 고 있음. ‘2025년까지의 EAEU 경제통합 전략’을 통해 2025년까지 전력, 에너지, 금융 서비스 시장 의 통합을 추진하고 있음. 회원국들의 출자로 출범한 ‘유라시아개발은행’과 ‘유라시아안정화펀드’가 유라시아 국가 간 통합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 Ÿ (역내 경제협력 강화) 회원국들 간의 교역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내 교역의 비중은 2015년 13.6% 에서 2020년 14.8%로 상승하였음. 역내 상호 투자액도 2016년 205억 달러에서 2020년 254억 달 러로 증가하였음. 3. EAEU의 대외 경제협력 확대 Ÿ (역외국과 무역협정 추진) 2015년 베트남과의 FTA 체결 후 이란, 중국, 싱가포르, 세르비아와 무역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협정 체결도 논의되고 있음. Ÿ (동북아 국가들과의 교역 증가) 독일,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 EU 국가들과의 교역 비중이 감소하는 반면 중국, 한국 등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비중은 증가하고 있음. 최대 교역상대국인 중국과 의 교역비중은 2015년 13.6%에서 2020년 20.2%로 상승하였음. 4.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Ÿ (FTA 체결 및 경제협력 확대) 우리나라는 EAEU와의 FTA 체결을 통해 교역 및 투자를 비롯한 경 제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역내 생산품에 대해 회원국 간에 무관세가 적용되는 점을 활용하여 회원국에 대한 제조업 투자 확대를 고려할 수 있음. Ÿ (EAEU 통합인증 획득) 우리나라 상품의 EAEU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EAEU 통합인증제도에 따라 한국 기업의 생산품을 인증받을 필요가 있음. Ÿ (EAEU와의 운송협력) EAEU 지역의 운송망 구축과 물류 시스템 통합에 따라 이 지역과 안정적인 물류망 구축을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러시아, 중앙아시아, 유럽, 카스피해 지역과의 물 류를 확대할 수 있음. 2021 이슈보고서 EAEU 통합 확대와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 1 - Ⅰ. EAEU의 성립과 발전 EAEU(유라시아경제연합, Eurasian Economic Union)의 성립 Ÿ (추진 계기) 구소련 유라시아 국가들 간의 경제블록 설립 추진은 1994년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Nursultan Nazarbayev) 카자흐스탄 전 대통령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음. ‑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은 2014년 3월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특강에서 유라시아 지역 경제블록 설립의 필요성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하였음.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은 세계 각 지역에서 지역통 합체들이 형성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유라시아 국가들 간 경제협력의 중요성을 주장하며 세계 경 제체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유라시아 경제 통합을 주장하였음. ‑ 이후 이 연설문을 토대로 작성된 ‘유라시아 국가연합 형성 프로젝트’가 CIS 회원국 정상들에게 전달되고, 2014년 6월 러시아 일간지에 게재된 이후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주도로 유라시아 지 역 국가들의 통합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음.1) 이후 구소련의 유라시아 지역에서 새로운 협력체 를 설립하여 경제통합체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계획이 추진됨. Ÿ (설립 목적) EAEU는 구소련 국가들 간에 경제 공동체를 형성하여 참여국들의 공동의 경제적 번 영을 달성하고, 장기적으로는 EU와 같은 형태의 단일한 정치·경제 공동체로 발전하는 것을 목표 로 하고 있음. ‑ 한편으로 유라시아 지역협력체의 출범은 2009년 5월 EU가 구소련 6개국과의 협력 확대를 위해 추진하기 시작한 ‘동방 동반자관계 프로그램(EPP, Eastern Partnership Program)’에 대응하는 의 미가 있음.2) Ÿ (EAEU 현황) EAEU는 세계 경제에서 점유하는 비중은 크지 않으나, 세계 면적의 13.6%에 해당하 는 넓은 영토와 풍부한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농업 생산에서도 높은 비중을 기록하 고 있음. ‑ 2020년 기준 EAEU는 세계 경제(GDP 규모)의 2.0%, 세계 무역의 1.8%(수출의 2.1%, 수입의 1.5%)를 각각 점유하고 있음. 특히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점유하는 비중이 높아 2019년 기준 세 계 원유 생산의 14.5%, 가스 생산의 20.2%, 석탄 생산의 6.5%를 점유하고 있음. 아울러 농업 생 산의 비중도 높아 2018년 기준 세계 밀 생산의 12.1%, 감자 생산의 9.2%를 점유하고 있음.3) ‑ EAEU 내 회원국별 경제규모는 2020년 GDP 기준으로 러시아가 85.4%, 카자흐스탄이 9.9%, 벨라 루스가 3.5%, 아르메니아가 0.7%, 키르기즈가 0.4%의 비중을 각각 점유하여 국가들 간의 경제규 모에 매우 큰 차이가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EAEU 통합 확대와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78 성장동력산업 헝가리와 폴란드의 유럽연합 탈퇴 가능성 분석 3도토리 국준아
1077 성장동력산업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에 따른 우리 기업의 협력방안 모색 1도토리 국준아
1076 성장동력산업 이스라엘의 스마트모빌리티 산업동향과 주요기업 1도토리 조정희
1075 성장동력산업 2020년 한국 네트워크장비 업계 실태조사 7도토리 조정희
1074 성장동력산업 수소산업 · BIG3 등 신성장 동력 창출 7도토리 국준아
1073 성장동력산업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제 항공 부문에서의 탄소 상쇄 1도토리 조정희
1072 성장동력산업 학령인구 감소에 의한 교육재정 효율화 7도토리 국준아
1071 성장동력산업 자발적 탄소 시장 확장을 위한 태스크포스 1도토리 조정희
1070 성장동력산업 사회자본 증진을 위한 초등교육 개선점: 방과후학교를 중심으로 7도토리 국준아
1069 성장동력산업 韓/中/日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의 GVC 연계성 연구 7도토리 조정희
1068 성장동력산업 말레이시아 신종 감염병 대비·대응 역량 강화 7도토리 국준아
1067 성장동력산업 페루 대선 결과 평가와 신정부의 정책방향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066 성장동력산업 인도네시아의 신종 감염병 대비·대응 역량 강화 7도토리 국준아
1065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반도체 제조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064 성장동력산업 2019년도 정보통신기술 기술수준조사와 기술경쟁력분석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1063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와 한·중 간 직접투자 1도토리 조정희
1062 성장동력산업 아동 발달을 위한 초등 방과후학교 개선방향 1도토리 국준아
1061 성장동력산업 퍼스널 모빌리티의 효율적 규제방안 연구 7도토리 국준아
1060 성장동력산업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왜 그리고 어떻게 고쳐야 하나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