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으로 보는 사이버전 동향 및 대응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31
용량 523.89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으로 보는 사이버전 동향 및 대응방안.pdf 523.8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1-22 
출처 : 민간연구원 
페이지 수 :

1. 개요

사이버 전쟁(Cyber war, Cyberwarfare), 사이버 충돌(Cyber conflict)이라고도 불리는 사이버 전쟁 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만들어낸 가상 세계인 사이버공간(Cyber space)에서 발생한다. 여기에는 컴 퓨터, 인터넷 및 기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및 인프라 공격을 공격하 거나 방어하는 것이 포함된다. 사이버 전쟁의 목표는 일반적으로 상대방의 컴퓨터 시스템이나 네 트워크를 방해, 비활성화 또는 파괴하거나 민감한 데이터를 훔치거나 임의 조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국가, 조직 또는 개인은 해킹, 악성 코드 공격, 서비스 거부 공격, 피싱 등 다양한 형태로 사이버 전쟁을 벌일 수 있다.

 

사이버전은 일반적으로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공격 또는 일련의 공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정부와 민간 인프라에 큰 피해를 입히고 중요한 시스템을 혼란에 빠뜨려 국가에 피해를 입히고 심지어 인명 손실까지 초래할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어떤 종류의 활동 이 사이버 전쟁을 구성하는지에 대해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그 중 미국방부(DoD)는 인터넷의 악의적인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을 인식 하고 있지만 사이버 전쟁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사이버 전쟁을 죽음을 초래할 수 있는 사이버 공격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사이버 전쟁은 일반적으로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사이버 공격(Cyber attack)을 가하는 것을 포 함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적대적인 국가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테러 조직이나 알려지지 않은 해커 가 공격을 수행하기도 한다. 현대 사이버 전쟁의 핵심은 심각한 인프라 피해를 입히고 보다 전통 적인 군사 공격에 대한 잠재적인 지원을 목적으로 한 국가 또는 국가의 디지털 공격을 사용하여 다른 국가 또는 국가의 컴퓨터 시스템을 교란시키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에서 보여준 사이버전 동향과 대응방안에 대하여 연구한다.

 


------------------------------------------------------------------------------------------------------------------------------------------------------

 

 

 

우크라이나 러시아.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96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내장형 제어봉 구동장치 성능 검증 3도토리 오민아
5959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혁신형 SMR 계통설계 7도토리 오민아
5958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표준설계 통합 인허가 및 혁신형 피동안전계통 개발 3도토리 오민아
5957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모듈형원자로 MMIS 안전계통 표준 플랫폼 개발 3도토리 오민아
5956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모듈 통합 사이버보안 기술 및 통합관제시스템 개발 검증 3도토리 오민아
5955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다수모듈을 고려한 혁신형 SMR BOP 종합설계 기술 개발 7도토리 오민아
5954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무붕산 노심 탄력운전 전략 및 노심보호감시계통 기술개발 5도토리 오민아
5953 성장동력산업 [기술개발] 해수부 CO2 수송-주입 복합기능선박 기술개발 13도토리 오민아
595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CO2 수송-주입 복합기능선박 기술개발 사업 3도토리 오민아
595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반도체분야 신규지원 대상 연구개발과제 13도토리 오민아
595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해양위험유해물질(HNS)배출 등 관리기술 개발 3도토리 오민아
594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재생의료 기술개발 사업 3도토리 오민아
594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기후 및 기후변화 감시·예측정보 응용기술 개발 3도토리 오민아
594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해양경찰 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3도토리 오민아
5946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해양 디지털항로 실증기술 개발 3도토리 오민아
5945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불법 마약류 대응을 위한 현장기술 개발 5도토리 오민아
5944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과학기술기반 군중밀집관리기술 개발 3도토리 오민아
594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혁신형 융복합 바이오 의료제품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5도토리 오민아
594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멀티오믹스 기반 난치암 맞춤형 진단치료 상용화 기술개발 사업 5도토리 오민아
594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수요 맞춤형 바이오 원부자재 제조 경쟁력 강화 사업 5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