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레버리지ㆍ인버스 ETF 투자성과 요인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23
용량 621.77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레버리지ㆍ인버스 ETF 투자성과 요인 분석.pdf 621.7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1-1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2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레버리지ㆍ인버스 ETF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운용업계 역시 LETF 상품 공급을 계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과거에 상장된 상품들이 시장대표지수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면, 최근에 출시된 상품들은 전기차, 2차전지, 빅테크 등 테마 지수 를 기반으로 하거나, 국채30년 등 기초자산의 변동성이 높은 지수를 추종하는 경우가 많다. 향후 소수점 배율 상품의 출시도 예정되어 있어, 앞으로 상품의 다양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레버리지ㆍ인버스 ETF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먼저, 상품의 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투자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연 복리효과다. 복리효과는 기초지수의 보유기간 누적수익률과 분산(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누적수 익률이 0에 가까울수록, 그리고 분산이 클수록 음의 복리효과가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0 과 1사이의 소수점 배율 구간(예: +0.5배)에서는 정반대의 효과를 보였다. 즉, 누적수익률이 0에 가까울수록, 그리고 분산이 클수록 오히려 양의 복리효과가 나타날 확률이 높아진 것이다. 그 밖 에도 개별 상품의 운용방식과 기초지수 선정의 차이 또한 비교지수 대비 초과성과에 영향을 미 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투자자의 거래 행태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투자자들은 레버리지ㆍ인버스 ETF에 대해 역 추세추종 거래 양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매매 행태가 결과적으로 투자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 다. 특히, 코로나19 충격 이후 상승구간에서 –2배 상품의 포지션을 급격하게 확대한 것과, 단기적 으로 일간 기초지수 변화에 대해 반대 포지션으로 과잉 대응한 것이 투자손실의 주된 원인이 되 었다. 또한 지나치게 잦은 거래 역시 개인투자자의 투자성과를 지속적으로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 래했다. 이는 결국 레버리지ㆍ인버스 ETF가 투자자의 섣부른 판단과 잦은 매매 행태로 인해 투자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레버리지.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900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4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및 10대 뉴스 11도토리 김민성
589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반도체 패키징에서 대기압 플라즈마 적용 5도토리 김민성
5898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건설 - 물가변동에 따른 원・하도급 계약금액 조정제도 활용 방안 13도토리 나혜선
58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0대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7도토리 나혜선
58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 - 일본 공공공사 적산제도 조사, 분석 및 시사점 13도토리 나혜선
589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 - 무난한 실적시즌 13도토리 나혜선
5894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우주통신 표준화 이슈 11도토리 나혜선
»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레버리지ㆍ인버스 ETF 투자성과 요인 분석 7도토리 나혜선
5892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건설업 ESG 확산과 기업 거버넌스 대응방향 7도토리 나혜선
5891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장기 및 조직 재생의료를 위한 배반포 보완 핵심기술 13도토리 나혜선
58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웹툰 작가 실태조사 13도토리 민준석
58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웹툰 사업체 실태조사 13도토리 민준석
5888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특허 빅데이터를 활용한 천연화장품 신소재 발굴 연구 11도토리 민준석
588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토정책 - 도시 Ai 구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5도토리 민준석
5886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24년 과학기술혁신 및 R&D 발전전략을 위한 핵심 아젠다 발굴 연구 13도토리 민준석
58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배달로봇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 13도토리 민준석
58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간전사체 분석 기술의 최신 동향 5도토리 민준석
5883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AI기반 심전도 데이터 활용 급성심근경색 진단 보조 검사 7도토리 민준석
5882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글로벌 제약 R&D 아웃소싱 시장 분석 7도토리 민준석
5881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중국진출 국내기업 경기실태조사 결과 및 '24년 1분기 전망 5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