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2019년도 정보통신기술 기술수준조사와 기술경쟁력분석 보고서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90 | |
---|---|---|---|---|---|---|
용량 | 2.52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52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06-30 |
---|---|
출처 :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페이지 수 : | 333 |
[ 목 차 ]
I. 분석개요
II. ICT 기술수준
III. 논문·특허 경쟁력
IV. 별첨
추진목적 논문·특허 경쟁력 분석과 온라인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전문가 정성평가를 실시하여 종합적인 결과 (상대수준, 격차기간, 기술변화추이 등) 도출 - 논문·특허 경쟁력분석 → 온라인설문(하위기술 기준) → 전문가 심층평가(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기술별 가중치 등 검토) → 계량화 → 결과(상대수준, 격차, 논문특허 경쟁력, 기술변화추이) 2 기술수준조사 개요 (1) 평가대상 (2) 경쟁력분석 (3) 기술수준조사 (4) 계량화 (5) 결과 ● 대상국은 5개국(한국/미국/중국/유럽/일본) 기준 ● 18개 중점 분야에 대해 74개 기술 및 하위 287개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 ● 논문/특허 DB 구축 및 경쟁력(활동도·영향력·시장력) 분석 ● (온라인설문) 하위기술별 기술수준 등급 및 기술발전 추세 ● (전문가 심층평가) 기술동향 집단 토론 및 경쟁력분석 토대로 기술수준·기술격차 평가 및 가중치 결정 ● (계량화) 전문가 심층평가를 토대로 Gordon모형을 적용하여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계량화 ※ Gordon모형 적용 예시 : ‘콘텐츠’ 기술수준 = ∑하위기술x가중치 ● (결과) 국가별/기술별 상대수준(%) 및 격차기간(년) 결정, 논문·특허 경쟁력 분석 결과, 국가별 기술변화 추이, 정책적 제언 등 도출 [ 2019년 ICT 기술수준평가 개요 ] 평가대상 이동통신, 네트워크, 전파·위성,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시스템, SW, 자율주행자동차, 인공지능, 빅데이터, 방송·미디어, 디지털콘텐츠, 스마트디바이스, 지능형반도체, 양자정보통신, 차세대보안, 블록체인, ICT융합 18대 중점분야 평가계량화 Gordon 모형 점수제 모형 결과 상대수준(%) 격차기간(년) 논문, 특허 경쟁력 변화 추이 (상승, 하락, 유지) 기술수준 및 경쟁력분석 온라인 설문 온라인 설문조사 (대규모 전문가 설문) 경쟁력 분석 지표 검증 논문 활동도, 영향력 등 논문 정보분석 특허 활동도, 집중도 등 특허 정보분석 전문가 평가 전문가 심층토론 FGD 평가 (3회 내외) 분야별 전문가 8여명 내외 구성 (총 140여명) 7 2019년도 ICT 기술수준조사 및 기술경쟁력분석 보고서 Ⅰ ▶▶ 분석 개요 2019년도 ICT 기술수준조사 및 기술경쟁력분석 보고서 추진방법 - 대규모 온라인 설문조사와 전문가 정성평가를 상호 보완하여 기술수준조사를 추진하고, 논문·특허 경쟁력분석을 병행 실시하여 기술수준조사의 신뢰성 향상 * 온라인 설문조사 : 전문가풀 등을 대상으로 대규모 전문가 의견수렴 ** 전문가 정성평가 : 전문가 심층 분석 토론(FGD) 방식으로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등 도출 *** 논문·특허 경쟁력분석 : 논문·특허 빅데이터 기반 기술경쟁력 계량분석 평가 대상 -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영국, 프랑스, 독일, 핀란드, 스웨덴 등)에 대해 18대 중점분야를 대상으로 74개 기술, 287개 하위 기술 추진 경과 - (기술경쟁력분석) 기술별 특허·논문 분석(4월~5월) * 특허 : 특허활동도(특허출원건수), 특허시장력(패밀리특허수), 특허영향력(피인용 특허수) * 논문 : 논문활동도(절대적 논문건수), 논문영향력(피인용건수) - (온라인설문) 대규모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2020. 5. 18 ~ 6. 19, 5주간) * 287개 하위기술 기준 1,776건 응답 완료 - (전문가 심층평가) 기술수준 및 격차 논의, 도출 근거 및 기술동향 토론, 정책제언 제시 등 토론(5월~8월) - (확정) 전문가 심층평가 등을 고려하여 시사점 도출 및 결과 확정(10월~11월) * [ 참고 ] (전문가구성) 18대 중점분야별 74개 기술기준으로 2명씩 전문가 섭외하여 18대 중점분야당 8명 내외로 구성, 총 140명 참여 (자세한 명단은 별첨 참조)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