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정부과제제안서] XEV 사업 - 수소전기차 분야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138 | |
---|---|---|---|---|---|---|
용량 | 623.5K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14.5KB | - | - | - | 다운로드 |
![]() |
105.5KB | - | - | - | 다운로드 |
![]() |
69KB | - | - | - | 다운로드 |
![]() |
72.5KB | - | - | - | 다운로드 |
![]() |
66.5KB | - | - | - | 다운로드 |
![]() |
73KB | - | - | - | 다운로드 |
![]() |
122.5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3-01-19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0 |
ㅇ (xEV 시장 확대) 각국 정부의 수송분야 환경규제와 지원정책 강화,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인한 성능 향상으로 향후 전기구동차(xEV)* 시장 확대 전망
- 환경이슈 대응을 위한 배출가스 및 CO2 규제 강화, 무공해 자동차 판매 의무화 등으로 주요국의 자동차 시장은 전기·수소차 보급의 확대가 예상
* xEV(전기구동차) : 전기차(BEV), 수소전기차(FC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등
ㅇ (전기구동시스템 고출력화) 구동시스템 경량화를 통한 연비 개선과 크기 저감에 의한 장착구조 단순화 등의 전기차 성능 고도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전기구동시스템의 고출력화 기술개발이 요구됨
- 전기구동시스템의 고출력화를 위하여 냉각 기술, 고속화, 헤어핀 권선 기술, 형상 설계기술 등 다양한 기술 적용을 통한 출력밀도 향상 기술 경쟁 중
ㅇ (전기구동시스템 고속화) 최근 구동시스템의 고출력화 뿐만 아니라 가속 성능 등 고성능에 대한 기술 요구로 전기구동시스템의 초고속화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함
- 현재 국내·외에서 20,000rpm급 초고속 전기구동시스템이 개발되어 일부 고성능 전기차에 적용 중
- 향후 지속적으로 고속화에 대한 기술 요구가 증대될 전망이며, 선도적으로 25,000rpm 이상에서 구동 가능한 고내구 감속기, 고효율 모터의 기술 선점 및 초고속·고출력 전기구동시스템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