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전망] 2024년 10대 농정 이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3
용량 789.77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전망] 2024년 10대 농정 이슈.pdf 789.7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1-12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8 

[2024년 농정 여건]

 

세계 경제 둔화, 인구구조 변화, 기후변화, 농산물 시장 추가 개방 가능성, 기술변화가 한국 농업·농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최근 온난화 시대에서 열대화(global boiling) 시대로 접어들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는 만큼 적극적인 대응 이 필요함.
- 기후변화에 따라 지구 평균 온도가 높아지면서 극한기후 현상이 이전보다 자주 발생하고 있고, 식 량 체계, 생태계, 사회-경제 체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식량안보, 토지, 수자원, 생물다양성 등의 피해뿐만 아니라 농업인의 건강이나 안전까지 침해받을 수 있음. 이는 농업경영 안정과 직

  결된다는 점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적응이라는 보다 넓은 의미에 서도 매우 중요함.

 

• 복수국 간 협정이 체결될수록 한국 농업부문의 충격이 커질 수 있지만, 동시에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음.
-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2018. 12. 발효),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2022. 2. 발효)에 이어 인도·

   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2022. 5. 출범) 등이 진행되어왔음.
- CPTPP에 가입하면 기존 FTA보다 더 적극적인 시장 개방이 예상되고, IPEF에 가입하면 비관세 조 치가 완화되어 기존에 보호받던

  농산물 민감 품목에 대한 개방 압력이 가중될 수도 있음. 그러나 이 러한 변화는 한국 농식품과 전후방 연관산업 수출을 늘릴 기회로

  활용할 수도 있음. 또한 개발협력 사업을 확장하여 국제 수준의 협력과 연대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 세계 경제 성장세가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어, 농산물 수요와 농촌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2023년 국제통화기금은 2024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2.9%로, 주요 국가별 경제 성장률은 한국 2.2%, 미국 1.5%, 유로존 1.2%,

  일본 1.0%, 중국 4.2%로 전망하였음.1) 세계은행도 COVID-19,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후티 반군의 홍

  해 항로 테러, 미-중 패권 다툼 등을 겪으 면서 향후 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하였음.
- 한국은 수출 중심 경제 구조로 말미암아 세계 경제 변동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경제 성장 둔화에 따른 소비 위축은 농산물 판로

  축소로 이어져 농가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 또한 농촌 지역 경 제가 침체되면 산업 기반이 축소되고 정주 여건도 악화되어 인

  구 감소를 가속화 할 수 있음. 따라서 중장기 식량 수요 변화를 고려해 식량정책을 전환하고, 안정적인 농산물 수급 관리를 도모하며,

  농촌 정주 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함.
 

 

--------------------------------------------------------------------------------------------------------------------------------------------------------

 

 

 

농정이슈.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97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과학기술정보 - 헬스케어 산업 검사 장비 3도토리 안소영
697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현장맞춤형 객체검출기 지역최적화기술 5도토리 안소영
697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감각 뉴로모픽 지능형 반도체 기술동향 5도토리 안소영
69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 상표 디자인 동향 설명 11도토리 안소영
69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 2023년 정보화 통계집 13도토리 안소영
697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신약개발 분야 정부 R&D 현황과 효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안소영
697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국가동향보고서_일본 7도토리 안소영
697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3년 FDA 신약 승인 현황 5도토리 안소영
6971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국제기구의 국가진단 방법을 통해 본 북한 경제발전 전망과 과제 13도토리 안소영
6970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역동적 혁신성장 촉진을 위한 산업기술정책 13도토리 안소영
696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모듈형원자로 안전해석 및 고신뢰도 안전해석기술 개발 3도토리 오민아
696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모듈형원자로 계통설계 검증 5도토리 오민아
696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내장형 제어봉 구동장치 성능 검증 3도토리 오민아
6966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혁신형 SMR 계통설계 7도토리 오민아
6965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표준설계 통합 인허가 및 혁신형 피동안전계통 개발 3도토리 오민아
6964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모듈형원자로 MMIS 안전계통 표준 플랫폼 개발 3도토리 오민아
6963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모듈 통합 사이버보안 기술 및 통합관제시스템 개발 검증 3도토리 오민아
6962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다수모듈을 고려한 혁신형 SMR BOP 종합설계 기술 개발 7도토리 오민아
6961 성장동력산업 [기술개요] 무붕산 노심 탄력운전 전략 및 노심보호감시계통 기술개발 5도토리 오민아
6960 성장동력산업 [기술개발] 해수부 CO2 수송-주입 복합기능선박 기술개발 13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