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차세대 리튬 이차전지 기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25
용량 4.9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차세대 리튬 이차전지 기술.pdf 4.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3 
출처 :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페이지 수 : 50 

[ 목 차 ]

 

1. 개요

 

2. 기술 동향

 

3. 정책 동향

 

4. 시사점 및 정책제언

 


 

1 작성 배경 ■ 범지구적 기후변화대응 및 환경규제 강화에 의한 산업생태계 변화로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기술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그림 1) 정부는 탄소중립(Net-Zero) 사회 구현과 산업생태계 활성화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그린뉴딜(Green New Deal)’ 정책을 발표함에 따라 이차전지 기반의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 등의 신흥 산업이 급격히 성장 또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 활용이 폭증하면서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관련 시장 확대 유명현 |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이상민 | 포항공대 철강에너지소재 대학원 부교수 이홍경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에너지공학전공 조교수 01 개요 차세대 리튬 이차전지 기술 05 그림 1 응용 분야별 전지 연간 시장 규모 전망 및 전기차용 전지 소재 전망 전지 연간 시장 규모 전망 전기차용 전지 소재 전망 ■ 정보통신기기 ■ 전기차 ■ 에너지저장장치 (ESS) 169억 428억 721억 1190억 (단위 : 달러) 2016 2018 2020 2022 2025 Source : SNE Research & imerys. (2018) 년도 시장 규모 (십만톤) 2011 2015 2019F 2023F 2013 2017 2021F 2025F 2012 2016 2020F 2024F 2014 2018F 2022F 14 12 10 8 6 4 2 0 ■ HEV ■ PHEV ■ BEV ■ e-BUS ■ e-Truck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SNE리서치·NH투자증권(2020) ■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s, 이하 EVs) 및 ESS 시장의 비약적 성장으로 리튬이차전지 산업 내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 과열화 양상 대한민국 주력 산업 분야인 리튬이온전지(Li-ion Battery, 이하 LIB) 산업은 현재 국내 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매우 높으며 특히 전기차용 LIB의 경우 환경규제의 지속적인 강화, 테슬라(Tesla, 미국) 社의 전기차 판매 약진, 환경규제를 강화하는 중국 시장의 부상 등으로 시장 성장률의 단기 급등을 예측 화석연료 연소로 인한 환경오염·기후변화 우려와 잉여에너지 과다로 인한 에너지 순환의 효율성 저하는 도시 및 운송 수단의 전력화(Full electrification)를 통해 해결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전기차, ESS 개발은 필수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에 힘입어 리튬이온전지 세계시장 규모는 연평균(2018-2025) 27% 증가하여 2025년에는 1,190억 달러(2018년 대비 약 4배)에 이를 것으로 예측1 ESS는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생산 전력을 전지 모듈 또는 팩에 저장하여 자기 소비 또는 계통 전력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소요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현재 가정용(소형)과 산업용(중대형) ESS가 공급 및 운용 중 •국내 전국 1,008개소 2.9GWh 규모의 ESS 설비가 구축되었고 2018년 상반기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MWh) 20배 증가한 1.8GWh 규모의 ESS가 보급되었으며, 이는 지난 6년간의 총보급량(1.1GWh)을 훨씬 상회하는 수준2 •글로벌 ESS 수요는 2017년 19.5GWh에서 2025년 121GWh 규모로 증가하리라 전망되며, 이중 LiB-ESS 시장은 2017년 4.5GWh에서 연평균 43%씩 급성장하며 2025년에는 77.6GWh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3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096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경제지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1095 성장동력산업 2020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1094 성장동력산업 아제르바이잔 경제발전전략과 한국과의 신협력 과제 3도토리 조정희
1093 성장동력산업 미중 패권경쟁 및 코로나19 시대의 신남방국가 투자환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92 성장동력산업 신남방정책 플러스를 통한 한-아세안 협력방안 모색 1도토리 국준아
1091 성장동력산업 벤처기업 성과 원인 분석 - 자금조달 유형을 중심으로 7도토리 조정희
1090 성장동력산업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소산업 육성과 국제협력 1도토리 국준아
1089 성장동력산업 아세안 역내 서비스시장 통합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088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의약품 산업 동향과 한국 경쟁력 현황 3도토리 조정희
1087 성장동력산업 서방의 대러 제재 이후 러-중 경제협력 확대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86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주52시간제 전면시행 대응 방법 3도토리 조정희
1085 성장동력산업 상반기 수출입 평가와 하반기 전망(2021) 7도토리 조정희
1084 성장동력산업 이집트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83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공동부유 추진과 플랫폼 대기업 규제 1도토리 국준아
1082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팬데믹의 국내 지역경제 영향 1도토리 조정희
1081 성장동력산업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협정 발효와 향후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080 성장동력산업 인도의 자동차 시장(전기차 중심)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79 성장동력산업 EAEU 통합 확대와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78 성장동력산업 헝가리와 폴란드의 유럽연합 탈퇴 가능성 분석 3도토리 국준아
1077 성장동력산업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에 따른 우리 기업의 협력방안 모색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