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 세부 협정에 따른 한국의 대응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34
용량 906.29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 세부 협정에 따른 한국의 대응.pdf 906.2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12-2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2 

Ⅰ.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개요 및 협상 경과

 

* 2022년 5월 13개국의 참여로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가 공식 출범하였으며, 이후 피지

    (Fiji)가 합류하면서 14개 참여국이 세부 항목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음. 관세 인하와 시장개방

    등에 초점을 둔 일반적 무역협정과 달리, IPEF의 주요 목표는 역내 통상질서 및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기준·규범 수립임.

* IPEF 출범 후 참여국은 지금까지 총 7차례의 공식협상, 2차례의 장관회의, 1차례의 특별협상, 2차례

    의 정상회의를 개최했음. 2023년 5월 제3차 공식협상에서 공급망 협상을 타결하고, 11월 정상회의

    에서는 5월에 타결한 공급망 협정문에 서명했으며, 청정경제 및 공정경제 협정의 실질적 타결을 이

    끌어냄. IPEF 참여국은 2023년 11월 미국에서 개최된 APEC 정상회담 이전까지 세부 협정을 모두

    타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나, 첫 번째 필러(pillar)인 무역 부문에서는 이견을 좁히는 데 실패함.

 

Ⅱ. IPEF 세부 협의 사항

 

* 참여국 간 이해관계의 대립과 미국 국내정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무역 협정(필러 Ⅰ)의 주요 의

    제는 노동의 기본 원칙, 환경보호 강화,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무역환경 구축, 식량안보 및 지속가

    능한 농업 관행 발전, 규제 관행에서 투명성 제고, 경쟁, 무역 원활화, 포용성, 무역 관련 기술지원

    및 경제협력 등임. 이중 국경 간 데이터 전송, 노동자 및 환경보호 문제 등에 관해 참여국 간 이견

    이 존재하였음.

* 총 27개 조항으로 구성된 공급망 협정문(필러 Ⅱ)은 역내 공급망의 회복성, 효율성, 투명성, 다양

    성 등을 추구하는 방안으로 참여국 간 정보 교환, 모범사례 공유, 비즈니스 협력 연결, 혼란 발생

    시 공동 대응, 노동권 보장 등을 제안하고 있음.

* 청정경제 협정문(필러 Ⅲ)은 에너지 안보와 전환을 위한 노력, 기후 회복력과 적응, 온실가스 배출

    완화, 지속 가능한 생태계와 정의로운 전환 촉진 등 청정경제로의 전환에 수반되는 다양한 이슈를

    다루고 있음.

* 공정경제 협정(필러 Ⅳ)은 인-태 지역의 무역과 투자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역내 경제활동의 공정

    성, 투명성, 법의 지배 및 책임 등을 강화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 부패 신고자 보호 강화, 정부조

    달 과정에서의 불법 행위 처벌 규정 도입 등 부패 방지와 조세 행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을

    다루고 있음.

 

Ⅲ. IPEF 세부 협의에 따른 기대와 도전

 

* 우리 정부는 공급망 협정을 통한 공급망 복원력 및 안정성 제고, 청정경제 협정을 통한 재생에너

    지, 이차전지, 수소연료 등 우리 기업의 투자 기회 확대, 공정경제로 인한 역내 투자환경 개선을

    기대함.

* IPEF의 협정은 의회의 인준 없이 행정명령으로 시행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나, 동시에 이로 인

    해 장기 지속성과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됨.

 

Ⅳ. 시사점

 

* IPEF가 특정 국가를 배제하기 위한 국제정치의 산물이 아닌 역내 경제 활성화, 공급망 복원력 강

    화, 에너지 전환의 가속화, 공정한 경쟁을 실질적으로 촉진하는 제도로 정착하고 포용성과 개방성

    을 유지하는 데 한국의 역할이 필요함.

* 기존의 통상질서에서 한국은 선진국 주도로 제정된 규칙을 수용하는 룰테이커(rule-taker)였으나,

    신통상질서 정립 과정에서 한국에게 유리한 국제기준과 규범을 설정할 수 있는 룰세터(rule-setter)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음.

 

 

---------------------------------------------------------------------------------------------------------------------------------------------------

 

 

인도태평양.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91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으로 보는 사이버전 동향 및 대응방안 5도토리 박민혁
691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Cybersecurity 전략 및 실행계획 분석과 시사점 9도토리 박민혁
6914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농촌공간 활성화를 위한 농촌형 토지이용 관리방안 5도토리 박민혁
69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 소프트웨어 품질 표준, ISO,IEC 25203 개정작업 착수 5도토리 박민혁
6912 성장동력산업 [연구개발]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및 적용 7도토리 김민성
6911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국토 - 중국 메가시티리전의 개발과 도전 11도토리 김민성
6910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2023년 신의료기술평가 사례 분석 13도토리 김민성
69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패션- 2023년 4분기 Preview 7도토리 김민성
69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금속 - 금속광물 동향 파악하기 6도토리 김민성
6907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산업·에너지 연구개발 4대 혁신방안 5도토리 김민성
6906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4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및 10대 뉴스 11도토리 김민성
6905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반도체 패키징에서 대기압 플라즈마 적용 5도토리 김민성
6904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건설 - 물가변동에 따른 원・하도급 계약금액 조정제도 활용 방안 13도토리 나혜선
690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0대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7도토리 나혜선
69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 - 일본 공공공사 적산제도 조사, 분석 및 시사점 13도토리 나혜선
690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 - 무난한 실적시즌 13도토리 나혜선
6900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우주통신 표준화 이슈 11도토리 나혜선
689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레버리지ㆍ인버스 ETF 투자성과 요인 분석 7도토리 나혜선
6898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건설업 ESG 확산과 기업 거버넌스 대응방향 7도토리 나혜선
6897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장기 및 조직 재생의료를 위한 배반포 보완 핵심기술 13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