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도심항공모빌리티, 국내외 산업 현황 및 미래 과제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39 | |
---|---|---|---|---|---|---|
용량 | 2.94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글로벌 산업 동향과 미래 과제.pdf | 2.94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06-30 |
---|---|
출처 :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
페이지 수 : | 47 |
[ 목 차 ]
Ⅰ. 도심 항공 모빌리티의 등장 배경
Ⅱ. 도심 항공 모빌리티 산업 동향
Ⅲ. 도심 항공 모빌리티 실현 과제
Ⅳ. 우리 UAM 산업에 대한 시사점
도심 항공 모빌리티의 등장 배경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의 확보가 국가 운송 경쟁력의 핵심 요건으로 인식되면서 도심 항공 모빌리티가 대안으로 거론되기 시작함 도심 항공 모빌리티 개념과 특징 [정의]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는 도시 권역을 수직이착륙(VTOL)하는 개인용 비 행체(PAV)로 이동하는 공중 교통 체계를 의미함 비행체의 개발, 제조, 판매, 유지·보수 및 인프라 구축, 항공 서비스 등 도심 항공 이동수단의 생산과 운영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임 * 수직이착륙(VTOL;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 공중에서 정지하거나 활주로 없이 뜨고 내릴 수 있는, 수직 으로 이착륙하는 비행체를 의미 ** 개인용 비행체(PAV; Personal Air Vehicle)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03년 일반인이 운전면허만으로 운전할 수 있는 PAV 개발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처음 등장한 개념 도심 항공 모빌리티는 크게 다음 3가지 특성을 지님 (미래형 교통수단) 별도 활주로가 필요 없으며, 최소한의 수직이착륙 공간만 확보하면 운용이 가능해 도로 혼잡을 줄여줄 3차원 미래형 도시 교통수단임 - 도로·철도·개인교통수단과 연계한(Seamless) 교통서비스(MaaS)로 스마트시티의 중요한 교통 축으로 자리잡을 전망 * 교통수단의 소유에서 서비스 이용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변화 (친환경) 전기동력을 사용해 탄소 배출이 없고, 저소음으로 도심에서 운항가능한 친환경 교통수단 (첨단기술 집약) 소재, 배터리, 제어(정보통신), 항법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에서 高수준 기술이 요구 자료 : 현대차그룹, 한화시스템 홈페이지 등 참고하여 저자 정리 [급격한 도시화]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교통 혼잡 및 환경오염, 소음 공해 등의 도시문제가 대두 UN은 전 세계 도시화율(=도시 거주 인구 비중)이 2018년 55.3%에서 2035년 62.5%에 이를 것으로 전망 인구 천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메가시티(Megacity)는 2010년 25개에서 2035년 48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4 2021년 22호 - 전 세계 도시 인구는 총 인구보다 2배 이상 빠른 속도로 증가 전망 한국의 도시 거주 인구 비중도 2019년 91%로 이미 포화 수준이며, 수도인 서울 인구는 991만 명 (’20년)으로 전 세계 거주 인구가 많은 도시 중 30위권 * 한국 도시화율1 : (’00) 87.8 →(’05) 89.1 →(’10) 89.6 →(’15) 90.6 →(’19) 91.1 ** 도시별 인구 수(만 명, 2018년 기준)2 : (1위) 도쿄 3,747 (2위) 델리 2,851 (3위) 상하이 2,558 (4위) 상파울로 2,156 (5위) 멕시코시티 2,158 (34위) 서울 996 전 세계 도시화율 전망 전 세계 인구 증가율 전망 2000 40.0 0 45.0 10 50.0 20 55.0 30 60.0 40 65.0 50 (%) 메가시티 수 (개) 46.7 16 2005 49.2 20 2010 51.7 25 2015 53.9 29 2020 56.2 34 2025 58.3 36 2030 60.4 43 2035 62.5 48 도시거주 인구비중 2000~2005 2.29 2.23 2.04 1.90 1.73 1.58 1.45 1.33 1.22 1.13 1.25 1.23 1.19 1.09 0.98 0.87 0.78 0.70 0.63 0.56 2005~2010 2010~2015 2015~2020 2020~2025 2025~2030 2030~2035 2035~2040 2040~2045 2045~2050 0.00 0.50 1.00 1.50 2.00 2.50 전체 인구 도시 인구 2000 40.0 0 45.0 10 50.0 20 55.0 30 60.0 40 65.0 50 (%) 메가시티 수 (개) 46.7 16 2005 49.2 20 2010 51.7 25 2015 53.9 29 2020 56.2 34 2025 58.3 36 2030 60.4 43 2035 62.5 48 도시거주 인구비중 2000~2005 2.29 2.23 2.04 1.90 1.73 1.58 1.45 1.33 1.22 1.13 1.25 1.23 1.19 1.09 0.98 0.87 0.78 0.70 0.63 0.56 2005~2010 2010~2015 2015~2020 2020~2025 2025~2030 2030~2035 2035~2040 2040~2045 2045~2050 0.00 0.50 1.00 1.50 2.00 2.50 전체 인구 도시 인구 주 : 메가시티는 인구 1,000만 명 이상 거주 자료 : UN(2018),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주 : 기간 평균치 자료 : UN(2018) [운송 효율성 저하] 이러한 도시집중화 현상으로 도시 거주자들의 이동 속도가 급격이 저하 되고, 물류·운송 비용이 증가 지난해 주요 도시들의 도심 내 평균 주행속도는 30km 미만에 불과하며, 교통체증으로 시간 낭비와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 * 미국은 교통 혼잡으로 인해 매해 97시간, GDP의 2~4%를 낭비(2018년)3 - 세계 주요 도시들은 밀집도가 높아 추가적인 도로 건설에 한계가 있고, 자동차 보급률도 높아 도로혼잡은 좀처럼 해결하기 힘든 문제 * 자동차 보급률(인구 1000명당 보유 대수, ‘09 →’19)4 : (북미) 639→ 723 (유럽) 447→ 533 (아시아) 66 → 129 (남미) 144→ 203 (중동) 92 →138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