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미국, 한국 등 OECD 33개 국가별 약가 수준 비교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74
용량 131.1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미국, 한국 등 oecd 33개 국가별 약가 수준 비교.pdf 131.1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 들어가며 ○ 이 자료는 미국의 연구기관인 RAND Corporation이 정책적 활용을 위해 미국 보건부 지원을 받아 미국과 OECD 국가간 약가를 비교해 2021년 1월 비상업적 목적으로 발간한 보고서를 요약한 것임. (원문 : International Prescription Drug Price Comparisons, RAND, 2021.1) ○ 원 보고서에는 OECD 국가 중에서 미국을 비롯해 33개 국가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된 약가 및 물량 출처는 2018년 기준 IQVIA MIDAS 데이터임(2019년 10월에 데이터 접근). ○ 원 보고서에는 미국 약가를 기준으로 32개 OECD 국가별 약가가 비교되어 설명되었으며, 이 요약 보고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의 약가가 미국의 어느 수준인 지에 대해 추가로 설명하였음. 즉, 원 보고서에는 미국의 전문의약품 약가는 한국에 비해 305% 높다고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다시 말해 한국이 미국 약가의 32.8% 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임. ○ 원 보고서에는 또한, 의약품을 세부적으로 구분해서 비교하고 있는데 이는 IQVIA가 분류하고 있는 구분을 따른 것임. 영문으로 된 각 세부 의약품을 이 요약보고서에서는 한글로는 브랜드의약품 (brand-name originator drug), 브랜드제네릭(brand-name non-originator)*, 제네릭의약품 (unbranded non-originator)으로 번역함. * 브랜드제네릭은 브랜드네임을 가지고 판매되는 제네릭을 말하며, 미국 허가 프로세스 상의 505(b)(2)로 허가된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된다고 설명하고 있는 바 개량신약도 여기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됨. 2. 국가별 전문의약품 매출 및 물량, 2018년 기준 (1) 33개 OECD 국가별 전문의약품 매출액 ○ (미국) ‘18년 기준 33개 OECD 국가의 전문의약품 매출액은 7,952억 달러이며, 이중 미국이 4,640억 달러로 전체의 58.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국가별 순위) 2위는 732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한 일본(점유율 9.2%), 3위는 399억 달러를 기록한 독일(5.0%), 4위는 프랑스, 5위는 이탈리아, 6위는 영국 순임. ○ (한국) 한국은 OECD 33개국 중 9위로 ‘18년 기준 136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1.7%의 비중을 차 지한 것으로 나타남. - 2 - (2) 33개 OECD 국가별 전문의약품 매출 물량(볼륨) ○ (미국) ‘18년 기준 33개 OECD 국가의 전문의약품 매출 물량은 1조 162억 유닛이며, 이중 미국이 2,434억 유닛으로 전체 물량의 24.0%의 비중을 차지함. ○ (국가별 순위) 2위는 2,137억 유닛을 기록한 일본(점유율 21.0%), 3위는 639억 유닛을 기록한 터키*(6.3%), 4위는 영국, 5위는 독일, 6위는 프랑스 순임 *터키의 ‘18년 기준 전문의약품 매출액은 66억 달러로 33개 OECD 국가 매출의 0.8% 차지 ○ (한국) 한국은 459억 유닛의 물량을 기록해 4.5%의 비중 차지. 순위는 프랑스에 이은 7위 국가명 매출액(10억 달러) 볼륨(10억 유닛) OECD 33개국에서 매출 비중(%) OECD 33개국에서 볼륨 비중(%) OECD 33개국 795.2 1,016.2 100.0 100.0 OECD 32개국 (미국 제외) 331.2 772.7 41.6 76.0 미국 464.0 243.4 58.4 24.0 일본 73.2 213.7 9.2 21.0 독일 39.9 58.4 5.0 5.7 프랑스 31.3 50.0 3.9 4.9 영국 23.7 60.5 3.0 5.9 한국 13.6 45.9 1.7 4.5 전문의약품 매출 금액 및 비중 전문의약품 매출 물량 및 비중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100 성장동력산업 펀드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수탁서비스 발전 방향 1도토리 조정희
1099 성장동력산업 대만을 둘러싼 미중갈등의 배경과 현황 1도토리 국준아
1098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화폐 환상 연구 7도토리 조정희
1097 성장동력산업 중앙아시아 인프라 개발 및 PPP 사업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96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경제지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1095 성장동력산업 2020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1094 성장동력산업 아제르바이잔 경제발전전략과 한국과의 신협력 과제 3도토리 조정희
1093 성장동력산업 미중 패권경쟁 및 코로나19 시대의 신남방국가 투자환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92 성장동력산업 신남방정책 플러스를 통한 한-아세안 협력방안 모색 1도토리 국준아
1091 성장동력산업 벤처기업 성과 원인 분석 - 자금조달 유형을 중심으로 7도토리 조정희
1090 성장동력산업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소산업 육성과 국제협력 1도토리 국준아
1089 성장동력산업 아세안 역내 서비스시장 통합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088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의약품 산업 동향과 한국 경쟁력 현황 3도토리 조정희
1087 성장동력산업 서방의 대러 제재 이후 러-중 경제협력 확대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86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주52시간제 전면시행 대응 방법 3도토리 조정희
1085 성장동력산업 상반기 수출입 평가와 하반기 전망(2021) 7도토리 조정희
1084 성장동력산업 이집트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083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공동부유 추진과 플랫폼 대기업 규제 1도토리 국준아
1082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팬데믹의 국내 지역경제 영향 1도토리 조정희
1081 성장동력산업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협정 발효와 향후 전망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