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연구]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의 해외 사례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박민혁 | 조회수 | 35 | |
---|---|---|---|---|---|---|
용량 | 3.09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연구]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의 해외 사례.pdf | 3.09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3-12-29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52 |
1장 연구개요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콘텐츠 산업은 경제적·문화적 측면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임. 이에 따라
각국 정부는 글로벌 영상 제작 프로젝트를 유치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
쟁하고 있으며, 자국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에 대한 세금공제, 보조금
지원, 촬영 전문인력 수급 시스템, 스튜디오 신설 등 안정적인 제작환경
마련을 위한 제도적·정책적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 국내에서도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외국영상물 로케이션 인센티브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나 예산 규모가 작아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로
기능하기 위한 제도적·정책적 기반이 되지 못하는 상황임. 따라서 해
외 영상 제작 지원 정책 및 제도를 파악하고, 전문인력 소싱 및 제도적
인프라 구축을 실현한 해외 주요국의 성공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안정적
이고 매력적인 제작환경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적 기반 마련이
시급함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주요국의 영상 제작 정책 및 구조를 분석함으로
써 국내 영상 제작사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프로덕션 인
바운드 유치를 위한 한국형 영상 제작 정책 모델을 제안하는 것임
◦ 본 연구에서는 팬데믹 이후 국내외 영상 산업의 제작 규모 및 방식의 변
화, 해외 주요국과 국내의 영상 제작 인센티브 제도 및 사례 비교, 영상
제작 인바운드 유치를 위한 국내외 공간적·인적 인프라 비교 및 정책
적 요구 등을 분석하여,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
을 수립에 필수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려 함
◦ 본 연구는 문헌조사 및 FGI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FGI 대상은 영화,
OTT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영상 제작 경험이 있
는 산업계 전문가와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상위원회 등 관련 기관의 전
문가들로 구성함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