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면역항암제 기술 및 시장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00
용량 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면역항암제 기술 및 시장동향.pdf 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목 차 ]

 

1. 개요

 

2. 면역항암제의 정의 및 종류

 

3. 면역항암제 글로벌 시장 동향

 

4. 최근 면역항암제 개발 현황

 

5. 기업 및 기업형태별 후기 임상 파이프라인

 

6. 면역항암제 주요 기업 현황

 

7. 주요 면역항암제 및 치료율

 

8. 면역항암제 주요 기업 분석 및 특허

 

9 .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PD-1) 항체 특허 분쟁 

  

10.정리 및 시사점

 


 

1. 개요 IQVIA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까지 글로벌 의약품 소비규모의 측면에서 선두는 단연 종양 치료제, 즉 항암제 관련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2021년부터 2025년까지 항암제 시장의 연평 균 성장률은 9~12% 그리고 시장규모는 약 2,730억US$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항암제 관련 분야에 있어서 지난 5년간 괄목할 만한 성장세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특 히 면역항암제 분야는 소비규모(시장규모) 측면에서 전체 항암제 분야 중 20%를 차지하면 서 항암 치료제 분야를 선도하는 부문이 될 것으로 예상됨. 2025년까지 면역항암제는 더욱 향상된 치료를 위한 신규의 선택지로 각광받으며, 시장규모 가 500억US$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됨. 최근 면역항암제 관련 글로벌 동향, 주요사 및 특허 현황 July 2021. Issue 28 출처: IQVIA Institute, Feb 2021 [그림 1] 2025년 전 세계 치료제 소비규모 상위 20개 분야 및 5개년 CAGR 예측 신동호 특허법인(유한) 해담, 미국변호사 2 최근 면역항암제 관련 글로벌 동향, 주요사 및 특허 현황 본 리포트에서는 항암제 분야에서 여전히 화두가 되고 있는 면역항암제에 관한 기술개발 동 향을 정리하고 면역항암제 개발 관련 주요 개발사 및 특허 현황을 확인하고자 함. 2. 면역항암제의 정의 및 종류 면역항암제란 암세포가 인체의 면역체계를 회피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더 잘 인식하여 공격하도록 하는 약물로서, 표적치료제와 달리 특정 표적이 없어도 사용할 수 있어 적용 가능한 환자가 많으며 인체의 면역체계를 통해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항암제들 이 가졌던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면역항암제는 크게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면역세포치료제 (immune cell), 치료용 항체(therapeutic antibody), 항암백신(anticancer vaccine)으로 분 류할 수 있음. 면역관문억제제는 T세포 억제에 관여하는 면역체크포인트 단백질(immune checkpoint protein)의 활성을 차단하여 T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공격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CTLA-4(Cytotoxic T-Lymphocyte-Associated Protein), PD-1(Programmed cell Death Protein-1), PD-L1(Programmed Death-Ligand-1)을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하는데, 2020 년 9월 기준 국내에서 승인된 6가지 면역관문억제제는 다음 [표 1]과 같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068 성장동력산업 말레이시아 신종 감염병 대비·대응 역량 강화 7도토리 국준아
1067 성장동력산업 페루 대선 결과 평가와 신정부의 정책방향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066 성장동력산업 인도네시아의 신종 감염병 대비·대응 역량 강화 7도토리 국준아
1065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반도체 제조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064 성장동력산업 2019년도 정보통신기술 기술수준조사와 기술경쟁력분석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1063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와 한·중 간 직접투자 1도토리 조정희
1062 성장동력산업 아동 발달을 위한 초등 방과후학교 개선방향 1도토리 국준아
1061 성장동력산업 퍼스널 모빌리티의 효율적 규제방안 연구 7도토리 국준아
1060 성장동력산업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왜 그리고 어떻게 고쳐야 하나 1도토리 국준아
1059 성장동력산업 전국 일체화 빅데이터센터 허브 구축 1도토리 조정희
1058 성장동력산업 온실가스의 대표적 물질, 메탄 활용을 위한 나노촉매 기술 3도토리 국준아
1057 성장동력산업 북한지역 토지자산 추정에 대한 연구: 프레임워크 개발과 탐색적 적용 3도토리 조정희
1056 성장동력산업 차세대 리튬 이차전지 기술 7도토리 국준아
1055 성장동력산업 직업훈련이 해외 인력의 고용 및 임금에 끼치는 영향 3도토리 조정희
1054 성장동력산업 2020년도 나노기술 통계자료 7도토리 국준아
1053 성장동력산업 수소의 화학적 저장과 나노기술 3도토리 국준아
1052 성장동력산업 COVID-19 충격에 대응한 중앙은행 간 통화스왑의 국내 외환시장 안정 효과 3도토리 조정희
1051 성장동력산업 재원조달 방법을 고려한 재정지출 효과 분석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7도토리 조정희
1050 성장동력산업 "공정거래법"상 일률적 과징금 산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부당한 공동행위 위반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1049 성장동력산업 산업별 주가 변동성 및 거래량의 관계 구조: 행태경제학적 접근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