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미·중 갈등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전략 및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37
용량 2.4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미·중 갈등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전략 및 전망.pdf 2.4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0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향후 중국 경제성장의 핵심요소로 안정적 반도체 공급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중국은 「14차 5개년 계획 및 2035 중장기 목표」에서 쌍순환 전략과 함께 혁신주도형 성장을 위해 △신형 인프라 △신형 도시화 △중대 인프라(교통·수자원) 투자를 위한 양신일중(兩新一重) 정책을 내놓음.

- 양신일중 정책 중 미래 신산업의 기반이 되는 5G 기지국, 산업 IoT, AI 및 데이터센터, 고속철도, 전기차 충전소 등 신형 인프라 투자는 공통적으로 반도체의 안정적 공급을 필요로 함.

 

▶ 중국 내 대규모 반도체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정부는 △높은 해외의존도로 인한 반도체 수지 적자 확대와 △미국의 견제로 인한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동시에 안고 있음.

 - 2020년 기준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은 15.9%에 불과하며, 반도체의 해외 의존도뿐만 아니라 반도체 제조를 위한 소재 및 장비의 해외 의존도도 높음.

 - 이와 더불어 첨단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미국의 대중국 제재가 바이든 정부에서도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와 관련하여서는 HiSilicon과 SMIC 등이 미국의 제재로 영향을 받고 있음.

 

▶ 이에 중국은 자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으며, ① 국가전략 ② 국가 반도체 기금 ③ 커촹반(科創板) ④ 세제지원 등을 활용하고 있음.

 - 「14차 5개년 계획 및 2035 중장기 목표」에서는 반도체를 중점 과학기술 분야로 선정하고, 특히 미국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중국의 약점이 되고 있는 설계 소프트웨어(EDA), 고순도 소재, 중요 제조장비 및 제조기술, IGBT, MEMS, 첨단 메모리 기술, SiC 및 GaN 등 3세대 반도체 개발에 힘을 쏟을 전망임.

 - 제2기 국가 반도체 기금이 2019년 10월부터 290억 달러 규모로 시작하였으며, 중국판 나스닥인 커촹반도 2019년부터 반도체 기업들의 주요 자금공급원 역할을 하고 있음.

 - 2020년 8월 중국은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새로운 세제 지원책을 발표하고 2021년 들어 본격 시행에 들어감.

 

▶ 최근 중국뿐만 아니라 미국, EU, 일본도 국가 차원에서 반도체 역량 강화에 나선 가운데 △우리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분석 및 대비 △인재유출 방지 및 적극적인 인재확보 △전략적인 R&D 투자로 비교우위 분야의 초격차 유지와 새로운 선도적 핵심 기술·공정(choke-point) 개발이 중요한 시점임.

 - 현재 중국의 반도체 기술 경쟁력은 아직 낮아 자체 기술개발을 통한 역량 강화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며,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제재를 피해 한국, 일본, EU와의 국제협력을 도모할 가능성이 큼. 

 - 한국으로서는 중국과의 협력기회 활용과 동시에 국가 핵심기술의 유출을 막기 위한 수출통제 및 외국인투자심사제도 강화가 필요함.

 - 중장기적으로 반도체 산업은 무한경쟁에 돌입할 가능성이 큰 가운데 우리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반도체 공급망상 필수불가결한 핵심기술(choke-point)을 선점하기 위한 R&D를 강화해야 할 것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055 성장동력산업 직업훈련이 해외 인력의 고용 및 임금에 끼치는 영향 3도토리 조정희
1054 성장동력산업 2020년도 나노기술 통계자료 7도토리 국준아
1053 성장동력산업 수소의 화학적 저장과 나노기술 3도토리 국준아
1052 성장동력산업 COVID-19 충격에 대응한 중앙은행 간 통화스왑의 국내 외환시장 안정 효과 3도토리 조정희
1051 성장동력산업 재원조달 방법을 고려한 재정지출 효과 분석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7도토리 조정희
1050 성장동력산업 "공정거래법"상 일률적 과징금 산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부당한 공동행위 위반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1049 성장동력산업 산업별 주가 변동성 및 거래량의 관계 구조: 행태경제학적 접근 3도토리 조정희
1048 성장동력산업 부산지역 제조업 구조분석을 통한 핵심산업 도출과 경제파급효과 분석 3도토리 조정희
1047 성장동력산업 배출권 할당 방법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 3도토리 조정희
1046 성장동력산업 아시아 국가의 경제성장에서 제조업 분야의 역할: 국가 간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실증분석 3도토리 조정희
1045 성장동력산업 도심항공모빌리티, 국내외 산업 현황 및 미래 과제 3도토리 조정희
1044 성장동력산업 지속가능한 성장의 필요충분조건, 조직 민첩성(Organizational agility) 1도토리 조정희
1043 생명공학/바이오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상위개념이 공지된 물질특허의 진보성 판단기준 변화 1도토리 국준아
1042 성장동력산업 K-디지털헬스케어 이해하기-‘인공지능’편 1도토리 조정희
1041 생명공학/바이오 미국, 한국 등 OECD 33개 국가별 약가 수준 비교 1도토리 국준아
1040 성장동력산업 독일 철강산업 지원정책 동향 1도토리 조정희
1039 생명공학/바이오 코로나19가 불러온 글로벌 CRO 산업 지형의 변화 1도토리 국준아
1038 성장동력산업 2021년 G7 정상회담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037 생명공학/바이오 면역항암제 기술 및 시장동향 3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미·중 갈등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전략 및 전망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