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나라가 백신을 원하지만, 모든 나라가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은 아님. - 208개 국가에서 백신을 수입하지만, 90개국이 백신을 수출하고 있음 - 벨기에 등 백신 수출 상위 10개국의 수출 비중이 금액면에서 93%를 차지 ◇ 관세 측면에서는 백신 자체보다는 백신 원부자재가 백신의 생산 및 보급에 허들이 되고 있음. - 백신은 전세계 국가의 4/5가 무관세(관세 0%)이고, 1/5에 해당하는 국가만이 관세 유지 - 백신 원료의 경우 품목에 따라 관세가 2.6~9.4%에 달하고, 백신 유통 및 접종에 필요한 품목의 경우 관세가 최대 12.7%에 달해 최종 백신 가격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 ◇ 백신 생산은 소수의 국가가 주도하지만, 백신 원부자재 공급망에는 국가간 상호 의존도가 높음. - DNA와 RNA 기반 백신의 경우는 유럽과 미국이 최대 생산국이고, 백신 전반적인 생산 캐파에 서는 미국, 중국, 인도가 주도하고 있음. - 백신 원부자재에 있어서는 여러 국가가 수출을 주도하고 있어 백신 생산을 위해 국가간 상호 의존도가 높음. ◇ 한국의 경우, 백신 무역수지 적자폭이 커지고 있어 백신에 대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돌파구 필요 - 최근년도 무역수지는 지속 적자인 상황. 특히 2021년에는 벨기에로부터의 수입 급증 중 - 코로나19 mRNA 백신과 더불어 다양한 고부가 백신에 대한 기술개발 및 생산 역량 확보 긴요 1. 들어가며 ○ 코로나19 이전에 글로벌 백신 시장은 325억 달러 규모로 전체 의약품 시장의 3.5%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GSK(영국), Merck & Co.(미국), Sanofi(프랑스), Pfizer(미국) 등 4개 기업이 전체 시장 의 약 90%를 점유하고 있는 등 진입장벽이 높았음. 코로나19로 인해 백신 시장은 급속히 커지고 있으며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성공하는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고 있음. ○ 백신 공급망에는 연구개발, 생산, 패키징, 운송 등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고, 생산을 위한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기에 국가적으로도 소수의 나라에 백신 생산이 집중되고 있음. ○ 코로나19로 전세계적으로 백신 공급망이 불안하고 백신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글로벌 백신 공급망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백신 및 백신 원부자재 관련 국가간 관세를 낮추고, 국경간 이동 절 차를 원활히 하는 것은 전세계가 제시간에 백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임. ○ 본 보고서는 백신에 대한 원부자재 소싱, 생산, 유통, 국가간 이동 및 콜드체인 등 백신의 글로벌 공급망을 무역 관점에서 분석한 OECD 보고서를 중심으로 요약 정리한 것으로, 국내 백신의 수출입 현황 파악을 위해 우리나라 관세청 자료 등을 추가로 정리함. - 2 - ○ 동 자료에서 언급되는 백신에는 인체에 관련된 각종 백신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수출입 관련 수치도 인체백신 관련 HS코드(300220)가 활용되었음. 다만, 영국, 미국을 비롯해 코로나19 백신 에 대한 긴급사용승인이 시작된 2020년 말 이후의 백신 수출입 수치는 각 국별 코로나19 백신 대량 확보나 수출 통제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바 주의하여야 함. 2. 백신 생산에 필요한 품목 ○ 백신 생산에는 초기 연구개발 뿐만 아니라, 핵심 원료 공급자 선정, 생산 공정 세팅 및 품질 관리, 1차 및 2차 패키징에 이르기까지 여러 복잡한 단계가 관여되어 있음. ○ 각각의 백신에는 서로 다른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특정한 유효성분(항원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오염 방지나 효능 유지 등을 위한 다양한 원료가 포함되어 있음. ○ 백신생산에는 원료만 필요한 것은 아님. 백신을 저장하기 위한 바이알과 고무 스토퍼, 운송을 위한 콜드 박스, 적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드라이아이스 등도 필요하고, 이후에도 저장을 위한 냉동 /냉장고나 백신접종을 위한 주사기, 주사기바늘 등도 필요함. ○ OECD가 무역 데이터 분석 결과, 백신의 생산, 유통 및 접종 등 백신 글로벌 공급망에는 국가들간 상호 의존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음. 백신의 생산, 유통 및 접종에 필요한 특정 품목의 주요 수출국 (글로벌 수출 점유율(%), 2018) 자료 : CEPII BACI 데이터 및 아시아개발은행(ADB) 데이터를 토대로 OECD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