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세계화 후퇴와 물가 기조 전환 가능성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16
용량 364.29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세계화 후퇴와 물가 기조 전환 가능성.pdf 364.2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12-0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급등했던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안정되고 있다. 주요국 인플
레이션은 여전히 중앙은행의 목표치를 크게 상회하고 있으나, 누적된 통화 긴축의 영향으로 둔화세가
지속될 것으로 파악하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와 같이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상당 폭 완화될 수
있겠으나, 장기적 관점에서 과거 저물가 시대로 복귀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이견과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인플레이션 기조 변화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는 저물가 기조와 연관되었을 것으로 추정되
는 글로벌 경제구조에 변화가 감지되기 때문이다(Lagarde, 2023; Powell, 2023).이에 본 고에서는
핵심 경제구조변화 동인으로 고려되는 세계화 후퇴가 물가 기조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시사점에 대해
살펴본다

 

[인플레이션의 이해 : 추세 인플레이션과 순환적 인플레이션]


물가 기조는 장기 인플레이션(long-term inflation), 즉 추세 인플레이션(trend inflation) 관점에
서 살펴볼 수 있다. 추세 인플레이션은 경제 전체의 수요뿐만 아니라 공급능력을 감안한 균형 물가상
승률로 순환적(일시적) 요인을 배제한 물가상승률의 장기 추세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 인플레
이션의 정의에 기초하면 실제 인플레이션은 아래 <그림 1>과 같이 추세 인플레이션과 순환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인플레이션갭(실제 인플레이션-추세 인플레이션)으로 분해할 수 있다. 필립스곡선 이
론에 따르면 인플레이션갭은 GDP갭 및 실업률갭 등과 같은 유휴생산력(economic slack)에 의해 결
정된다. 아울러 테일러준칙 관점에서 보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하거나 인하하여 유휴생산력
이 적정 수준에서 형성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인플레이션갭을 통제한다

 

----------------------------------------------------------------------------------------------------------------------

 

 

세계화후퇴.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6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인공지능 11도토리 나혜선
56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초소형 전기차 기반의 이동 서비스 보급 및 확산 9도토리 나혜선
56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초고속 이동수단의 기술개발사업 (하이버튜브) 13도토리 나혜선
56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건설사의 탈탄소경영 추진 방안 13도토리 나혜선
567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의 봄이 온다 5도토리 민준석
567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입법과정에서 입법영향분석이 갖는 법적 위상과 과제 13도토리 민준석
567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기에 대응한 금산분리 제도 개편 13도토리 민준석
5673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인공지능 시대 도래에 따른 AI 입법수요 및 과제 연구 13도토리 민준석
567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유럽의 자동차 배터리 시장 현황과 진출방안 13도토리 민준석
56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세르비아 EPA 추진현황과 국내기업 진출방안 9도토리 민준석
5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친환경 정책에 따른 스페인의 포장재산업 7도토리 민준석
56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중 패권 경쟁시대, 중국의 소부장 공급망의 무기화 11도토리 민준석
56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마트 항만 기술 및 정책 동향 9도토리 황세영
56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다부처 통합연구지원시스템 표준화 및 적용 방안 7도토리 황세영
566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푸드 테크 11도토리 황세영
566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산업 정책 동향 5도토리 황세영
56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원전산업 현황 및 국내 정책 대응 방향 9도토리 황세영
566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주 발사체 누리호 이후 세계 발사체 기술동향 중심으로 11도토리 황세영
56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ICT 브리프 7도토리 황세영
566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과학기술 & ict 1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