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연구] 대표예술건축물 지정제도 도입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120
용량 2.26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연구] 대표예술건축물 지정제도 도입 방안.pdf 2.2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11-2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70 

[목 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제2장 대표예술건축물 지정제도 도입의 의의와 쟁점 
  제1절 제도도입의 의의와 필요성 
      1. 건축물의 가치 
      2. 국책 문화시설 건립사업에 있어 디자인의 질 확보 필요성 
      3. 대표예술건축물 지정제도를 통한 국책 랜드마크사업의 성공적 추진 기반 마련 
  제2절 제도 현황 분석 
      1. 총사업비 관리제도
      2. 디자인 Quality 관리 프로세스 현황
  제3절 도입시 쟁점 
      1. 예산배정권한의 소재 
      2. 총사업비의 증가에 대한 인정 여부 
      3. 디자인 수준의 확보 가능성 

 

제3장 관련 사례분석 및 시사점 
  제1절 예산 설정 및 사업비 운영 
      1. 서울시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방안 
      2. 미국 재원조달 원칙(Principles of Financing) 
  제2절 추진주체 및 문화부 역할 
      1. 프랑스 그랜드 프로젝트(Grand Projets) 
      2. 독일 엘브필하모니(Elbphilharmonie) 건립사업 
  제3절 특별 관리 프로세스 설정 
      1. 영국 관문심사 제도 
      2. 네덜란드 퀄리티팀(Q-team) 디자인 전략 
  제4절 소결 
      1. 관련 사례의 주요 이슈 
      2. 분석 시사점 

 

제4장 대표예술건축물 지정제도 도입방안 제언
  제1절 국가재정법상의 총사업비 관리제도 개정 및 활용 
      1. 대표예술건축물에 대한 총사업비 등록시점 조정 
      2. 대표예술건축물에 대한 예타면제 대상의 적용 
      3. 기존 총사업비 관리제도(예비타당성조사) 내에서의 적용 
  제2절 범부처 합동추진구조의 운영 
      1. 국가재정 운용계획을 통한 예산 배정 방향의 일치성 확보 
      2. 개별법 단계에서의 협력 구조 마련
      3. 범부처 합동추진체의 설립 
  제3절 대표예술건축물 지정·관리 Process 
      1. 대표예술건축물의 지정 기준 
      2. 대표예술건축물의 총사업비 및 디자인 관리 
  제4절 맺음말 

참고문헌

 

---------------------------------------------------------------------------------------------------------------

 

 

대표예술건축물.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6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인공지능 11도토리 나혜선
56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초소형 전기차 기반의 이동 서비스 보급 및 확산 9도토리 나혜선
56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초고속 이동수단의 기술개발사업 (하이버튜브) 13도토리 나혜선
56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건설사의 탈탄소경영 추진 방안 13도토리 나혜선
567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의 봄이 온다 5도토리 민준석
567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입법과정에서 입법영향분석이 갖는 법적 위상과 과제 13도토리 민준석
567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기에 대응한 금산분리 제도 개편 13도토리 민준석
5673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인공지능 시대 도래에 따른 AI 입법수요 및 과제 연구 13도토리 민준석
567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유럽의 자동차 배터리 시장 현황과 진출방안 13도토리 민준석
56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세르비아 EPA 추진현황과 국내기업 진출방안 9도토리 민준석
5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친환경 정책에 따른 스페인의 포장재산업 7도토리 민준석
56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중 패권 경쟁시대, 중국의 소부장 공급망의 무기화 11도토리 민준석
56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마트 항만 기술 및 정책 동향 9도토리 황세영
56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다부처 통합연구지원시스템 표준화 및 적용 방안 7도토리 황세영
566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푸드 테크 11도토리 황세영
566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산업 정책 동향 5도토리 황세영
56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원전산업 현황 및 국내 정책 대응 방향 9도토리 황세영
566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주 발사체 누리호 이후 세계 발사체 기술동향 중심으로 11도토리 황세영
56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ICT 브리프 7도토리 황세영
566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과학기술 & ict 1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