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한계기업 결정요인 분석과 COVID19 이후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시사점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37 | |
---|---|---|---|---|---|---|
용량 | 2.98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한계기업 결정요인 분석과 COVID19 이후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시사점.pdf | 2.98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07-02 |
---|---|
출처 : | 산업연구원 |
페이지 수 : | 85 |
< 목 차 >
제1장 서론
제2장 한계기업 현황
제3장 한계기업 전환 및 탈출확률 결정요인 분석
제4장 코로나19 이후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각국 정부의 과도한 유동성 공급 이 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던 한계기업이 더욱 증가함. - 백신 개발 이후 침체된 경제가 회복 국면에 접어들고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에는 부채로 지탱하고 있는 한계기업의 문제가 더 심각해질 것 으로 예측 ○ 본 연구는 제조업종의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기업자료를 활용하여 한계기업 현황과 결정요인, 정상기업으로의 전 환 결정요인을 분석함. - 한계기업 결정요인 실증분석에서 총자산수익률이 낮을수록, 부채비 율이 높을수록, 매출액이 낮을수록, 업력이 높아질수록, 산업 내 한계 기업 비중이 높을수록 한계기업이 될 확률이 높았음. - 한계기업 탈출 결정요인 실증분석에서 총자산수익률이 증가할수록, 매출액 증가율이 클수록, 부채비율이 감소할수록 한계기업에서 탈출할 8 한계기업 결정요인 분석과 코로나19 이후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시사점 확률이 큼. ○ 2020년 상장제조업 기준 한계기업은 15.63%로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장기적으로 생산성이 낮은 한계기업은 퇴출을 유도하는 것 이 바람직하나 단기에 대량 퇴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음. - 단기에 많은 기업이 도산하게 되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크 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기업의 대량 도산을 방지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원체계가 필요 - 특히,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상장기업인 한계 기업이 담당하는 생산, 고용 등의 비중이나 영향력을 고려하면 한계 기업 퇴출 논의는 좀 더 조심스럽게 이루어져야 함. ○ 일반적으로 정책 담당자가 한계기업을 지원하는 것에 정당성을 찾기 어려우나 한계기업 전환확률과 탈출확률 분석 결과를 기업 선별 지 원의 한 평가요소로 활용 가능 -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의 목표는 유의미한 변수를 찾아 그 변수에 대 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아님. - 실증분석에서 도출한 추정치와 기업자료를 활용하면 정상기업이 한계 기업이 될 확률과 한계기업이 정상기업이 될 확률을 계산할 수 있음. - 정책 담당자는 이 계산결과를 구조조정 관련 결정을 위한 하나의 평 가요소로 활용할 수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