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계기업 결정요인 분석과 COVID19 이후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80
용량 2.98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한계기업 결정요인 분석과 COVID19 이후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시사점.pdf 2.9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02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85 

< 목 차 >


제1장 서론 

제2장 한계기업 현황 

 

제3장 한계기업 전환 및 탈출확률 결정요인 분석

 

제4장 코로나19 이후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각국 정부의 과도한 유동성 공급 이 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던 한계기업이 더욱 증가함. - 백신 개발 이후 침체된 경제가 회복 국면에 접어들고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에는 부채로 지탱하고 있는 한계기업의 문제가 더 심각해질 것 으로 예측 ○ 본 연구는 제조업종의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기업자료를 활용하여 한계기업 현황과 결정요인, 정상기업으로의 전 환 결정요인을 분석함. - 한계기업 결정요인 실증분석에서 총자산수익률이 낮을수록, 부채비 율이 높을수록, 매출액이 낮을수록, 업력이 높아질수록, 산업 내 한계 기업 비중이 높을수록 한계기업이 될 확률이 높았음. - 한계기업 탈출 결정요인 실증분석에서 총자산수익률이 증가할수록, 매출액 증가율이 클수록, 부채비율이 감소할수록 한계기업에서 탈출할 8 한계기업 결정요인 분석과 코로나19 이후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시사점 확률이 큼. ○ 2020년 상장제조업 기준 한계기업은 15.63%로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장기적으로 생산성이 낮은 한계기업은 퇴출을 유도하는 것 이 바람직하나 단기에 대량 퇴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음. - 단기에 많은 기업이 도산하게 되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크 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기업의 대량 도산을 방지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원체계가 필요 - 특히,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상장기업인 한계 기업이 담당하는 생산, 고용 등의 비중이나 영향력을 고려하면 한계 기업 퇴출 논의는 좀 더 조심스럽게 이루어져야 함. ○ 일반적으로 정책 담당자가 한계기업을 지원하는 것에 정당성을 찾기 어려우나 한계기업 전환확률과 탈출확률 분석 결과를 기업 선별 지 원의 한 평가요소로 활용 가능 -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의 목표는 유의미한 변수를 찾아 그 변수에 대 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아님. - 실증분석에서 도출한 추정치와 기업자료를 활용하면 정상기업이 한계 기업이 될 확률과 한계기업이 정상기업이 될 확률을 계산할 수 있음. - 정책 담당자는 이 계산결과를 구조조정 관련 결정을 위한 하나의 평 가요소로 활용할 수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068 성장동력산업 말레이시아 신종 감염병 대비·대응 역량 강화 7도토리 국준아
1067 성장동력산업 페루 대선 결과 평가와 신정부의 정책방향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066 성장동력산업 인도네시아의 신종 감염병 대비·대응 역량 강화 7도토리 국준아
1065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반도체 제조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064 성장동력산업 2019년도 정보통신기술 기술수준조사와 기술경쟁력분석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1063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와 한·중 간 직접투자 1도토리 조정희
1062 성장동력산업 아동 발달을 위한 초등 방과후학교 개선방향 1도토리 국준아
1061 성장동력산업 퍼스널 모빌리티의 효율적 규제방안 연구 7도토리 국준아
1060 성장동력산업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왜 그리고 어떻게 고쳐야 하나 1도토리 국준아
1059 성장동력산업 전국 일체화 빅데이터센터 허브 구축 1도토리 조정희
1058 성장동력산업 온실가스의 대표적 물질, 메탄 활용을 위한 나노촉매 기술 3도토리 국준아
1057 성장동력산업 북한지역 토지자산 추정에 대한 연구: 프레임워크 개발과 탐색적 적용 3도토리 조정희
1056 성장동력산업 차세대 리튬 이차전지 기술 7도토리 국준아
1055 성장동력산업 직업훈련이 해외 인력의 고용 및 임금에 끼치는 영향 3도토리 조정희
1054 성장동력산업 2020년도 나노기술 통계자료 7도토리 국준아
1053 성장동력산업 수소의 화학적 저장과 나노기술 3도토리 국준아
1052 성장동력산업 COVID-19 충격에 대응한 중앙은행 간 통화스왑의 국내 외환시장 안정 효과 3도토리 조정희
1051 성장동력산업 재원조달 방법을 고려한 재정지출 효과 분석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7도토리 조정희
1050 성장동력산업 "공정거래법"상 일률적 과징금 산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부당한 공동행위 위반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1049 성장동력산업 산업별 주가 변동성 및 거래량의 관계 구조: 행태경제학적 접근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