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중국의 최근 항암제 신속 승인 현황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73
용량 271.8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중국의 최근 항암제 신속 승인 현황.pdf 271.8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중국의 최근 항암제 신속 승인 현황 한국바이오협회 산업정책부문 ◇ 본 내용은 주로 2021년 5월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에 실린 논문 “Characteristics of expedited programmes for cancer drug approval in China” 중 일부를 요약한 것임. ◇ 중국 규제당국(NMPA)의 신속허가로 2020년 중국에서 허가된 49개 신약 중 31개가 2020년 말까지 시장에 출시되었음(IQVIA, 2021). 또한, 중국에서 2018년 허가된 48개 신약 중 35개 (73%)가 중국의 신속허가 프로그램에 따라 빠르게 승인된 것임(IQVIA, 2019). ◇ 중국은 2015년 우선심사, 2017년 조건부허가, 2018년 긴급 수입필요 해외의약품, 2020년 혁신 치료제 등의 일련의 신속 허가제도*를 도입해 신약 접근성을 확대하고 있음. * 동 제도를 통해 국내외 혁신적인 신약이 신속히 임상시험과 승인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 ◇ 한편, 중국에서는 1분마다 5명이 암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특히 전 세계 위암, 간암, 식도암 환자의 50%가 중국에서 발생하는 등 중국 정부는 암(Cancer)을 5대 최우선 질병분야로 선정해 이를 해결 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음(McKinsey, 2020) ◇ 2016년에서 2020년 사이 중국에서 허가된 항암제의 대부분이 신속허가 대상으로 지정되어 수입 및 제조 품목 허가를 받아 출시됨. 각 품목마다 IND 제출부터 NDA/BLA 승인까지의 기간, 또는 NDA/BLA 심사기간에 있어서는 다양한 차이*를 나타냄. * 이는, 해당 품목이 어떤 적응증인지, 임상환자 규모 및 임상데이터의 양, 기업의 전략 등에 따라 임상 개발 기간 및 승인심사 기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임. ◇ 임상개발 기간과 승인심사 기간에 있어 특히 오래 걸리거나 빨리 처리된 사례를 보면, ○ (IND신청~신약승인) 화이자社의 유방암치료제 Nerlynx는 13년 8개월이 걸림. - 반면, 아스트라제네카社의 폐암치료제인 Tagrisso는 2년 10개월이 걸림. ○ (신약 신청~승인) Ferring社의 전립선암치료제 Firmagon은 2년 8개월이 걸림. - 반면, MSD社의 면역항암제인 Keytruda는 5개월만에 승인됨. ○ (IND신청~신약승인) 중국 Guojian社가 개발한 중국최초 유방암 항체치료제인 CIPTERBIN은 17년이 걸림. - 반면, 중국 Innovent社의 항 PD-1 면역관문억제제인 Tyvyt는 3년이 걸림. ○ (신약 신청~승인) 중국 BeiGene社의 백혈병치료제인 Brukinsa는 1년 10개월이 걸림. - 반면, 중국 Innovent社가 개발한 항 PD-1 면역관문억제제인 Tyvyt는 8개월만에 승인됨. ○ (면역관문억제제) 2020년 말까지 중국에서 허가된 항 PD-1 면역관문억제제는 4개로 모두 우선심사 및 조건부허가를 받아 시장에 출시됨. IND 신청부터 NDA(BLA) 허가까지 짧게는 3년 길게는 4년 5개월이 걸렸으며, 신약 심사기간은 짧게는 8개월에서 길게는 1년 3개월이 소요됨. - 2 - 1. 중국의 의약품 신속허가 제도 ○ 중국 의약품 규제기관인 약품감독관리국(NMPA)에서는 우선심사, 조건부 허가, 긴급히 필요한 해외 의약품, 혁신치료제와 같은 신속허가 프로그램(Expedited Programs)을 운영 중으로, 대부분 심각하 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에 대한 신약이나 긴급히 도입이 필요한 의약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 ○ 우선심사(Priority Review)는 2015년 11월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혁신의약품 및 제네릭의약품의 허가심사 지연을 해결하는 것에서 벗어나 임상적 혜택이 있는 혁신치료제 허가를 촉진하고 있음. 아래 표의 내용은 개정 의약품 등록 규정(2020년 7월 시행)에 근거하여 시행되고 있는 내용으로 이전에는 IND* 신청과 NDA/BLA** 신청 사이에 가능하였으나 지금은 NDA/BLA 신청시에만 가능 함. 우선심사로 지정되면 작업일 130일 이내에서 심사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IND(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 **NDA/BLA(신약/바이오신약 승인신청) ○ 조건부 허가(Conditional Approval)는 2017년 12월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IND 심사기간에 규제 기관(NMPA) 산하 의약품평가센터(CDE)와 조건부 허가 가능성에 대해 상담하고, NDA 심사기간에 조건부 허가 여부가 결정됨. 심사기간은 우선심사에 준해 적용됨. ○ 긴급히 필요한 해외 의약품(Urgently Needed Overseas Drugs)은 2018년 10월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규제기관(NMPA)이 적용 대상 의약품 목록을 공지하며, NDA/BLA 심사기간은 3~6개월로 정하고 있음. ○ 혁신치료제(Breakthrough Therapy)는 2020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IND 신청과 동시에 혁 신치료제 지정을 신청할 수 있음. 심사기간은 우선심사에 준해 적용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068 성장동력산업 말레이시아 신종 감염병 대비·대응 역량 강화 7도토리 국준아
1067 성장동력산업 페루 대선 결과 평가와 신정부의 정책방향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066 성장동력산업 인도네시아의 신종 감염병 대비·대응 역량 강화 7도토리 국준아
1065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반도체 제조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064 성장동력산업 2019년도 정보통신기술 기술수준조사와 기술경쟁력분석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1063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와 한·중 간 직접투자 1도토리 조정희
1062 성장동력산업 아동 발달을 위한 초등 방과후학교 개선방향 1도토리 국준아
1061 성장동력산업 퍼스널 모빌리티의 효율적 규제방안 연구 7도토리 국준아
1060 성장동력산업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왜 그리고 어떻게 고쳐야 하나 1도토리 국준아
1059 성장동력산업 전국 일체화 빅데이터센터 허브 구축 1도토리 조정희
1058 성장동력산업 온실가스의 대표적 물질, 메탄 활용을 위한 나노촉매 기술 3도토리 국준아
1057 성장동력산업 북한지역 토지자산 추정에 대한 연구: 프레임워크 개발과 탐색적 적용 3도토리 조정희
1056 성장동력산업 차세대 리튬 이차전지 기술 7도토리 국준아
1055 성장동력산업 직업훈련이 해외 인력의 고용 및 임금에 끼치는 영향 3도토리 조정희
1054 성장동력산업 2020년도 나노기술 통계자료 7도토리 국준아
1053 성장동력산업 수소의 화학적 저장과 나노기술 3도토리 국준아
1052 성장동력산업 COVID-19 충격에 대응한 중앙은행 간 통화스왑의 국내 외환시장 안정 효과 3도토리 조정희
1051 성장동력산업 재원조달 방법을 고려한 재정지출 효과 분석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7도토리 조정희
1050 성장동력산업 "공정거래법"상 일률적 과징금 산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부당한 공동행위 위반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1049 성장동력산업 산업별 주가 변동성 및 거래량의 관계 구조: 행태경제학적 접근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