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국내외 XR 디바이스산업 현황 및 정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45
용량 1.12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국내외 XR 디바이스산업 현황 및 정책.pdf 1.1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12-0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요약]


XR 시장은 2021년 189억 6,000만 달러에서 2026년 1,007억 7,000만 달러로 연평균 39.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으로, 엔터테인먼트(게임·소셜용) 및 교육·산업용, 그리고 새롭게 부상하는 개인·체험
용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국내 XR산업은 80% 이상이 콘텐츠 제작 및 공급업에 종사하고 있어 디바이스 제
조에 대한 지원이 더 필요하다.


XR 관련 주요 기술 분야는 디스플레이, 트래킹, 렌더링 및 인터랙션·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분할 수 있
으며, 기술 최고국인 미국을 100으로 할 때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은 87.7로 주로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특
허 비중이 높다. 대기업이 주도하는 디스플레이 외에 트래킹, 인터랙션 등 국산 기술개발을 위한 산학연 협
력의 제고가 필요하다.


선진국들에서는 XR산업 지원 관련하여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으며,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산업, 교육 및
의료 분야로 활용 분야를 넓히고 있다. 중국은 지역별 특화정책으로 콘텐츠 플랫폼 외에 디바이스 제조 또한
집중 육성하여 VR 헤드셋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어 국내 정책 참고가 필요하다.


우리나라가 XR산업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련 부품·기술의 선정 및 수출 지원, 지역별 특화
된 정책으로 클러스터 형성, 기존 VR 중심에서 AR/MR로의 확장 등이 필요할 전망이다.

 

----------------------------------------------------------------------------------------------------------------------------------------

 

 

국내외xr.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58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러시아 OTT 콘텐츠 산업동향 5도토리 전아람
658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러시아 이스포츠 산업동향 5도토리 전아람
6581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탄소중립 녹색기술이 미치는 환경적 영향 11도토리 한상윤
65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이스포츠 산업 실태조사 13도토리 한상윤
65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한민국 건설업 사망사고 심층분석 13도토리 한상윤
657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지진 재난에 대응하는 기술 9도토리 한상윤
6577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금융권의 변화 5도토리 한상윤
65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청정 암모니아 생산‧활용 7도토리 한상윤
657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E-SPORTS 상설경기장의 효과 및 성과 13도토리 한상윤
6574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내외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동향 7도토리 한상윤
657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호우 재난관리 - 현장 상황전파체계를 중심으로 5도토리 한상윤
657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로봇 전문인력 양성 기능을 중심으로 5도토리 최민기
65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럽연합의 우주, 방위 및 관련 핵심 기술 분석 7도토리 최민기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XR 디바이스산업 현황 및 정책 5도토리 최민기
65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플라스틱 국제협약을 대비한 과학기술의 역할 9도토리 최민기
65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9도토리 최민기
6567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2024년 주력산업 전망 5도토리 최민기
65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블루푸드테크 전문기관 도입의 필요성 13도토리 최민기
65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항만기술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 연구 13도토리 최민기
65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 이야기산업 연구 13도토리 최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