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글로벌 cmo 시장 동향과 기회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01
용량 5.68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글로벌 cmo 시장 동향과 기회.pdf 5.6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목 차 > 

 

  1. CMO 개요

  2. 글로벌 CMO 시장현황

  3. CMO 사업 전망 및 성장 기회

 

  참고문헌

 


 

1. CMO 개요 일반적으로 과거 제약산업은 완전 통합형 제약회사 (FIPCO, Fully Integrated Pharm Co.) 구 조로 1개의 제약기업이 마케팅 & 영업, 생산, 임상시험, R&D 영역의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수직통합으로 인한 관리의 복잡성, 비용증가 등의 문제와 90년대 이후 아웃 소싱의 부상으로 경쟁우위 창출을 위한 새로운 기업전략이 필요해지면서, 그 일환으로 전문위 탁생산기관 (CMO,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의 활용이 급속히 확산되었다. CMO는 주로 자체 생산역량이 부족하거나, 의약품 R&D 및 마케팅에 사업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생산을 전략적으로 아웃소싱하길 원하는 제약사들을 대상 고객으로 생산시설 건설을 위 한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지 않고 제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의약품을 전문적으로 생산 지원해 주는 전문 위탁생산기관으로, 주로 위탁생산, 품질관리, 인허가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주 고 있다. 나아가 CDMO는 CMO에 개발 기능을 더해 신약개발 초기 단계 의약품(Early-stage of new drugs), 신약개발 후보물질 라이센스 아웃 (Out-licensing), 위험부담배분 (Risk sharing)등을 고려한 확장된 범위의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다. 규격 설정, 분석법 개발, 분 석법 밸리데이션, 공정개발, pre-formulation, 제형 개발, 인허가 문서 작성을 위한 가이드 및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파트너사의 개발 초기단계부터 연구소 및 품질 부서와의 협업을 통 해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 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zation) 가이드라인 및 국가별 기준에 적합하고 제품 특성에 맞는 의약품 개발 및 IND, NDA 등에 걸친 인허가 준 비 및 문서 작성 등을 수행한다. 특히, 확장된 개발서비스에 초점을 두고, 위탁 기관에게 자체 적으로 부족하거나 없는 인프라 및 기술을 제공하여 전문적인 업무수행 및 비용절감의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위험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글로벌 CMO 시장 현황 및 기회 October 2021. Issue 32 김훈주 의약생산센터장 대구경북첨단의료 산업진흥재단 안용호 상무 삼성바이오로직스 2 글로벌 CMO 시장 현황 및 기회 즉, CDMO 사업범위는 기존 CRO와 CMO영역을 광범위하게 포괄하고 있으며, 제품개발 서 비스부터 분석지원 및 제조를 하나의 통합된 프로세스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표 1] CDMO 업무영역 및 서비스 주요내용 업무영역 주요내용 생산 공정 확립 및 위탁생산 - 제품(제형)별 생산공정 및 IPC(In Process Control) 확립 - 원료의약품(API) 생산 - 임상시험용 의약품 (Investigational Drug Product)생산 - 시제품 생산 (Pilot scale 생산(안정성용 포함)) - 완제의약품 생산 (Scale-up) - 임상시험용 의약품 재포장 (위약, 시험약) 품질관리법 개발 및 품질관리 - 원료 시험 및 완제의약품 분석 시험 수행 - 안정성 시험 자료 확보 - 기준 및 시험법 개발 - Lot release test 인허가지원(국내 및 해외) - CMC 개발 및 자료 지원 (공장도면, MV, PV, CV) - 품질보증 Documentation - GMP 시설 및 의약품 생산 분석 컨설팅, 인허가 관련 문서작성 - IND 및 NDA 신청 지원 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019 생명공학/바이오 미국 산업계 최근 바이오 원부자재 공급망 안정화 움직임 1도토리 국준아
1018 성장동력산업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과 한국의 대응방안 1도토리 조정희
1017 성장동력산업 주택금융정책의 딜레마 1도토리 조정희
1016 성장동력산업 美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전망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조정희
1015 성장동력산업 美 대형은행 영국 리테일 시장 진출 확대 1도토리 조정희
1014 성장동력산업 커뮤니티 기반 공간으로 진화하는 은행 점포 1도토리 조정희
1013 성장동력산업 외환: 美정부부채 한도 불확실성에 유의 1도토리 조정희
1012 성장동력산업 금리: 코로나 우려 재부각 속 7월 금통위 주시 1도토리 조정희
1011 성장동력산업 美 바이든 대통령, 초당적 인프라 프레임워크 합의 성명 발표 1도토리 조정희
1010 생명공학/바이오 미국 정부 고가 전문의약품과의 전쟁 산업계가 반격에 나섰다 1도토리 국준아
1009 생명공학/바이오 일본의 최근 유전자가위기술 산업화 동향 1도토리 국준아
1008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헬스분야 글로벌 인허가 인력 10만명 1도토리 국준아
1007 성장동력산업 환율과 경상수지의 구조적 변화와 정책방향 1도토리 조정희
1006 성장동력산업 [Hot Issue Report 2021-1호] G7 디지털 기술 장관회의 선언문과 국내법적 함의 1도토리 조정희
» 생명공학/바이오 글로벌 cmo 시장 동향과 기회 3도토리 국준아
1004 생명공학/바이오 의료기기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규정 1도토리 국준아
1003 성장동력산업 친환경 발전소로 거듭나는 수소차용 연료전지 1도토리 국준아
1002 성장동력산업 남아프리카공화국 개인정보보호법(POPIA)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001 성장동력산업 온실가스를 줄이는 친환경 합성연료, e-fuel 1도토리 국준아
1000 성장동력산업 中 디지털 위안화 추진 동향 및 전망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