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고령 운전자 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82
용량 326.3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고령 운전자 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 방향.pdf 326.3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KATECH Insight ◆ 국내 고령운전자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유발 문제가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정부는 운전면허 관리 강화에 중점을 두고 관련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음 ◆ 정책 방향은 고령운전자 관리에는 의미가 있으나 실질적인 사고 예방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現 운전약자 전반의 교통사고를 상시 예방하는 기술적 해결책에 관심을 기울여야 함 ▚고령운전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문제가 사회적으로 부각 ∙ 국내 운전면허 소지자 중 세 이상의 비율은 증가 추세로 최근 를 상회하고 있으며 65 11% , 고령운전자(65 ) 세 이상 의 교통사고 유발 점유율도 증가하는 추세임 * ’16 ~’20 65 ( ): 8.0% 8.8% 9.5% 10.2% 11.1% 년 년 운전면허소지자 중 세 이상 비율 도로교통공단 → → → → ❙ ❙ 2016~2020년 고령운전자 및 비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발생건수 비교 구분 고령운전자 (65 ) 세 이상 비고령운전자 (65 ) 세 미만 발생건수 비율 ( ) 사망자수 비율 ( ) 발생건수 비율 ( ) 사망자수 비율 ( ) 2016년 86,304 (8.1%) 759 (17.7%) 980,235 (91.9%) 3,532 (82.3%) 2017년 116,165 (10.9%) 848 (20.3%) 951,615 (89.1%) 3,336 (79.7%) 2018년 159,444 (14.0%) 843 (22.3%) 976,909 (86.0%) 2,934 (77.7%) 2019년 179,327 (14.8%) 769 (23.0%) 1,030,037 (85.2%) 2,579 (77.0%) 2020년 114,795 (10.5%) 720 (23.4%) 973,540 (89.5%) 2,361 (76.6%) * (TAAS), (‘21.6 )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 가해운전자 연령층별 교통사고 통계 월 기준 ▚이에 정부는 고령운전자 면허 관리 강화에 중점을 두고 관련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음 ∙ ( ) 75 , 정책 정부는 세 이상 운전자가 운전면허 갱신 시 인지능력 진단 및 교통안전교육 의무화 갱신주기 단축(5 3 ) → 년 등을 시행 중이며 각 지자체는 운전면허 자진반납 제도 , *를 운영 중 * 지자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세 이상 고령인이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할 경우 교통비 등을 지원 65~70 - ’20.9 ‘ ( )’ , 월에는 고령자 교통안전 종합계획 안 을 일반에 공개하며 조건부 운전면허 도입 수시적성검사 제도 개정 기반 운전적합성 평가시스템 개발 등의 추가 대책을 제시 , ICT ∙ ( ) 現 분석 정책은 고령운전자 문제를 앞서 겪은 주요국의 대응 방향과 큰 틀에서 유사하나* , 특정 연령대 중심의 운전자 면허 관리에 초점을 두는 특징이 뚜렷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99 성장동력산업 탄소세 논의 동향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고령 운전자 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 방향 1도토리 국준아
997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초저가 전기차 열풍과 그 의미 1도토리 국준아
996 성장동력산업 中 인공지능 산업 현황과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995 성장동력산업 중국 1~5월 신에너지 승용차 판매 급증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994 성장동력산업 차량용 반도체 생산 내재화 동향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
993 성장동력산업 미래차 산업구조 전환 핵심과제, 휴먼뉴딜 1도토리 국준아
992 성장동력산업 사람, 자연, 기후를 위한 생태계 복원 1도토리 조정희
991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 ‘레벨3’ 상용화를 위한 규제대응 현황 1도토리 국준아
990 성장동력산업 해외의 대형 자동차 CO2 규제 동향 및 기술 전망 1도토리 조정희
989 성장동력산업 윤곽을 드러낸 미국 친환경차 산업 육성 정책 1도토리 국준아
988 성장동력산업 온실가스 배출격차보고서 2020 1도토리 조정희
987 성장동력산업 2021년 상반기 글로벌 완성차 판매량 분석 1도토리 국준아
986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금융개방 환경 변화와 대응방향 1도토리 조정희
985 성장동력산업 중국 로컬 완성차의 수출 증가에 주목해야 1도토리 국준아
984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2) 1도토리 조정희
983 성장동력산업 미래차 전환, 플래포머의 부각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982 성장동력산업 가격경쟁의 서막을 여는 유럽의 경형 전기차 1도토리 국준아
981 성장동력산업 [2021] 06월 HPC Trend Report : Top500과 Green500 현황 1도토리 조정희
980 성장동력산업 최근 디지털세 논의 동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