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2년 보건산업 수출 276억 달러로 지속 성장 전망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38
용량 506.5KB 필요한 K-데이터 8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11117) 2022년 보건산업 수출 276억 달러로 지속 성장 전망.hwp 506.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18 
출처 : 정책산하기관 
페이지 수 :  

2022년 보건산업 수출 276억 달러로 지속 성장 전망

진흥원, 2021년 보건산업 수출 동향 및 2022년 수출 전망치 발표

의약품화장품 역대 최초 단일품목 기준 100억 달러 돌파 전망

 

 

 (주요특징) 코로나19 이후 보건산업 무역수지 개선 및 흑자 폭 확대 보건산업 수출 위상 강화, 국내 주요 보건상품의 세계시장 내 수입시장 점유율 상승

 

◆ (동향21e 수출은 251억 달러로 역대 최대 수출액 달성 예상

* ’19.9월 이후 25개월 연속(’19.9’21.9플러스 성장 유지

* 기존 주력품목을 제치고 성장 수출 유망품목으로 자리매김(7위 유지)

 

◆ (전망22년 보건산업 수출 10.1% 증가한 276억 달러 전망

최초로 의약품 및 화장품 단일 품목 기준 100억 달러 돌파 예상

바이오의약품 및 백신(CMO), 치료제 등의 시장 확대와 코로나19 이슈 상황에 따라 국내 진단용 제품의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이하 진흥원)은 2021년 보건산업 주요 수출 성과 및 2022년 수출 전망을 발표하였다.

 

 

 

󰊱 코로나19 이후 보건산업 수출 주요 특징

 

□ (무역수지 개선 및 흑자 폭 확대) ’20년 의약품의료기기 수출액은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해 무역수지가 흑자 전환되었으화장품의 경우 대외 인지도 향상 따라 무역수지 흑자 전환(‘16) 후 그 폭이 매년 확대 추세에 있다.

 

□ (보건산업 수출 위상 강화) 2021년 9월 현재 보건산업 수출은 ’19년 대비 3단계 상승한 7*를 기록하며 성장 수출 유망품목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2021년 국내 주요 품목의 수출은 사상 최대실적을 달성하고 있는 운데보건산업 역시 시장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여 수출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 (수출경쟁력 강화) 코로나19 이후 국내 주요 보건상품(바이오의약품, 진단용제품기초화장용 제품류)의 전 세계 수입시장에서의 점유율이 상승하며 수출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바이오의약품) 2020년 세계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의 총 수입액은 2,271억 달러로 최근 5년간 15.6%씩 높은 성장을 이어가며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진단용제품)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전염병 대유행에 따라 체외진단시장이 주목받았으며기술력을 인정받은 국내 진단용 제품(진단키트)의 수출이 대폭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기초화장용제품류) 2020년 기준 전 세계에서 기초화장용제품류는 프랑스로부터 가장 많이 수입되었으며다음으로 한국산 제품이 2위를 차지하며 기초화장품 제품 분야 강국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1 성장동력산업 내년부터 지방투자촉진보조금 문턱 더욱 낮아져 1도토리 조현상
50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메타버스 르네상스 3도토리 이상연
49 성장동력산업 수출 역대 최대 등 신남방·신북방 정책 결실 거두었다 1도토리 조현상
48 성장동력산업 2050 탄소중립과 제조업이 나아갈 길 1도토리 이상연
47 성장동력산업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공포안 국무회의 의결 1도토리 조현상
46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개정안 12.28(화)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45 성장동력산업 2022년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 만든 변화, 끝까지 책임 다하는 정부」 1도토리 조현상
44 생명공학/바이오 국내 진단용 의료기기시장 최근 5년간 연평균 8% 성장 1도토리 조현상
43 생명공학/바이오 21년 1/4분기 보건산업 고용 95.3만 명, 전년比 3.1% 증가 1도토리 조현상
42 생명공학/바이오 “화장품산업 전반 비대면 트렌드 확산 추세” 1도토리 조현상
41 생명공학/바이오 2021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124.5억 달러, 전년比 30.3% 증가 8도토리 조현상
40 생명공학/바이오 세계 최초 3D바이오프린팅 환자 맞춤 이식용 인공 기관(호흡기도) 개발 1도토리 조현상
39 생명공학/바이오 7월 보건산업 월간 수출 20.0억 달러로 전년比 21.6% 증가 1도토리 조현상
38 생명공학/바이오 8월 보건산업 월간 수출 19.5억 달러로 전년比 18.3% 증가 1도토리 조현상
37 생명공학/바이오 의료인 디지털헬스케어 필요성 공감 71.8%로 높아 1도토리 조현상
36 생명공학/바이오 2021년 3/4분기 보건산업 수출 186.9억 달러, 전년比 23.7% 증가 3도토리 조현상
35 생명공학/바이오 21년 3/4분기 보건산업 고용 98.1만 명, 전년比 4.2% 증가 3도토리 조현상
» 생명공학/바이오 2022년 보건산업 수출 276억 달러로 지속 성장 전망 8도토리 조현상
33 생명공학/바이오 혁신의료기기 연구개발 정보관리 기관을 활용한 의료기기 산업정보의 전주기 분석 및 활용 1도토리 조현상
32 생명공학/바이오 코로나19 이후 화장품시장 변화 진단 1도토리 이상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