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美와 대만 간의 무역협정 주요 내용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43
용량 216.24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美와 대만 간의 무역협정 주요 내용과 시사점.pdf 216.2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10-2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 미국은 대만과 시장개방을 제외한 새로운 통상의제 및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무역협정을 체결 ○ 미국과 대만은 IPEF 협상 개시(`22.5월) 후 ‘21세기 무역 이니셔티브’를 출범하고, 1차 무역협정에서 ①관세행정 및 무역 원활화, ②모범규제관행, ③서비스 국내 규제, ④부패방지, ⑤중소기업에 대한 합의에 도달(`23.6.1.) ○ ‘미국-대만 21세기 무역에 관한 1차 협정 이행법’ 발효(`23.8.7.)와 함께 동 협정도 발효되었으며, 현재 2차 협정을 위한 협상이 진행중 * 공식적으로는 ‘미국재대만협회(AIT)’와 ‘주미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TECRO)’가 체결 □ 바이든 행정부가 주도하고 IPEF 협상에서도 다뤄지고 있는 새로운 통상의제의 상당수가 동 협정에서 반영되어 있으나, 시장개방을 포함한 포괄적 FTA 체결로 발전될 가능성은 높지 않음 ○ 미국 내에서 포괄적 FTA 체결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고, 대만은 FTA와 동시에 이중과세 문제 해결을 다룰 조세조약 체결을 희망하나, 양안관계 악화에 대한 우려 수준이 동 협정의 체결 가능성을 좌우할 전망 □ 미국과 대만은 2020년부터 양자 간 경제 및 비즈니스 관계 강화를 위해 경제번영 파트너십 대화를 개최 ○ 공급망 안보 및 회복력, 투자심사, 과학기술, 디지털경제 등을 논의 □ 미국은 `22.5월 IPEF 협상 개시 이후 대만과 경제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별도의 채널을 구축(`22.6.1.) ○ IPEF는 중국 영향력 확대를 억제하기 위한 미국 주도 경제협의체로 대만이 지속적으로 가입 의사를 밝혀왔으나, 미국은 중국 및 IPEF 참여국의 대중관계를 고려하여 대만과는 별도의 협상을 추진1) - 미국 내에서는 일부 상원의원, 경제단체 및 싱크탱크가 대만의 참여를 지지 ○ 미국과 대만은 ‘미국 재대만협회(美國在臺灣協會, American Institute in Taiwan, AIT)*’와 ‘주미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Taipei Economic and Cultural Representative Office, TECRO)**’ 간의 무역 이니셔티브를 개시하고(`22.6월), 공식적인 무역 협상을 위한 협상 위임을 발표(`22.8월)한 후 1단계 무역협정을 체결(`23.6.1.) - 양자 간 경제 및 무역 관계 강화, 근로자와 기업을 위한 포용적 경제성장 등을 지원*AIT: 미국은 1979년 중화인민공화국(중국)과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중화민국(대만)과는 단교. AIT는 미국이 명목상 대만에 설치한 비영리 민간단체로 주대만 미국대사관의 역할을 수행**TECRO: 대만이 미국에 설치한 연락사무소(Liaison Office)로서 사실상 대사관 역할을 하며 비공식적 외교임무를 수행 □ 우리는 미국 시장에서 대만과 경쟁관계에 있어 동 무역협정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진행중인 IPEF 협상의 방향도 견주어 가늠 ○ `22년 한국은 미국의 7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이며 대만은 9번째 파트너

 

스크린샷 2023-10-23 16593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688 성장동력산업 [연구동향] 문헌 분석을 통한 정보보안 감사 분야의 국내 및 국제 연구동향 분석 7도토리 박민혁
6687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신항만건설사업의 민간투자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13도토리 박민혁
6686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콘텐츠산업군 근로시간 연구 보고서 13도토리 박민혁
6685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의 해외 사례 13도토리 박민혁
66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무금형 수치제어 유연성형 개발 현황 5도토리 박민혁
66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자동차 일체형 차체 제조기술(기가캐스팅) 5도토리 박민혁
668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스마트 농업 구현을 위한 농기계 기술 5도토리 김민성
66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 반도체의 기술 동향 5도토리 김민성
668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산업지능화 내장형 소프트웨어 기술 동향 5도토리 김민성
66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 우주산업 실태 전반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66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앙은행의 디지털화폐 도입 관련 국내외 동향과 보안 이슈 7도토리 김민성
667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인공지능 관련 안전 및 보안 규정 분석 7도토리 김민성
6676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지역관광조직 동향 진단과 발전방향 13도토리 김민성
66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생성형 AI윤리 13도토리 김민성
667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 관광산업 진단과 정책 방향 13도토리 김민성
6673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재난안전 분야 - 디지털트윈 시스템의 새로운 활용 전략 연구 5도토리 김민성
667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현황] 2023' FDA RMAT 지정 현황 5도토리 김민성
6671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게임이용자 임상의학 Cohort 연구 분석 13도토리 김민성
6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글로벌 핀테크 산업 현황과 향후 전망 5도토리 김민성
66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에어로젤 소재 기술 동향 9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