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장분석] 인도네시아 유망품목군 수출 확대 전략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류지원 | 조회수 | 50 | |
---|---|---|---|---|---|---|
용량 | 4MB | 필요한 K-데이터 | 11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시장분석] 인도네시아 유망품목군 수출 확대 전략.pdf | 4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3-09-22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74 |
요약
제1장 인도네시아 경제 분석
제1절 거시경제 동향
제2절 대외교역 및 투자 동향
제2장 유망품목 분석
제1절 유망품목 도출
제2절 50대 유망품목
제3장 유망품목군별 수출 확대 전략
제1절 유망품목군 분류
제2절 수출 확대 전략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 한국의 對인도네시아 수출 확대를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 필요 ◦ 인도네시아의 주 수입 대상국은 중국, 싱가포르, 일본이나 그 비중이점진적으로 줄고 있으며, 최근 對말레이시아 수입 급증이 특이점 * ’18∼’22년 인니의 對중·싱·일 수입 의존도(%) : 45.0 → 45.6 → 44.3 → 44.0 → 43.9 ** 말레이시아는 급성장세(3개년 CAGR, 17.3%)로 ’22년 인도네시아 수입 대상국 4위에 등극◦ 20년간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수입 대상국 상위권(4~9위)에만 위치, 경쟁 우위 선점 전략과 수출 확대로 최상위권(3위권 내) 도약 필요 * 한국 순위: (’03∼’10) 6∼9위→(’11) 4위→(’12∼’13) 5위→(’14) 4위→(’15∼’22) 5∼7위 □ 50대 유망품목 및 수출 확대 전략 ◦ 인도네시아 수출 확대 50대 유망품목 도출과 품목군별 핵심 전략을 제시◦ 현지 제조업 육성, 인프라 개발 등 주요 정책으로 인해 화학공학, 기계, 철강·금속, 전기·전자, 건설·중장비 분야 관련 품목 다수 분포 제1장 인도네시아 경제 분석 제1절 거시경제 동향 : PESTEL 분석 □ [P, 정치] ‘Making Indonesia 4.0’ 정책과 지정학적 이점 적극 활용 ◦ 2018년 발표한 국가 로드맵인 ‘메이킹 인도네시아 4.0’을 통해 7대 제조업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함으로써 2030년까지 세계 10대 산업국 진입 목표- 기존 5대 분야(△자동차, △전자, △화학, △섬유, △식음료)에 고부가가치 산업(△의료기기, △제약)을 추가하고 투자유치, 인센티브 확대 등으로 자국 내 산업 육성 도모- 니켈, 보크사이트 등 주요 원광석 수출금지를 통해 해외기업의 현지 제련소설립과 다운스트림 산업 발전을 유도하며 자원부국 이점 극대화 추진중* 구리, 철, 아연, 납 등의 광물은 수출을 허용하나 정제시설 건설 진행률에 따른 수출 관세 부과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