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미래차 시대,브라질 자동차부품 동향 및 진출 기회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41
용량 13.77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미래차 시대,브라질 자동차부품 동향 및 진출 기회.pdf 13.7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9-22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71 

1. 브라질 자동차 산업 개요
가. 휘발유와 에탄올 자동차 생산 역사
나. 자동차 산업 동향
◦ 5개년 생산량, 판매량, 수출량
다. 주요 진출 기업 동향

2. 자동차 부품 산업 개요
가. 자동차 부품 산업 동향
◦ 5개년 생산량, 판매량, 수출량 (자동차 애프터마켓 포함)
나. 주요 진출 기업 동향(ABC 순)
◦ 브라질에 진출한 우리 기업 동향(ABC 순)

3. 자동차 및 부품 산업 관련 정부 정책
가. 정부 자동차, 자동차 부품 정책 개요
나. 미래차(전기차, 수소차) 정책
다. 내연기관 우대 정책

4. 우리 기업 진출 전략
가 시장기회요인
- 느린 전기차 보급 시나리오
- 글로벌 기업 자동차 부품 구매 정책(ESG)
- 시사점

5. 참고 문헌

6. 부록

 


 

상파울루주 정부 기록에 의하면, 1891년 산토스 항구를 통해 브라질 최초 동력 자동차인 Peugeot Type 3가 들어왔다. 이 자동차는 1906년 유럽 최초 로 동력 비행기 카토르즈 비스호(14-bis)를 타고 프랑스 하늘을 나는 업적을 세 운 브라질의 비행기 발명가 아우베르투 산투스두몽(Alberto Santos-Dumont)이 파리 여행 중 사들여 브라질로 실어 온 것이다. 브라질 자동차협회(Anfavea)에 따르면 브라질 자동차 산업은 1919년부터 시작됐으며, 1919년 5월 포드(Ford)사가 상파울루 시내에 브라질 최초의 자 동차 공장을 설립하고 모델T를 생산했다. 당시 모든 부품은 수입됐고 조립만 브라질에서 진행됐다. 1921년 포드사는 현재 한인타운으로 알려진 봉헤찌 로(Bom Retiro) 지역 R. Solon, 809에 공장을 건설하고 이전하였으며, 1923 년에는 직원 124명이 연간 자동차 4천7백 대와 트랙터 360대를 생산하였다. 1925년에는 브라질 전국에서 24,250대를 판매하는 신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1925년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쉐보레(Chevrolet)), 1953년에 폭스바 겐(Volkswagen), 1956년에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공장이 브라질에 진출했으며, 제툴리우 바르가스 정부(1930-1945/1951-1954)는 수입을 제한하 고 자체 생산을 장려하는 ‘수입 대체화 정책’을 자동차 산업에도 적용하여 자 동차 제조사 육성에 노력했다. 브라질 자동차 제조사 육성을 위해 연방정부는 1941년 리우데자네이루에 국영제철소(Companhia Siderurgica Nacional - CSN) 와 1942년 국영엔진공업소(Fábrica Nacional de Motores)를 설립했다. 1947년 ~1952년에는 석유 및 곡물 수입보다 자동차 산업에 더 많은 투자를 했으며, 1953년부터는 완성차 및 조립 차량 수입이 금지되었다. 그다음 정부인 주셀리누 쿠비체크 정부(1956-1961)도 국가 산업화를 위해 주요 공약인 ‘50년 진보를 5년 내 달성’이라는 슬로건을 내걸었고, 핵심 산업

스크린샷 2023-10-23 132902.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45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 메타버스 시장동향 보고서 7도토리 국준아
645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 칠레 ICT 시장동향 7도토리 국준아
64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파라과이 국경 비즈니스 분석 및 활용방안 7도토리 국준아
645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이스라엘 로봇 산업 동향 5도토리 국준아
645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이스라엘 방위산업 시장 동향 5도토리 국준아
64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스라엘의 핀테크 산업 5도토리 국준아
645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이스라엘 AI시장 동향 7도토리 국준아
64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 국가별 ICT 시장동향(핀란드) 7도토리 국준아
645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드론 시장 동향 및 유망 기술 7도토리 국준아
645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9月 中, 무역 동향 5도토리 나혜선
64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와 대만 간의 무역협정 주요 내용과 시사점 5도토리 나혜선
64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AI로 커지는 IDC와 클라우드 11도토리 나혜선
64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엔터분야_성공적인 도움닫기 7도토리 나혜선
64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불확실성 확대 구간 7도토리 나혜선
64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ESS, 에너지도 테크다 9도토리 나혜선
644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분야_K뷰티 전성시대(기업분석) 7도토리 나혜선
64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VLCC 대량 매입으로 살펴보는 대형 탱커시장 전망 5도토리 나혜선
64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높은 금리 영향으로 신재생에너지 주가 부진 5도토리 나혜선
64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주분야_돈이 되는 우주산업 7도토리 나혜선
64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분야_2차전지 투자 전략 7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