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EU 탄소국경조정제 총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39
용량 1.82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EU 탄소국경조정제 총론.pdf 1.8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9-26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5 

Part 1 EU 탄소국경조정제(CBAM) 규정 개요
1. 추진 배경 및 목적
2. CBAM 주요 내용

Part 2 알기 쉬운 CBAM Q&A
1. CBAM 전환기간 보고서 작성
2. CBAM 본격시행
3. 향후 일정 및 전망

Part 3 알아두면 유용한 관련 정보
1. KOTRA 지원 사업
2. 알아두면 유용한 사이트
3. CBAM 법안 조항표

 


 

EU 탄소국경조정제(CBAM)란? EU집행위는 2021년 7월 14일 Fit for 55* 패키지 일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을 제안했습니다. * ’30년까지 탄소배출량 55% 감축(’90년 대비)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법안 패키지 이 법안은 탄소배출량 감축규제가 강한 국가에서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국가로 탄소배출이 이전되는 탄소누 출 문제 해결을 위해 제안되었습니다. EU가 역내 환경규제를 강화할수록 생산시설이 규제 수준이 낮은 지역으로 이전되거나, 저탄소 제품 생산을 위한 투자로 생산 원가가 상승해 역외국 대비 불공정한 상황에 노출된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했습니다. 주요 내용 • 대상품목 수입 시 내재된 배출량 1톤당 CBAM 인증서 1개를 구매토록 의무화 • 전환기간(2023년 10월~2025년 12월) 동안에는 분기별 보고서 제출 의무만 부여 • 이후 본격 시행기(2026년 1월~)부터 CBAM 인증서 구입 및 제출 필요 적용대상 • 품목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전력, 수소 등 총 6개 품목 • 적용국가 EU와 전력시장이 통합된 국가 또는 EU 회원국의 역외 영토 등을 제외한 EU로 대상품목을 수출 하는 모든 역외국CBAM 규정에 대한 입법 절차가 완료되어 2023년 5월 16일 EU 관보에 게재, 다음날인 5월 17일부로 최종 발효 되었습니다. 수입신고자의 승인, 탄소배출량 검증, 기지불 탄소가격 계산 등 세부준칙은 2023년 3분기부터 2025년 2분기 사이 단계적으로 채택될 예정입니다.탄소발자국 정보 요청 CBAM 시행에 따라 대상 품목을 EU로 수출할 경우 제품에 내재된 탄소 배출량이 얼마나 되는지 정보를 요청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EU시장에 진출하는데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요구사항을 상세히 파악하고 이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상품목 확대 향후 EU는 유기화학품, 폴리머 등 탄소누출 위험이 있는 기타 제품으로 CBAM 적용범위를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품목 확대 관련 현지의 논의 동향을 주시하고 적용 유망 품목을 제조하는 기업은 탄소발자국 정보 확보 등 선제적인 대응이 요구됩니다. 이행법률 채택 수입신고자의 승인부터 탄소배출량 검증, 검증기관 인정, 생산국에서 이미 지불한 탄소가격 계산 방식 등 세부사항이 추후 이행법률을 통해 구체화될 예정입니다. 2026년 1월부 제도 시행까지 이행법 입법 동향을 잘 확인하여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스크린샷 2023-10-23 131830.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45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 메타버스 시장동향 보고서 7도토리 국준아
645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 칠레 ICT 시장동향 7도토리 국준아
64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파라과이 국경 비즈니스 분석 및 활용방안 7도토리 국준아
645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이스라엘 로봇 산업 동향 5도토리 국준아
645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이스라엘 방위산업 시장 동향 5도토리 국준아
64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스라엘의 핀테크 산업 5도토리 국준아
645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이스라엘 AI시장 동향 7도토리 국준아
64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 국가별 ICT 시장동향(핀란드) 7도토리 국준아
645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드론 시장 동향 및 유망 기술 7도토리 국준아
645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9月 中, 무역 동향 5도토리 나혜선
64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와 대만 간의 무역협정 주요 내용과 시사점 5도토리 나혜선
64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AI로 커지는 IDC와 클라우드 11도토리 나혜선
64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엔터분야_성공적인 도움닫기 7도토리 나혜선
64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불확실성 확대 구간 7도토리 나혜선
64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ESS, 에너지도 테크다 9도토리 나혜선
644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분야_K뷰티 전성시대(기업분석) 7도토리 나혜선
64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VLCC 대량 매입으로 살펴보는 대형 탱커시장 전망 5도토리 나혜선
64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높은 금리 영향으로 신재생에너지 주가 부진 5도토리 나혜선
64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주분야_돈이 되는 우주산업 7도토리 나혜선
64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분야_2차전지 투자 전략 7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