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데이터 유통산업의 현황과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상연 조회수 44
용량 2.51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데이터 유통산업의 현황가 전망.pdf 2.5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06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데이터는 석유인가, 햇빛인가? 영국의 시사주간지 는 2020년 2월 발간한 데이터 특 집호에서 이런 질문을 던졌다. 석유는 산업혁명기 이후 경제 성장을 이끈 동력원이다. 데이터도 석유처 럼 중요한 자원이라는 뜻으로 ‘21세기의 석유’라고 표현했는데, 이제 햇빛으로 불리게 되었다. 햇빛이 식물은 물론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에너지원인 것처럼 데이터는 이제 모든 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중 요한 자원이라는 의미다. ‘데이터 경제(Data Economy)’의 확산 데이터가 화폐나 부동산과 다름없는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미국, EU 등은 데이터 경제 활성화에 사 활을 걸고 있다. 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은 물론이고 데이터에 기반한 공공 서비 스 제공으로 삶의 질 향상에 노력하고 있다. 아마존이나 구글처럼 창립한 지 20여 년 남짓 되는 젊은 기업이 오랜 역사를 지닌 대기업을 제치고 시가총액 정상에 오른 지 오래다. 데이터는 농업이나 수산업과 같은 1차 산업에서도 필수가 되었다. 사물 인터넷과 빅데이터, 인공 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를 자동 조절하여 농작물을 키우는 스마트 팜(smart farm)이 대표적 사례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데이터 산업은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재택근무와 온라인 쇼핑, 온라인 교육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비대면 활동이 증가하면서 데이터 자원도 폭증하고 있다. 비대면의 일상화는 ‘데이터 경제(Data Economy)’의 확산을 의미한다. 데이터를 생산하고 융합하여 부가가치를 만드 는 데이터 유통은 데이터 경제의 핵심이다. 이 글에서는 마이데이터 사업으로 전기를 맞고 있는 국 내 데이터 유통 시장의 현황을 살펴본다. 데이터 브로커가 데이터 유통을 담당하는 미국 등 주요국 의 동향을 살펴보고 데이터 유통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본다. 주요국의 데이터 유통 산업 현황 데이터는 그 자체로도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분석과 가공을 통해 디지털 지식으로 변환되면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OECD는 데이터 유통이 화폐화하는 과정을 데이터 가치 사슬 개념으로 설명 한다. 즉 온라인 광고(구글), 전자상거래(아마존), 대여서비스(모바이크) 등 새로운 서비스의 성패 여부는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역량에 달려 있음을 강조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1 생명공학/바이오 인공지능 신약개발 도전과 극복 1도토리 이상연
» 성장동력산업 데이터 유통산업의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이상연
29 성장동력산업 인터넷서비스 시장동향 보고서 3도토리 이상연
28 성장동력산업 빅데이터 시장동향 보고서 3도토리 이상연
27 성장동력산업 미국 거시경제 여건 변화와 정책 대응 1도토리 이상연
26 생명공학/바이오 헬스케어 시장동향 보고서 3도토리 이상연
25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트랜스포메이션의 롤모델, 네덜란드 기업 Philips 1도토리 이상연
24 성장동력산업 향후 10년 미래변화를 이끌 혁신기술 동향 분석 1도토리 이상연
23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정책 1도토리 이상연
22 성장동력산업 미국 경제 및 인플레이션 향방과 연준의 대응 1도토리 이상연
21 생명공학/바이오 2022년 보험산업 전망 7도토리 이상연
20 생명공학/바이오 농촌, 희망의 길을 걸어가다: 2021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7도토리 이상연
19 생명공학/바이오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7도토리 이상연
18 생명공학/바이오 디지털 시대 농산물 유통, 경쟁이 답이다 1도토리 이상연
17 성장동력산업 바이오산업 생산(38.2%) 및 수출(53.1%) 역대 최대 증가 1도토리 이상연
16 성장동력산업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착수 1도토리 이상연
15 성장동력산업 2021년 11월 자동차산업 동향 1도토리 이상연
14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첫 지정 1도토리 이상연
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부, ’22년 자동차 예산 4,709억원으로 대폭 확대 1도토리 이상연
12 성장동력산업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역대 최고 월 수출액 달성 1도토리 이상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