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장동향] 오만, 화장품 시장동향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김민성 | 조회수 | 35 | |
---|---|---|---|---|---|---|
용량 | 53.56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시장동향] 오만, 화장품 시장동향.pdf | 53.56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3-10-0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 |
시장동향
오만 화장품 시장은 코로나19 관련 조치 해제, 인구 증가, 가처분 소득 증가, 개인위생 및 미용의 인식 증가로 인해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실내외 마스크 의무 착용 규제가 완화되고 야외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2020년 잠시 주춤했던 오만의 화장품 및 스킨케어 시장은 2021년부터 빠르게 회복세에 돌입했다.
2023년 7월 기준 오만의 인구는 약 510만 명으로 빠른 인구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나 시장규모면으로 아직 소규모 내수시장에 해당하며, 전체 인구의 약 30%인 145만여 명이 수도 무스카트가 있는 무스카트州에 거주하고 있다. 전체 인구의 약 43%가 외국인이며 외국인의 60%가 무스카트주에 거주한다. 외국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외국인의 대부분은 단신 남성 국외 근로자로, 오만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22년 오만인의 남녀 성비는 여성 100명당 남성 101명으로 거의 비등하나 외국인의 남녀 성비는 여성 100명당 남성 362 명으로 크게 차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오만 화장품 시장은 오만인 여성을 주 타겟으로 발달했다. 남성 제품의 경우 화장품 및 스킨 케어 제품은 남성성을 강조하는 문화로 인해 발전이 더딘 편이며 향수, 체모 관리 용품(Grooming), 탈취제(데오드란트) 등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오만의 화장품 시장은 현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수도 무스카트 위주로 발달했으며, 전통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외곽 지역 여성은 화장을 하지 않거나 전통 방식의 천연 화장품 사용을 고수하는 경우가 많다. 수도 무스카트는 빠른 현대화와 더불어 여성의 사회 참여가 증가하면서 화장 인구도 증가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자연스러운 화장보다는 풀 메이크업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 기존엔 유명하거나 고가 국제 상표 화장품이 오만 화장품 시장을 견인했다면, 최근에는 다이소, 무무소, 미니소 등과 같은 할인판매점이 증가하며 저가 화장품의 구매도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 두기가 확산하면서, 오만 온라인 플랫폼 시장은 빠르게 성장했다. E-Commerce 시장의 성장으로 화장품 브랜드가 다양해지면서 오만 소비자는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제품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들 위주로 뷰티 트렌드가 형성되고, 인플루언서들은 오만 소비자들의 화장품 구매 결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사우디, UAE 등 주변국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오만에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경우 저렴한 배송비 또는 일정 금액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혜택을 주는 등 오만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주로 사우디 온라인 쇼핑몰에서 화장품을 구매한다고 하는 N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오만에 아직 판매되지 않는 다양한 제품을 한 곳에서 구매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여, 단점으로는 제품을 사전에 사용해 볼 수 없고 제품에 문제가 있는 경우 별다른 조처를 할 수 없는 점을 꼽았다. 오만 내 한국 화장품 전문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C사의 S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구매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나 구매 전 제품을 사용해 보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 아직은 오프라인 구매 시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단일 브랜드 제품 판매보다는 다양한 제품을 갖추는 것이 고객 유치에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수입동향, 대한 수입규모
2012년 4824만 달러 규모였던 화장품 수입 금액은 2022년 8361만 달러로 10년 동안 약 73% 이상 증가했다. 2019년까지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던 화장품 수입 금액은 코로나19 로 인한 야외활동금지, 사회적 모임 금지 등의 확산방지조치로 2020년 매우 감소하였으나 해당 조치가 완화된 2021년 5월부터는 빠르게 회복세에 돌입했다.
품목별 수입 동향은 색조 화장품(HS Code 3304.10, 3304.20) 제품이 상대적으로 수입 금액이 적으며, 주로 기초화장품, 선크림 등의 스킨케어(HS Code 3304.99) 제품 위주로 수입하고 있다. 네일 제품(3304.30)의 경우 수도를 중심으로 현대화가 진행되며 일부 수요는 있으나, 종교적인 이유*로 인해 그 수요가 크지 않다.
* 종교적인 이유: 이슬람교도들은 하루 다섯 번 기도를 위해 기도 전 물로 머리와 얼굴, 팔, 손, 발 등을 세정하는 우두(Wudu)를 시행한다. 일부 전통적인 견해로는 매니큐어를 사용한 경우 매니큐어의 층(layer)으로 인해 물이 손톱에 직접 닿지 못해 우두가 유효하지 않다고 보는 경우가 있다. 단, 헤나(Henna) 등으로 손톱을 물들이면 별도의 층이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우두가 유효하다.
<2017~2021년 HS코드 330410, 330420, 330430, 330491, 330499의 연도별 수입 금액>
(단위: US$ 천)
HS 코드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330410 |
8,304 |
6,788 |
3,435 |
3,691 |
3,941 |
330420 |
5,977 |
7,119 |
2,146 |
2,885 |
3,366 |
330430 |
1,999 |
2,154 |
1,560 |
2,211 |
911 |
330491 |
5,934 |
6,071 |
3,604 |
4,815 |
5,165 |
330499 |
75,520 |
71,064 |
54,883 |
64,162 |
38,979 |
총계 |
97,733 |
93,196 |
65,627 |
77,764 |
83,611 |
[자료: Royal Oman Police]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