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인체에 무해한 비불소계 소수성 세라믹 코팅 기술 개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55
용량 800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인체에 무해한 비불소계 소수성 세라믹 코팅 기술 개발.hwp 800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한국세라믹기술원(원장 유광수) 장정호 박사 연구팀은 인체 유해성이 없는 비불소계 소수성* 세라믹 코팅 기술을 이용하여 ‘메조다공성 실리카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소수성 : 물과 친화력이 적은 성질
               
 ○ 메조다공성 실리카 소재는 유리나 모래의 주성분인 산화규소(SiO₂)가 무수히 많은 미세 기공으로 이루어져 있어 약물, 단백질 등의 기능성 바이오 물질의 담체 및 약물전달체 등으로 바이오 의학 분야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 또한, 각종 오염원의 흡착제 및 촉매 등 산업적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소재이지만 친수성을 갖고 있어 발수 성능이 필요한 산업의 적용은 어려웠다. 
□ 현재 많이 활용되는 소수성 코팅기술은 테프론*과 같은 다양한 불소계 소재들을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 갑상선질환, 암, 알츠하이머 등 인체에 유해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 테프론 : 미국 듀폰사가 개발한 불소수지로 내화학성, 내열성, 내마모성 등을 가지는 소재로써 주방용품, 의류의 코팅, 윤활유 등에 활용

□ 이에 연구팀은 인체에 무해한 비불소계 알킬실란* 소재를 이용하여 소수성을 갖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소재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 하였다.
    * 알킬실란 : 불소 작용기가 없는 탄소와 수소만으로 이루어진 알콕시 실리콘 화합물로 유리코팅, 실리카 세라믹 소재에 표면처리용으로 쓰이는 소재
            
 ○ 반응 시간, 온도, 농도변화에 따라 비불소계 소수성 알킬실란의 메조다공성 실리카 표면 코팅 조건을 최적화 하였고, 소수성 원료인 레시틴*을 봉입하여 소수성 메조다공성 실리카의 소수성 정도를 평가 하였다.
     * 레시틴 : 대두, 난황, 간, 뇌 등에 존재하는 소수성 지방산과 친수성 인산염으로 구성된 물질로서 물과 기름을 섞게 하는 유화 작용이 있어 혈관 벽에 붙어 있는 지방을 녹이는 역할을 함
            
 ○ 특히, 소수성 메조다공성 실리카 소재에 알킬실란의 길이가 가장 긴 실란(옥타데실실란)을 코팅 하면 접촉각이 25도에서 102도로 약 4배 증가되어 소수성의 성능이 향상된다.
 
□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약물전달 및 화장품 분야의 제품 개발, 세라믹 타일, 촉매 등의 다양한 세라믹 산업에 적용이 가능한 원천특허도 확보하였으며, 대량 생산 및 공급을 위해 한국세라믹기술원 오송 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센터에 1톤급 규모의 양산화 장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비불소계 알킬실란을 이용한 소수성 메조다공성 실리카 소재’라는 제목으로 미국화학회의 ‘에이씨에스 오메가(ACS Omega)’ 6월호(6월 22일) 표지논문 게재되었으며, 현재 국내 기업들과 기술이전 및 상용화를 협의 중에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56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필리핀 음악 산업동향 1도토리 조정희
955 성장동력산업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과 정책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954 생명공학/바이오 캐나다 스마트팜 시장 동향 7도토리 조정희
953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추진 전략 7도토리 국준아
952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와일드 CCTV 및 블랙박스 영상에서의 차량 번호판 탐지 및 인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951 성장동력산업 K-디지털헬스케어 이해하기-'공공의료정보시스템' 편 1도토리 조정희
950 성장동력산업 싱가포르의 인공지능(AI) 기술개발 동향과 협력 방안 3도토리 조정희
949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관련 반도체 산업의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948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B2B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략 분석 1도토리 조정희
947 성장동력산업 세계 금융 위기 이후 中의 지역경제구도 변화와 내수시장 진출전략 3도토리 조정희
946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글로벌 동향분석(제1호) 1도토리 조정희
945 성장동력산업 자본시장 제도동향 2021년 7월호 1도토리 조정희
944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3) 1도토리 조정희
943 성장동력산업 아세안-중국 대화관계 수립 30주년 특별외교장관회담 주요 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94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제 동향 및 국내 CSAP 인증 개선 방안 1도토리 국준아
941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940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전망 1도토리 조정희
939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사회 변혁을 위한 일본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938 성장동력산업 2020 EU 배터리 전략 연구 아젠다 7도토리 조정희
937 성장동력산업 한국형 스마트 공장과 특화망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