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필리핀, 탄소중립 정책 및 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오민아 조회수 70
용량 461.96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필리핀, 탄소중립 정책 및 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분석.pdf 461.9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9-13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1 

1. 주요 정책 현황
2. 주요 프로젝트 현황
3. 주요 기업 정보
4. 현지 전문가 인터뷰

 


 

■ 필리핀, 탄소중립 정책 및 재생에너지 시장동향 분석
 ① 필리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하여 에너지 산업 분야 지원 강화
 - 필리핀은 1990년 이후 급격한 경제성장과 도시화로 인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음. 필리핀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필리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80%는 발전과 에너지 분야임
 - 2021년 필리핀 정부는 2030년까지 교통‧에너지 등 분야에서 202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75%
감축한다는 목표를 담은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ational Determined Contributions, NDC)를 발표함 - DOE는 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을 확대하고자 국가재생에너지프로그램(National Renewable Energy
Program, NREP)을 수립, 2040년까지 풍력, 태양, 수력 발전용량을 확대할 계획임. 또한, 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를 위한 외국인 소유 개방 및 인센티브 제도 등을 실시하고 있음
 ② 기술력 보유 기업, 기업간 협업 및 현지 대리점 등을 통해 진출
 - 현지 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는 기술력을 보유한 글로벌 또는 현지 EPC 기업들이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참여하고 있음. 최근 DOE와 라구나호수개발청(Laguna Lake Development Authority, LLDA)은 부유식
태양광 프로젝트를 총 15개, 1,880.5MW 규모 프로젝트를 발주, 현지 기업과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을
통하여 진행할 계획임
 - 글로벌 제조사들은 현지 증가하는 수요에 따라 현지 기업과 직접 또는 대리점을 통하여 진출하고 있으며, 주요 현지 대리점은 엔지니어 등을 보유하여 제품 공급 및 컨설팅 서비스도 함께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됨 - 향후 재생에너지 분야의 시장 개방과 정부의 NREP 관련 프로그램 확대에 따라 시장의 활성화 및 향후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들의 유입이 예상됨

스크린샷 2023-09-20 161948.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필리핀, 탄소중립 정책 및 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분석 5도토리 오민아
63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필리핀 OTT 시장동향 5도토리 오민아
63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 지역별 콘텐츠 산업 동향 5도토리 정한솔
636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연금세제의 특성 및 자산적립을 위한 개선방향 5도토리 정한솔
63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폴트옵션 시행에 따른 동향 분석 5도토리 정한솔
6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금융상품의 그린워싱 정책 분석 3도토리 정한솔
636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튀르키예 항생제 시장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64 성장동력산업 美, 시장에서 떠오르는 ‘트윈’ 스킨케어 3도토리 정한솔
63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 철 및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시장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 의자용 부분품 시장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61 성장동력산업 美, 외래종 곤충 '랜턴플라이'로 수억 달러 피해 3도토리 정한솔
63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탈리아, 항공우주산업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독일, 신재생에너지 촉진 정책으로 주택 태양광 설치 전성기 3도토리 정한솔
63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전기차 배터리 장비 시장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불가리아, 의료공급망 다변화 이슈 및 의료기기.의약품 수출협력 5도토리 정한솔
6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멕시코 자동차 부품 시장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韓 美 경협의 새로운 가능성, CLEAN EDGE ASIA 프로그램 3도토리 정한솔
63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의료기기시장 진출 유망 분야 3도토리 정한솔
63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 기능부터 디자인까지 세분화되는 세정용품시장 3도토리 정한솔
63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돈 되는 '착한 제품'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