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튀르키예 항생제 시장 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37
용량 23.6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튀르키예 항생제 시장 동향.pdf 23.6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9-1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시장동향

 

’22년 기준 튀르키예의 전체 의약품 시장 규모는 72.8억 달러 규모를 기록했다. 항생제시장의 규모는 정확하지 않으나, 튀르키예 의약품 산업협회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항생제는 튀르키예 의약품 시장의 약 7%를 차지한다. 튀르키예 정부가 국립 병원 건설 프로젝트를 늘리고, 의료관광 확대를 위한 각종 정책을 실시하며 튀르키예의 의료시장은 성장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튀르키예의 의약품 시장도 함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튀르키예에는 현지 기업과 다국적 기업이 현지 생산을 통해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국내 시장에 조달하고 있으나, 항생제 원재료를 생산하는 기업은 1개가 유일하며, 린코마이신, 사이클로세린, 바시트라신 등을 일부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튀르키예에서 주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항생제 원재료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튀르키예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항생제는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amoxicillin/clavulanic acid), 암피실린/설박탐(ampicillion/sulbactam), 페니실린(penicillin),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답토마이신(daptomycin),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등이 있다. 이 중 아목시실린계와 암피실린계, 페니실린계의 사용률이 가장 높으며 ,답토마이신과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원재료도 해외에서 주로 조달하는 편이다.

 

수입동향

 

’22년 기준 튀르키예의 항생물질 수입액은 전년 대비 36% 증가하여 1.4억불을 기록했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과 인도로 시장 전체의 70%를 차지한다. 가장 많이 수입하는 제품으로는 2세대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인 세파클러(cefaclor),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의 세프티부텐(ceftibuten)과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답토마이신(daptomycin)을 비롯해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인 세포탁심(crfotaxime), 세푸록심악세틸(cefuroxime axetil)이 주로 수입되고 있다. 한국산 제품은 중국과 인도를 비롯하여, 주요 유럽 국가에 비해 점유율이 다소 낮은 편이지만 튀르키예 의약품 시장의 성장 덕에 한국산 항생제 원재료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HS Code 294190 기준 튀르키예 항생물질 3개년 수입 동향>

(단위: 천 US$,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점유율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전체

126,846

103,282

140,539

100.0

100.0

100.0

1

중국

51,972

45,331

63,766

41.0

43.9

45.4

2

인도

28,435

26,972

35,220

22.4

26.1

25.1

3

이탈리아

11,779

5,378

11,458

9.3

5.2

8.2

4

스페인

9,228

7,251

7,847

7.3

7.0

5.6

5

덴마크

5,420

4,079

5,422

4.3

3.9

3.9

6

한국

3,932

3,602

5,388

3.1

3.5

3.8

7

헝가리

2,974

2,394

3,302

2.3

2.3

2.3

8

크로아티아

1,166

201

2,315

0.9

0.2

1.6

9

그리스

4,541

4,187

1,679

3.6

4.1

1.2

10

멕시코

726

806

1,089

0.6

0.8

0.8

통계 확인일: 2023.9.7.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3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필리핀, 탄소중립 정책 및 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분석 5도토리 오민아
63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필리핀 OTT 시장동향 5도토리 오민아
63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 지역별 콘텐츠 산업 동향 5도토리 정한솔
636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연금세제의 특성 및 자산적립을 위한 개선방향 5도토리 정한솔
63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폴트옵션 시행에 따른 동향 분석 5도토리 정한솔
6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금융상품의 그린워싱 정책 분석 3도토리 정한솔
»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튀르키예 항생제 시장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64 성장동력산업 美, 시장에서 떠오르는 ‘트윈’ 스킨케어 3도토리 정한솔
63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 철 및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시장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 의자용 부분품 시장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61 성장동력산업 美, 외래종 곤충 '랜턴플라이'로 수억 달러 피해 3도토리 정한솔
63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탈리아, 항공우주산업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독일, 신재생에너지 촉진 정책으로 주택 태양광 설치 전성기 3도토리 정한솔
63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전기차 배터리 장비 시장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불가리아, 의료공급망 다변화 이슈 및 의료기기.의약품 수출협력 5도토리 정한솔
6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멕시코 자동차 부품 시장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韓 美 경협의 새로운 가능성, CLEAN EDGE ASIA 프로그램 3도토리 정한솔
63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의료기기시장 진출 유망 분야 3도토리 정한솔
63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 기능부터 디자인까지 세분화되는 세정용품시장 3도토리 정한솔
63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돈 되는 '착한 제품'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