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독일, 신재생에너지 촉진 정책으로 주택 태양광 설치 전성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34
용량 31.76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독일, 신재생에너지 촉진 정책으로 주택 태양광 설치 전성기.pdf 31.7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9-1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독일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열정적인 노력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빠른 성장을 이루어내고 있다. 특히 태양광 에너지 분야에서는 독일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및 지원이 주택 태양광 설치 붐을 주도하며, 태양광 시장을 더욱 활성화하고 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용량이 연간 지속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 보호와 지역 에너지 생산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독일의 재생에너지 혁신과 주택 태양광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대한 핵심 동향과 정책을 깊이 있게 조명하려 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 수출 기업들이 독일 태양광 시장에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독일 태양광 발전, 지속적 성장세: 2022년 말 67GW 돌파

 

2022년 말 기준으로 독일 연방 경제기술부(BMWK)의 통계에 따르면, 독일의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은 총 150GW였으며 이 중 태양광 발전이 67GW를 차지해 전체 설치 용량의 약 45%를 차지했다. 독일에서 태양광 발전 설비의 용량은 매년 지속해 높은 증가율을 보여주고 있다. 바이에른주가 설치 용량이 가장 많으며, 바덴-뷔르템베르크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이 차례로 그 뒤를 잇고 있다.

 

<2000~2022년 독일 내 태양광 시스템 설치 용량(누적)>

(단위: ㎿p)

 

 

2023년 독일 태양광 시장: 주택 소유자들 주도의 역대급 설치 붐

 

독일 태양광산업협회(BSW)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에 독일에서의 태양광 시설 설치 확장은 주로 주택 소유자들이 붐을 주도하고 있다. 2023년 상반기에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설치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했다. 1분기에만 독일 전역에서 15만9000개의 주택용 태양광 발전 시설이 새로이 설치됐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6%의 증가를 나타낸다. 독일 태양광산업협회의 CEO, 카스텐 쾨르니히(Carsten Körnig)는 이러한 태양광 설치 붐은 지난해 에너지 가격 상승과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인해 주택 소유자들이 자기 집에 투자를 늘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BSW는 2023년 하반기에도 태양광 시스템의 수요가 계속 높을 것으로 예상하며, 이번 연도에 10GW 이상의 태양광 발전 용량이 새롭게 설치되리라 전망하고 있다. 또한 독일 연방 네트워크기관(Bundesnetzagentur)에 따르면, 발코니와 테라스에 설치된 플러그 타입의 태양광 발전기도 이러한 태양광 붐에 가세하고 있다. 현재 독일 전역의 발코니나 테라스에는 총 28만8000개의 플러그 타입 태양광 발전 장치가 설치돼 있으며, 이 중 13만7000개는 올해 신규로 설치됐다.

 

태양광 설치 전문가 A씨는 최근 독일 주택에서 두드러진 태양광 설치 붐에 관해 설명하면서 "다양한 이유로 태양광 시스템 설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중 주된 이유로는 전력비 절감, 정부의 보조금 지원, 친환경에 대한 인식 강화, 에너지 저장 기술의 발전 그리고 부동산 가치 상승이 있습니다"라며, "이러한 현상은 2023년에도 계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라고 밝혔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3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필리핀, 탄소중립 정책 및 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분석 5도토리 오민아
63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필리핀 OTT 시장동향 5도토리 오민아
63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 지역별 콘텐츠 산업 동향 5도토리 정한솔
636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연금세제의 특성 및 자산적립을 위한 개선방향 5도토리 정한솔
63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폴트옵션 시행에 따른 동향 분석 5도토리 정한솔
6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금융상품의 그린워싱 정책 분석 3도토리 정한솔
636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튀르키예 항생제 시장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64 성장동력산업 美, 시장에서 떠오르는 ‘트윈’ 스킨케어 3도토리 정한솔
63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 철 및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시장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 의자용 부분품 시장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61 성장동력산업 美, 외래종 곤충 '랜턴플라이'로 수억 달러 피해 3도토리 정한솔
63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탈리아, 항공우주산업 동향 3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독일, 신재생에너지 촉진 정책으로 주택 태양광 설치 전성기 3도토리 정한솔
63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전기차 배터리 장비 시장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불가리아, 의료공급망 다변화 이슈 및 의료기기.의약품 수출협력 5도토리 정한솔
6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멕시코 자동차 부품 시장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韓 美 경협의 새로운 가능성, CLEAN EDGE ASIA 프로그램 3도토리 정한솔
63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의료기기시장 진출 유망 분야 3도토리 정한솔
63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 기능부터 디자인까지 세분화되는 세정용품시장 3도토리 정한솔
63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돈 되는 '착한 제품'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