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접고 구겨도 되는 태양전지 시대를 연다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20
용량 8.3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접고 구겨도 되는 태양전지 시대를 연다.hwp 8.3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한국세라믹기술원(원장 정연길) 허수원·최준영·박인표 공동연구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국가핵심소재연구단(플랫폼형)의 지원을 통해 접고 구부릴 수 있는 유연한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 무한한 에너지원인 태양광을 전기로 만드는 태양전지는 화석연료 대비 kWh당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점에서 2050 탄소중립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목표에 부합하는 에너지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 현재, 태양광 산업을 이끌고 있는 실리콘계, 무기계를 바탕으로 한 태양전지는 태양광의 15-25% 정도만 전기에너지로 변환되고 있고, 유한한 자원, 고비용 생산 공정, 폐기 시 카드뮴, 납 등과 같은 유해물질 발생에 따른 문제점들도 갖고 있으며, 접고 구부릴 수 있는 유연한 기능을 구현하기에 제한되어 최근에는 이를 대체하기 위해 유기물을 활용한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가 활발하다.
   
□ 공동연구팀은 유연하면서도 변형에 안정된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비정질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를 투명전극으로 적용하고 고투명 고분자 소재를 기판으로 도입하였으며, 나노구조를 적용한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다.  
          
 ○ 기존 태양전지는 취성이 약한 결정질 구조의 ITO(인듐-주석 산화물)를 투명전극으로 적용했기 때문에 태양전지의 유연성이 부족했으나 연구팀은 IZTO(인듐-아연-주석 산화물) 조성의 산화물 반도체를 적용하여 비정질 구조의 투명전극을 제작하여 유연한 기능을 부여했다.
    
 ○ 1,000회를 반복해서 압축/이완을 시험한 결과, 기존의 ITO를 적용한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은 43%가 감소한 반면, 연구팀이 개발한 IZTO 전극을 적용한 초유연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은 5.2%만 감소함에 따라 우수한 기계적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 기판은 비정질의 과불소화 고분자(CYTOP)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용액공정을 통해 1마이크로미터 두께(μm, μm는 100만분의 1m)의 초박형 기판을 제작한 결과, IZTO 투명전극을 포함하고도 88.2%의 가시광 투과도*를 보여 PET 필름을 사용하는 기존 유연 태양전지 보다 높은 투과 특성을 보였다.
     *가시광 투과도 : 투명전극을 통과해 기판으로 흡수되는 태양광의 양을 표현한 지표이며, 높을수록 태양광이 전기로 변환되는 효율은 높아짐
     
 ○ 또한, 태양광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광활성층과 버퍼층에 소프트 나노임프린팅 리소그래피 공정을 적용하여 1차원 구조의 선형 나노구조(선폭: 760nm, nm는 10억분의 1m)를 도입하였다.
     
 ○ 그 결과, 10o의 낮은 태양광 입사각에서도 나노구조를 도입하지 않은 태양전지 대비 최대 2.4배 변환효율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한국세라믹기술원 허수원 박사는 “이번 연구는 향후 다양한 유연 광전소자의 투명전극으로 적용이 가능하다”며, “제작된 초유연 태양전지는 다양한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바이오 센서 및 생체 삽입형 소자와 결합되어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자가구동형 장치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56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필리핀 음악 산업동향 1도토리 조정희
955 성장동력산업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과 정책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954 생명공학/바이오 캐나다 스마트팜 시장 동향 7도토리 조정희
953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추진 전략 7도토리 국준아
952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와일드 CCTV 및 블랙박스 영상에서의 차량 번호판 탐지 및 인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951 성장동력산업 K-디지털헬스케어 이해하기-'공공의료정보시스템' 편 1도토리 조정희
950 성장동력산업 싱가포르의 인공지능(AI) 기술개발 동향과 협력 방안 3도토리 조정희
949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관련 반도체 산업의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948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B2B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략 분석 1도토리 조정희
947 성장동력산업 세계 금융 위기 이후 中의 지역경제구도 변화와 내수시장 진출전략 3도토리 조정희
946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글로벌 동향분석(제1호) 1도토리 조정희
945 성장동력산업 자본시장 제도동향 2021년 7월호 1도토리 조정희
944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3) 1도토리 조정희
943 성장동력산업 아세안-중국 대화관계 수립 30주년 특별외교장관회담 주요 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94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제 동향 및 국내 CSAP 인증 개선 방안 1도토리 국준아
941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940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전망 1도토리 조정희
939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사회 변혁을 위한 일본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938 성장동력산업 2020 EU 배터리 전략 연구 아젠다 7도토리 조정희
937 성장동력산업 한국형 스마트 공장과 특화망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