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항공분야_중국노선 본격 회복은 아직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5
용량 716.38KB 필요한 K-데이터 8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항공분야_중국노선 본격 회복은 아직.pdf 716.3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9-11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인천공항 8월 수송 통계. 일평균 운항 및 일평균 여객수송 코로나 이후 최대
8월 인천공항의 수송 통계 발표. (mom, 2019년 동월대비 회복률) 8월 총 항공기
운항횟수는 30,962회(+1.9%, 88.1%)로 코로나 이후 최대치 기록. 8월 국제선 여
객기 운항횟수는 26,709회(+1.7% mom, 83.2%), 국제선 여객 수송인원은 5,405
천명(+3.9% mom, 85.1%)을 기록. 8월 환승여객수는 639.3천명(+2.5%, 88.1%)로
직항 여객수에 비해 코로나 이전 대비 회복률은 높게 나타남
항공화물은 227천톤으로(-3.6% mom, -0.9% yoy)으로 전월비 및 전년동월대비
다시 (-)로 전환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 (+)전환에 대한 기대감 유지
8월 진에어와 티웨이항공의 여객수송인원은 2019년 대비 100% 크게 상회
대한항공의 총 운항회수는 6,766회(+1.7% mom, 86%), 국제선 여객수송인원은
1,199천명(+3.2% mom, 77%), 화물수송톤수는 101천톤(-3.2% mom, 104.3%)로
LCC들에 비해 운항횟수 및 수송 인원의 19년대비 회복률은 낮음. 이는 중국과 일
본노선에서 공급을 빠르게 늘리고 있지 않기 때문임
LCC의 경우 [제주항공] 운항 3,318회(+1.7% mom, 105.7%), 여객수송인원
520.3천명(+1.1%, 98%), [진에어] 운항 1,918회(+1.1% mom, 92.9%), 여객수송인
원 402천명(+1.5% mom, 109.2%), [티웨이항공] 운항 1,823회(+1.4%, 107.7%),
여객수송인원 361천명(+2.1% mom, 136.6%)로 나타남
LCC들은 2019년 8월대비 여객수송인원이 모두 100%를 초과하였으며, 티웨이항
공의 경우는 2019년 8월대비 여객수송인원은 137%로 크게 증가
8월 일본 노선의 약진. 중국 회복세. 미국과 유럽은 19년대비 회복률 정체
지역별로(MoM 2019년 동월대비) [일본] 운항 6,864회(+0.3%, 100.7%), 여객
1,245천명(+1.8%, 128.5%), [중국] 운항 5,595회(+4.0%, 71.9%), 여객 694.9천명
(+14.4%, 53.2%), [동남아] 운항 8,673회(+1.5%, 95.1%), 여객 1,671.8천명
(+3.9%, 91%), [미주] 운항 3,605회(+2.8%, 120.2%), 여객 516.8천명(-4.4%,
99.1%), [유럽] 운항 2,143회(-2.4%, 66.6%), 여객 441천명(+0.3%, 65.5%)의 사
업량을 기록함
2019년 동월대비 운항 기준 회복률은 미주, 일본이 100%를 초과한 상황이며, 여
객수송인원 기준 2019년 동월대비 회복률은 일본만 100%를 초과함. 미주의 경우
23년 2월 이후 2019년 동월대비 회복률이 처음으로 100%이하로 하락함. 중국
단체관광허용 영향으로 중국의 운항회복률이 높았으나, 여객수송인원은 7월과 유
사한 수준임. 9월과 10월로 갈수록 중국노선의 운항 및 여객수송인원이 크게 증가
할 것으로 전망함

 

스크린샷 2023-09-13 163032.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3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호신용품 산업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5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日, 식품산업 내 사회 과제를 해결 할 푸드테크에 관심 3도토리 정한솔
63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네덜란드, 공기조절기 시장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캐나다, 제설제 시장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파라과이, AED 설치 의무화로 의료기기 시장 활성화 3도토리 정한솔
63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멕시고 철강 산업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세르비아, 스포츠 산업 동향 3도토리 정한솔
63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집트 제조업 현황 및 韓 기업 진출방안 11도토리 정한솔
63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 내수 소비시장 확대 동향 9도토리 한상윤
634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조달시장 및 Buy America 규정 11도토리 한상윤
634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 역외보조금 규정(FSR) 주요 내용 9도토리 한상윤
6340 성장동력산업 새로운 기회가 열리는 7대 이슈별 유망 틈새품목 9도토리 한상윤
633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튀르키예, 노동법 가이드 9도토리 한상윤
63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韓-캄보디아 FTA 실무활용 방법 7도토리 한상윤
63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韓-말레이시아 FTA 실무활용 방법 7도토리 국준아
633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외국인 투자 유치담당자를 위한 환경 행정 가이드 7도토리 국준아
63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 中 스마트폰 방향성 점검 7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중국노선 본격 회복은 아직 8도토리 노민우
63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9월 건설업 투자 전략 7도토리 국준아
63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분야_한화오션 유상중자 돌아보기 7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