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독일 및 유럽 탄소중립연료 지원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13
용량 698.4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독일 및 유럽 탄소중립연료 지원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pdf 698.4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2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ㅇ 합성연료란 CO2(이산화탄소)와 H2(수소)를 합성하여 제조된 연료임
  - 합성연료는 보통 석탄, 오일셸, 오일샌드, 바이오매스 등 비석유계의 탄소자원으로부터 제조(합성)되는 연료를 의미함
  - 특히,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만든 그린수소와 CO2를 합성하여 만든 합성연료를 탄소중립연료(e-fuel)라고 함

ㅇ e-fuel은 생산 공정에서 탄소제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보관 및 수송이 용이하며, 기존 내연기관 인프라에도 활용할 수 있음
  - 재생에너지원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고, 공기 중 직접포집 기술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탄소를 저감하는 기술임
  - 자동차 내연기관용 연료뿐 아니라 선박, 항공, 트럭 등 다양한 운송수단에 대한 적용 가능성으로 크게 주목 받고 있는 기술임
  - 재생에너지 생산시 발생한 잉여전력의 저장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어, 에너지전환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현재까지 높은 재생에너지 생산 가격, 제조 과정에서 고온 및 고압을 가능하게 하는 대량의 에너지가 필요해 경제성이 낮음

ㅇ 독일은 기후보호프로그램 2030을 발표(’19.9월)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최소 40%이상 감축하고 2050년 온실가스 중립 달성을 위해 교통, 에너지, 산업 부문에 탄소중립 관련 기술개발 및 활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함
  - 중점기술로 수소, 연료전지, e-fuel를 선정하여 기술개발에 투자할 계획
  - e-fuel 개발을 위한 최소 20여개 이상의 P2G(Power to Gas) 실증 플랜트를 설치 및 운영 중이며, 최근 RFS 규정 개정으로 e-fuel 항목 신설 및 인센티브 부여(’21.3월)

ㅇ 유럽연합은 유럽수소전략(’20.7월)을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 55% 감축 및 2050년 탄소 순배출량 제로 목표 달성과 관련하여 수소 에너지 및 합성연료 사용을 적극 권장하기로 함

ㅇ 독일의 합성연료 및 e-fuel 관련 주요 프로젝트 소개 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56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필리핀 음악 산업동향 1도토리 조정희
955 성장동력산업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과 정책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954 생명공학/바이오 캐나다 스마트팜 시장 동향 7도토리 조정희
953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추진 전략 7도토리 국준아
952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와일드 CCTV 및 블랙박스 영상에서의 차량 번호판 탐지 및 인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951 성장동력산업 K-디지털헬스케어 이해하기-'공공의료정보시스템' 편 1도토리 조정희
950 성장동력산업 싱가포르의 인공지능(AI) 기술개발 동향과 협력 방안 3도토리 조정희
949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관련 반도체 산업의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948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B2B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략 분석 1도토리 조정희
947 성장동력산업 세계 금융 위기 이후 中의 지역경제구도 변화와 내수시장 진출전략 3도토리 조정희
946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글로벌 동향분석(제1호) 1도토리 조정희
945 성장동력산업 자본시장 제도동향 2021년 7월호 1도토리 조정희
944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3) 1도토리 조정희
943 성장동력산업 아세안-중국 대화관계 수립 30주년 특별외교장관회담 주요 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94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제 동향 및 국내 CSAP 인증 개선 방안 1도토리 국준아
941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940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전망 1도토리 조정희
939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사회 변혁을 위한 일본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938 성장동력산업 2020 EU 배터리 전략 연구 아젠다 7도토리 조정희
937 성장동력산업 한국형 스마트 공장과 특화망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