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휴먼팩터 지능화의 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22
용량 1.9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휴먼팩터 지능화의 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pdf 1.9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SUMMARY PD ISSUE REPORT JUNE 2021 VOL 21-6 휴먼팩터 지능화의 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l저자l이태림 디자인PD / KEIT 백승현 선임연구원 /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지털 전환시대 대응을 위한 미래 신산업 등장 ★ 휴먼팩터 지능화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신산업 R&D연구가 필요하며, 안전 보안, CMF(칼라 소재 마감), 감염, 모빌리티, 보험, 로봇, 복지 등의 연구테마로 디자인기술 융합을 통해 인간에게 필요한 제품 서비스 및 시스템의 신시장 창출이 기대됨 ★ 인간공학 분야의 지능화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 효율성, 체계성, 유연성 측면으로의 발전이 기대되고, 디지털 제조 생산 분야의 활용으로 사용자 경험디자인, UI/UX, VR,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분야에 인간중심의 시스템 디자인 연구 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임 ★ 이에 본고는 휴먼팩터 지능화의 정의 및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디지털 뉴딜, 코로나19로 변화하는 환경에 보다 쉽고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는 디자인 산업의 지능화 기술 전망을 제시하고자 함 시사점 및 정책제안 ★ 휴먼팩터 지능화 기술동향은 인공지능의 경쟁력 강화 및 미래가치와 응용기술 확보를 위한 지원계획을 수립하여 숙련자 기술의 지능화로 다양한 산업의 비숙련자 또는 시스템에 전수함으로서 작업효율 향상, 고령화에 대응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장기적 R&D 연구가 필요 ★ 특히, 비대면 사회가 되면서 관련 디자인 기술의 경쟁력 확보가 절실, 이는 인간중심의 디자인, 인간공학, HCI(인간과 기계 인터랙션), UX/UI분야의 지능화가 필요한 시점 ★ 따라서, 인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 기술개발로서 휴먼팩터 지능화는 디지털 뉴딜 실현을 위한 초석이 되어 우리 사회의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 및 확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PD ISSUE REPORT JUNE 2021 VOL 21-6 50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1. 휴먼팩터 지능화 기술의 정의 휴먼팩터 지능화 기술의 정의 ★ 휴먼팩터 지능화의 정의 - 핵심기술을 보유한 고기능 숙련자의 지식 기술 노하우를 디지털 데이터화로 객관화, 정보화, 지능화하여 인간의 신체적, 인지적, 환경적, 지식 지능화를 통합적으로 연결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데이터화 된 숙련자의 노하우를 비숙련자에게 교육하여 제조 산업에 혁신을 가져오고자 함 * 체계는 지식 DB화, SW콘텐츠화, 플랫폼화, 지역 클러스터화, 미래창출 5가지 지원 체계로 구성 (출처 : 디지털 뉴딜 추진을 위한 휴먼팩터 중심 지능화 이니셔티브 연구 조사 분석, 2020) | 그림 1. 휴먼팩터 지능화 개념도 | - (발전양상) 인간의 한계(신체적·환경적·인지적·지식)를 기술로 극복하여, 각 산업 시스템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뿐 아니라, 인간과 기술의 끊임없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지원, 확장, 강화, 대체의 모습으로 휴먼증강 사회를 실현 - (미래가치) 인간중심의 인간공학과 인체공학적 관점, HCI(인간과 기계 인터랙션)의 공학적 관점을 융합하는 새로운 사고의 틀로 기존의 물리적 작업환경을 4단계에 맞춰 점진적으로 개선하여 미래사회 변화에 인간중심의 가치 창출 기회 - (산업적용) 지원, 확장, 강화, 대체의 4단계로 기술발전에 따른 원천기술 개발, 산업공간 재편, 재구성으로 최적화 단계가 되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적용이 가능하고 이는 향후 지식의 플랫폼, 클러스터화가 실현될 것으로 예상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36 성장동력산업 양자 인터넷 기술 3도토리 국준아
935 성장동력산업 중국과의 경제관계에 대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934 성장동력산업 최근 지급결제시장 변화와 카드사의 대응 방향 1도토리 조정희
933 성장동력산업 쇼피파이, 핀둬둬의 성장과 이커머스 시장의 변화 1도토리 조정희
932 성장동력산업 라이다 센서용 콜로이드 양자점의 모양과 센서 성능 상관관계 규명 1도토리 국준아
931 성장동력산업 애널리틱스를 활용한 고객관리 전략 1도토리 조정희
930 성장동력산업 금리: 금통위, 8월 금리인상 의지 적극 피력 1도토리 조정희
929 성장동력산업 외환: 국내 코로나 확진자 급증으로 연고점 경신 1도토리 조정희
928 성장동력산업 인체에 무해한 비불소계 소수성 세라믹 코팅 기술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27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정책 혼선 속 가격 상승세 지속 1도토리 조정희
926 성장동력산업 IPMI 서버용 펌웨어 보안 분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925 성장동력산업 수중에서 작동하는 무전원 센서 원천기술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24 성장동력산업 美 바이든 집권 기간 미·중 전략 경쟁 및 한국의 선택 연구 7도토리 조정희
923 성장동력산업 최근 인플레이션 논쟁의 이론적 배경과 우리경제 내 현실화 가능성 점검 3도토리 조정희
922 성장동력산업 가상공학을 활용한 수소자동차용 연료전지 촉매 설계 1도토리 국준아
921 성장동력산업 전자기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 찾았다 1도토리 국준아
920 성장동력산업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에 대한 통상법적 분석과 韓 산업에의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919 성장동력산업 접고 구겨도 되는 태양전지 시대를 연다 1도토리 국준아
918 성장동력산업 투명망토 한 걸음 더 현실로… 메타물질 대량 제조법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17 성장동력산업 주택가격 변동이 실물·물가에 미치는 영향의 비대칭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