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美 ESG 트렌드 및 공급망에 주는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42
용량 2.7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美 ESG 트렌드 및 공급망에 주는 시사점.pdf 2.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8-1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60 

제1장 글로벌 공급망 중심에 선 ESG 


제2장 (E-환경) 친환경을 넘어 필(必)환경을 향해
       가. 기후변화 공시 의무화 움직임
       나. 탄소 네거티브, 넷제로(Net Zero)와 RE100
       다. 그린워싱(Greenwashing)

 

제3장 (S-사회) 사람의, 사람에 의한, 사람을 위한
       가. 강제노동
       나.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
       다. 인적자본 공시 의무화

 

제4장 (G-지배구조) 기업 경영, 윤리적 가치를 찾아서
       가. 주주 행동주의
       나. 정보 공개 투명성
       다. 개인정보보호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ㅇ ESG 뉴노멀 ’23년을 기점으로 ESG 정보 공시 의무화, 공급망 전반으로 책임 확대
- 전통적으로* 미국의 ESG는 개별 민간기업의 자발적 참여 위주로 전개되어옴.
* 정부의 역할이 큰 EU와 달리 미국은 기업이 사회활동의 주체, 정부는 환경 조성에 방점
- ’23년 ESG 정보공시의 원년: 미국을 포함한 주요 기관들의 공시 의무화 안이
발표되며 변화의 기점 맞이 (자율공시, 자체기준→ 의무, 표준화 공시)
* 국제회계기준(IFRS) 지속가능성기준위(ISSB) 국제 공시 표준안 발표(’23.6.29.)
* EU집행위(EC), EU의 독자적인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 확정(’23.7.31)
*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의무화 초안(’23.3월) 및 최종안 발표(10월 예정

 

ㅇ 글로벌 진출기업의 당면 현안 ESG 공시 “법제화, 의무화”, “구체화”되고 그 범위가
공급망 전반으로 확대됨에 따라 해외 직접 진출 기업(상장사) 뿐 아니라
상장사를 고객으로 둔 납품 협력 업체에도 관련 부담이 가중되고 확대
* 우리 기업은 2023년 “공급망 ESG 실사 대응”과 “ESG 의무공시”가 주요 현안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국내외 고객사의 요구 확대” 및 “ESG 규제 도입” 등으로 인해
비용부담불구 ESG 경영의 중요성이 확대된다고 응답 (대한상의 ESG설문조사 결과, ’23)
(E-환경) 친환경을 넘어 필(必)환경을 향해
ㅇ (정책) SEC의 기후공시 의무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기후공시 의무화 초안
발표(’23.3)→ 확정시 기업 규모에 따라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공시 의무화 대상에 포함.
- 대기업들, 자사의 탄소배출 감축 관리대상에 협력업체를 포함하기 시작
· 아마존(Amazon): 내년(’24)부터 협력업체에 탄소 배출량 데이터를 공유하고 탄소 목표
설정 요구(’23.7월)→ 이를 위해 기존의 공급망 표준 업데이트 중
·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딜로이트 등 기업들, 자사의 데이터 플랫폼에 협력사
(scope 3)의 탄소 배출량 계산 기능 추가(’23)
· 포드(Ford), ’50년까지 공급망 전반 탄소중립 선언, 기후 프로그램을 위한 글로벌 Tier1 3천개사 선정

 

스크린샷 2023-08-23 143422.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2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바이오 및 빅데이터분야_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발전 방향 5도토리 강정훈
62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상반기 수입규제 분석 및 전망 11도토리 강정훈
628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 3도토리 강정훈
628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무역업계 금융애로 변화추이 5도토리 강정훈
62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희토류 주요국 영구자석 관련 동향 및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ESG 트렌드 및 공급망에 주는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628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상반기 中, 남부 지역 경제 동향 5도토리 강정훈
62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7, 8月 세계 게임산업 트렌드 11도토리 강정훈
62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8月 기계산업 통계 11도토리 강정훈
628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北 대외무역 동향 11도토리 장민환
62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수소 활용 정책 분석 9도토리 장민환
628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7월 中 수출입 동향 6도토리 장민환
62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수소 산업 시장현황 및 정책과제 9도토리 장민환
627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미국 제조역량 발전을 위한 기술개발 행정명령 발표 5도토리 장민환
627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 5도토리 장민환
627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中, 5G 메시징 망단 협업강화 고시 초안 발표 5도토리 장민환
627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리 기조의 기업부채 및 구조적 전환 가능성 5도토리 민준석
627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안화 국제화 현황 3도토리 민준석
627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움직임 3도토리 민준석
6272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엔화환율 변동의 영향 7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