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125
용량 2.13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pdf 2.1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8-1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 우리나라는 경기에 민감한 중간재 수출 비중이 약 70%로 높아 보호무역 강화와 글로벌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수출 부진이 상대적으로 심화
 반면 경기 민감도가 낮은 소비재 수출 비중은 2023년 1~6월 중 16.0%로 2009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호조 품목으로 부상하고 있음

 2022년 우리나라 총수출은 세계 6위였으나, 소비재 수출은 17위에 불과해 안정적
수출구조 정착과 수출품 다변화를 위해 소비재 수출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코자 함

 본 보고서의 소비재 품목 분류는 UN Comtrade의 BEC 4.0을 기준으로 함
 - 단, 2021~2022년 Un comtrade 통계가 발표되지 않아 각국의 HS 6단위 수출로 추정
 * 추정 기준 : HS 6단위 – BEC 4.0 연계표
 - 우리나라 소비재 수출입은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K-stat)를 참고

◉ 세계 최대 소비재 수입국은 미국, EU, 중국 순으로 나타남
 구매력이 높은 선진국(미국·EU)의 소비재 수입이 많았으며, 중국·아세안 등
개발도상국의 수입도 점진적으로 증가
- (미국) 2022년 중 소비재 수입액이 2위국(EU) 대비 1.7배 많은 최대 수입국가
- (EU) 2022년 중 소비재 수입이 독일(3위), 프랑스(6위), 이탈리아(7위), 네덜란드(8위) 순으로
많았으며 세계 2위의 소비재 수입 시장을 형성
- (중국) 코로나19에도 2020년 소비재 수입이 9.0% 증가하며 영국·프랑스를 제치고 세계
4위 수입국으로 부상했으나, 봉쇄 조치 등의 영향으로 2022년 수입은 3.6% 감소
- (아세안) 2018년 세계 12위였던 아세안 소비재 수입액은 점진적으로 증가해 2022년 세계
10위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했으며, 2021년부터 2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시현
 * 아세안 소비재 수입 증가율(전년동기대비%) : ('18) 9.7 ('19) 6.9 ('20) -8.2 ('21) 15.9 ('22) 12.2

스크린샷 2023-08-23 11300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42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인플레이션 감축법이 韓 배터리 공급망에 미칠 영향 9도토리 국준아
54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CCER 프로젝트 추진 동향 7도토리 국준아
541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나이지리아 시장총람 7도토리 국준아
541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인도 블록체인 시장 총람 7도토리 국준아
541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6G 시장총람 보고서 7도토리 국준아
541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小가공식품업체 실적 전망 5도토리 노민우
54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中, 3차 수출 쿼터 규모 주목 5도토리 노민우
54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분야_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및 이슈 9도토리 강정훈
541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분야_9 월 투자전략 7도토리 강정훈
54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카타르 등에서 LNG 플랜트 투자 확대 7도토리 강정훈
54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U 전략 기술 플랫폼 5도토리 강정훈
540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튀르키예 시장동향 7도토리 강정훈
54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생산형 인공지능에 의한 생산성 혁신 및 금융업의 대응 방향 5도토리 강정훈
540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S 인수 이후 UBS의 동향 및 과제 3도토리 강정훈
540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방위산업분야_다수의 해외수주 프로젝트 추진 중 7도토리 노민우
540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차전지 관련 기업분석 11도토리 노민우
54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덴마크, 양자 기술 전략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40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VOD 시장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4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M&A 현황과 추세 7도토리 노민우
54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공매도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1도토리 노민우